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코로나19 사태와 울산지역 실업문제 : 노동력 수요부족과 일자리 미스매치를 중심으로 = The COVID-19 Pandemic and Unemployment Issues in Ulsan : Focusing on Labor Demand Shortage and Mismatch
저자
이성균 (울산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5-136(3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aper examines the unemployment issues in Ulsa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abor market mismatch. The worldwide spread of the COVID-19 shocked the local labor market in Ulsan, even though the number of the confirmed cases has been relatively lower then other major cities in Korea. The analysis of the WORKNET data shows that the primary source of the unemployment during the first half of 2020 is 'labor demand shortages.' Economic declines of the world market, as the external factor, significantly affected the local economic conditions and the labor demand in the export-oriented industrial city of Ulsan. The export production declined and global supply chains did not work from the early 2020 in Ulsan, that led to the growing managerial difficulties of many manufacturers and small owners after March of 2020. The unemployed persons including those who lost their jobs and the new job seeks after the graduation increased, while job openings decreased in the local labor market. Second, there occurred different shape of labor demand change in several segments of the local labor market. The number of job openings declined in the production-related occupations, but the total size of labor demand shortages was the highest in the white collar occupation that had not traditionally been sufficient in the manufacturing city. Thirdly, the mismatch between labor demand and supply was obvious in the white collar sectors than the production ones. Even in the same occupations, the mismatch index was higher in the more educated persons and the stable job openings. For most of the available job openings were the unstable and lower-wage ones that the job seekers avoid to choose. The job shortages and labor mismatch during the period of the COVID-19 economic crisis were more provident in the non-core sectors than in the core sectors of the local labor market.
더보기이 논문은 고용관련 행정자료인 워크넷 원자료를 노동시장 미스매치론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코로나19 상황의 울산지역 실업문제를 설명하였다. 2020년 상반기 울산의 코로나 확진자 수는 적지만, 고용위기는 다른 주요 도시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최근 울산의 고용위기를 낳는 구조적 특성을 설명하고, 워크넷 자료의 구인규모와 구직규모를 기초로 실업문제를 분석하였다. 첫째, 2020년 상반기 울산지역 실업발생의 일차적 요인은 ‘노동력 수요부족’이었다. 울산은 수출 제조업 중심 도시로서, ‘주요 수출국가에서의 코로나19 확진자 증가’ 등 지역 외부적 요인이 지역경제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계적인 시장수요가 하락하고 글로벌 부품 공급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여 주요 사업체들의 경영위기가 확대되면서 노동력 수요량은 3월부터 대폭 감소하였다. 둘째, 코로나19 사태에서의 고용위기는 ‘실행기능 중심지역’의 지역노동시장 특성을 반영하여 하위부문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노동력 수요량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직종은 제조업 실행기능의 생산직이었으나, 노동력 수요부족량이 가장 큰 직종은 원래부터 일자리가 부족하였던 구상기능 관련 사무관리직이었다. 셋째, 일자리 미스매치도 지역노동시장에서 핵심적인 부문보다는 비 핵심부문에서 명확히 나타났으며, 노동시장 하위부문별로 구직초과 미스매치와 구인초과 미스매치가 공존하였다. 고학력층 구직자들의 구상기능 일자리 선호도가 지속되면서, 사무관련 직종에서 직종별 미스매치가 명확히 나타났으며, 동일한 직종에서도 고학력층 선호 일자리와 안정적 고용형태 일자리에서 구직초과 미스매치가 매우 크게 발생하였다. 반면 개인서비스직종에서도 구인-구직 비중 격차가 증가하였고, 동일 직종 가운데 불안정 고용형태 일자리와 저학력층 일자리는 구인초과 미스매치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노동력 수요부족량과 미스매치가 지역노동시장에서 취약한 부문에서 명확히 나타났음을 잘 나타낸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4-08-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지역사회학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7-1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Regional Sociology ->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Sociology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4 | 0.771 | 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