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법적 정당화 과정으로서의 법 적용 = Application of Law as a Process of Legal Justifi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21-360(40쪽)
제공처
법관을 비롯한 법적용자는 개별 사건에서 사실관계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그 사건에 적용될 수 있는 법을 발견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법적 결론을 도출한다. 물론 법을 발견하고 적용하는 단계에서 법의 해석 내지 구체화도 함께 이루어진다. 법의 해석과 적용은 일응 구분될 수 있지만, 개별 사건에서 법규정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는 그사건의 사실관계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실관계의 포섭 이전에 해석의 결과 만을 추상적으로 제시하기는 어렵다. 법의 구체화 과정에서 해석과 포섭은 서로 구별 하기 어려울 정도로 뒤섞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법 적용과 법 해석은 일정한 사건에 적용되는 법을 이끌어내기 위한 법획득의 과정, 뒤집어서 말하면 판결과 같은 법적 결론에 대한 정당화 과정 으로 통합된다. 법적 정당화(legal justification)는 흔히 내적 정당화와 외적 정당화로 나뉘는데, 법의 적용은 법적 판단 과정에서 사용되는 논증의 타당성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내적 정당화의 문제에 집중한다.
법의 적용은 그 기본 구조나 과정에 대한 다양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으로 법적으로 중요한 사실의 존재 및 그 내용을 확인하는 사실 확정, 또 확정된 사실에 적용될 수 있는 법규정을 찾는 법발견·법형성 내지 법획득, 그리고 법적 삼단논법, 특히 포섭을 통해 법적 판단에 이르게 되는 최종적인 법적 결정의 세 단계로 이해되고 있다.
그런데 20세기 중반부터 포섭모델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법적용 이론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법적용의 실무와 괴리가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현대적 법학방법론의 관점에서 새로운 법적용이론이 제시되기 시작하였다. 사실 법적용이론이 올바른 법적 결정을 내리기 위해 필요한 법적용의 기준과 절차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단지 현실의 법적용과정을 정확하게 기술한다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고 보면, 새로운 법적용 이론이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바람직한 법학방법론은 단순히 실제로 이루어지는 법적용을 분석하는 기술적 이론에 그칠 수는 없고 이를 비판하고 올바른 법적용이론을 제시하는 규범적 이론을 지향하여야 한다.
법학방법론에서도 해석론 뿐 아니라 입법론의 관점에서, 또 기술적 접근방법뿐 아니라 규범적 접근방법의 관점에서 주요 쟁점들이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가령 해석론적 관점 내지 기술적 접근방법은 법해석 및 법적용의 현실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인 데 비해 입법론적 관점 내지 규범적 접근방법은 그러한 법해석이나 법적용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법학방법론의 토대가 법철학이고, 법철학의 본령이 분석과 비판에 있다면 법학방 법론 역시 분석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고 비판적인 성찰이 있어야 한다. 단순히 현실의 법관이 어떤 방식으로 법을 해석하고 적용한다는 사실로부터 그 해석과 적용이 정당 화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사실의 차원과 별개로 규범의 차원에서 법의 해석과 적용은 근거 지어져야 한다.
최종적인 법적 결정 내지 판단은 법적 삼단논법에 따라 사전적으로 추론되는 것이 라기보다 사후적으로 정당화 내지 근거 지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법 적용이 논리적인 추론 과정이라는 이유로 법규정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법적 결정이 도출된다는 결정론적 시각은 옳지 않다. 판결이 법관의 선고에 의해 법적 효력이 발생하는 것처럼, 법적 결정은 법 ...
Law yers, includ ing judges, d raw lega l conclusions by precisely analyzing the facts in each case, finding and applying relevant law to the case. Of course, in the stage of finding and applying relevant law, the interpretation or concretization of the law also takes plac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 can be distinguished, but in interpreting the provisions of the statute in an individual case, there is no choice but to consider the facts of the cas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bstractly present only the results of interpretation before the factfindings. In the process of concretization of the law, interpretation and subsumption are mixed to the extent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From this point of view,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are integrated into the process of law reconstruction to derive the law applicable to a given case, or, conversely, the process of justifying a legal conclusion such as a judgment. Legal justification is often divided into internal justification and external justification, but the application of law focuses on the issue of internal justification in that it discusses the validity of arguments used in the process of legal judgment.
Despite various discussions on the basic structure or process, the application of law has traditionally been understood as the three stages that the fact-findings and finding/reconstruction of law leads to legal judgment through legal syllogisms, especially subsumption.
However, from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as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traditional legal application theory centered on the subsumption model and the actual practice of legal application, a new legal application theory began to b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legal methodology. If we consider that the theory of legal application focuses on accurately describing the process of legal application in reality rather than presenting the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legal application necessary for making correct legal decisions, the new theory of legal application is convincing. However, a desirable legal methodology cannot simply be a descriptive theory that analyzes actual legal application, but should aim for a normative theory that criticizes it and presents a correct legal application theory.
In legal methodology, major issues should be dealt with from the view point de lege lata as wel l as de lege ferenda. For exa mple, a hermeneutica l or descriptive approach obser ves and ana lyzes the reality of legal interpretation and legal application, whereas normative approach critically examines whether such legal interpretation or legal application can be justified.
Since the basis of legal methodology is philosophy of law, and the main purpose of philosophy of law is analysis and criticism, legal methodology should not remain only in analysis, but should have critical reflectio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law are not justified simply by the fact that judges in reality interpret and apply the law in a certain way.
The final legal decision or judgment is justified or grounded ex post rather than ex ante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syllogism. Therefore, the deterministic view that legal decisions are derived mechanically from statutes of law is not correct because the application of law is a process of logical reasoning. This is because, just as a judgment becomes legally in effect by a judge’s sentence, a legal decision is established only by the decision of the lawyers.
Of course, in the process of legal application, there is no room for personal disposition or values to intervene in the judge’s discretion, and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that arbitrary decisions may be made as a result. However, the skeptical view that the statutes of law have no role in guiding legal decisions is not correct. This is because the lega l application of judges must be made in accorda nce with the constitutional pri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