KCI등재
내용-언어 통합학습법과 이탈리아어 수업 적용의 실 = La metodologia CLIL e le sue pratiche nella classe
저자
발행기관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Associazione Coreana Di Letteratura e Linguistica Italiana)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116(3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In questo articolo ho cercato di presentare l'approccio CLIL(apprendimento integrato di lingua e contenuto) e la prassi didattica per permettere questo approcio. Per fare questo ho tracciato la situazione corrente della formazione degli insegnanti di lingua che stanno utilizzando questa metodologia ed ho provato di costituire acuni modelli di lezioni che sono stati stabiliti da me con la nuova metodologia. L’idea fondamentale della metodologia CLIL è quella di trasmettere il contenuto di una disciplina nella lingua di scopo, servendosi di vari strumenti, le risorse e i materiali disponibili. L'approccio CLIL costituisce non solo un nuovo ambiente di apprendimeto ma anche un nuovo ambiente di insegnamento. Pertanto, rappresenta un nuovo ‘spazio’ di ricerca che può essere studiato da una varietà di prospettive. Non si tratta quindi semplicemente di spiegare una materia in una lingua straniera (scienze, arte, musica, geografia, storia, ecc.), ma di un vero e proprio apprendimento integrato, dove la lingua viene utilizzata per insegnare dei contenuti disciplinari. Per fare questo è necessario organizzare il contenuto che si vuole trasmettere in modo che sia semplice da comprendere, reperire e ripetere, con un elenco di vocaboli limitato. Il presente articolo si è concentrato proprio su questo aspetto attraverso l'analisi dei dati raccolti per una lezione preparata con la metodologia CLIL. La maggiore parte di questo lavoro consiste nella presentazione di un modello della mia lezione che aveva una finalità di far apprendere un elemento grammaticale(il passato remoto) attravero le canzoni, le fiabe(favole) e le varie risorse che riguardano la storia dell’Italia. I risultati mostrano che è necessario prestare maggiore attenzione all’aggiornamento degli insegnanti stessi nell'organizzazione delle attività della lezione CLIL che sono più favorevoli alla più ricca attività di comprensione, di scrittura e di produzione orale da parte degli studenti.
더보기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은 언어를 매개로 다른 내용을 가르치는 학습 방법이다. 캐나다에서 유행했던 몰입교육이나 미국의 내용 중심 교수법 과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다. 이러한 방법론이 만들어진 시기, 어학 학습의 환경 변화, 해당 제2 언 어의 지위, 언어 학습자의 지리적 위치 등에 따라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시작되고 성장한 배경 그리고 강조하는 점은 조금씩 다르다.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의 기본적인 접근은 언어를 실제와 유사한 상황에서 배우게 하는 것이다.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은 몰입교육의 여러 문제점과 교육 효과에 대한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를 해결하거나 개선할 마땅한 해결책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방법론으로 도 입될 수 있다. 외국어 전용 강의의 폐단을 극복하고 학습자의 언어 능력과 교수자의 준비도를 고려하여, 나름의 상황에 맞는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을 활용 하는 수업 방식은 현재의 교육 시스템과 사회 환경에서 최신의 멀티미 디어 외국어 학습 도구를 이용하는 가장 효율적이고 무난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에서는 교수자의 역할이 매 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 역할의 대부분은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수업 시간에 사용할 재료들을 찾아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수업의 예는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이 대학교의 제2 외국어로 이탈리아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수업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하나의 제시에 불과하다. 외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다 양한 매체들의 발전과 함께 더 나은 수업 환경이 계속 만들어질 것이고 이는 보다 완성된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을 활용한 수업의 완성도를 높 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 외국어 교수와 학습에서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교수자들의 자기 발전이 필요성이 더욱 필요한 시 대가 도래했다 . 본 연구는 내용-언어 통합학습법을 활용한 수업을 위해 가장 중요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교수자가 재교육까지는 아니더라도 새로운 교수 법을 연구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는 경험의 축적을 통하여 더 나은 외 국어 학습과 교수의 길을 모색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 여기에 소개된 것은 외국어 교육자인 한 개인의 경험의 일부이며, 앞 으로도 더 많은 발전을 이루기 위한 시작 단계의 예를 보여준 것으로 이해해주었으면 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3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이어이문학회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 KCI후보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이어이문학 -> 이탈리아어문학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4 | 0.14 | 0.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9 | 0.08 | 0.303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