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맹자』 “生於憂患而死於安樂” 속의 ‘인간다움’ 연구 — 송대 성리학자들의 해석을 중심으로 — = Humanity in “One Lives through Adversity and Dies through Comfort” of Mencius — Song Neo-Confucian Interpretations —
저자
이연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9-149(3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논문은 『맹자(孟子)』 고자장구(告子章句) 하편(下篇)의 15장(章) “우환에 의해 살고 안락에 의해 죽음[生於憂患而死於安樂]”라는 문장의 의미를 송대(宋代) 성리학자들의 해석을 중심으로 재해석하고 그 함의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生於憂 患而死於安樂”이 속한 단락에서 『맹자집주대전(孟子集註大典)』의 집주(集註) 및 세주(細 註)들을 활용하여 송대 성리학자들이 해석한 맥락적 의미를 파악할 것이다. 이를 토 대로 해당 단락 속의 주요 개념들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해석해보고자 한다. 예컨대, “生於憂患而死於安樂”에서 생(生), 우환(憂患) 등의 주요 개념들을 해당 단락 속의 깨달 음[喩], 선(善) 등의 개념들과 연관하여 살펴본다. 이를 통해 해당 구절이 가진 함의를 탐색해 볼 것이다.
본고에서는 해당 구절의 함의를 인간다움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인간의 본질은 무 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다양하겠지만, 이 연구를 통해 찾아낸 인간다움의 본질 중 하나는 더 나은 인간으로 ‘변화’하고자 노력하는 존재이다. 변화란 무엇을 뜻하는 가? 한 인간의 변화는 곧 그가 바라보는 세계관의 변화를 의미한다. 내가 변화하면 세 상을 바라보는 나의 안목과 태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때 달라진 나는 이전보다 사유의 깊이와 너비가 확장된 존재이다.
그렇다면, 변화는 어떻게 가능한가? 내가 겪게 되는 크고 작은 어려움 속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할 것인가. 변화의 시작은 문제상황을 인식하고 해결책을 고민하며 내 생각과 행실을 되돌아보는 것에서 출발할 수 있다. 이때 ‘우환(憂患)’과 같은 어려움은 좌절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성찰(省察)’의 계기가 되는 것이다. 이때의 성찰 하는 힘은 더 나은 나로 변화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화를 지속해 나갈 수 있는 의지와 노력이 있다면 나의 인격(人格) 또한 성숙해질 것이다. 요컨대, 진정한 변화는 ‘인간다움은 무엇인가’라는 궁극적 질문을 끊임없이 되새기고 반성하며 스스 로를 수양해 나가는 과정에서만 가능하다.
This study reinterprets and examine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statement “One lives through adversity and dies through comfort”(生於憂患而 死於安樂) in Mencius, focusing on how this statement was understood and developed by Song Neo-Confucians. To this end, the analysis draws on Zhu Xi’s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Mencius, including both general and detailed annotations, in order to clarify how key ideas were situated within the textual and philosophical context of the passage.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interrelated meanings of core concepts such as life (生), adversity (憂患), enlightenment (喩), and goodness (善), and how these terms inform a deeper reading of the statement’s significance.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the passage in relation to the idea of humanity. What is the essence of being human? While many answers can be offered, this paper suggests that one core aspect of humanity is the willingness to change and grow. When a person changes, it reflects a shift in their perspective on the world. As their thoughts and attitudes evolve, their understanding becomes deeper and broader. In this sense, to become more human means to develop not just outward behavior, but inward reflection and moral depth.
Then how does such change occur? It often begins in times of hardship, when people take the chance to reflect on their thoughts and actions. In this process, adversity does not simply lead to frustration or despair — it can become an opportunity for self-examination. This kind of reflection can be the driving force that helps a person move toward becoming better. When such effort is continued with patience and intention, it can lead to the growth of one’s moral character. In essence, true transformation is achieved through a sustained process of questioning the meaning of being human, engaging in self- reflection, and continually cultivating one’s moral self.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