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객 참여형 공연 유형 및 특성 연구
저자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문화예술경영학과 , 2019. 2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DDC
658.1 판사항(22)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A Study for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udience Engagement(Expanded Participation) Performance
형태사항
ⅷ, 128 p. 삽화 ; 26 cm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지혜원
참고문헌: p. 120-124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174633
소장기관
In 21st century, various creative contents are produc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Moreover, relationship and engagement with the audience; communication, is receiving attention not only in the fields of performance arts but in cultural and art as well. This has made art to pay attention to interactive communication, whereas most existing art is produced from creator-centered, a unilateral communication. Moreover, there are changes in the needs and cognition of audience due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flow. Such changes led audience to raise question to one-self about participation for the enjoyment of art, and the audience itself expand the component of the performance.
Performance art is an only genre of art which reflected human life as a composite art which has a distinct characteristic and a sense of realism which purpose is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Furthermore, experience and practice may fulfil practical achievement, and can be connected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atisfaction, so this will be the motivation to make richer human life. In the performance, the audiences are not just passively watch the performance passively, so they share experiences together in one place. At this time, there takes place mutual interaction not only between the actors and the audiences but also among the audiences themselves as well. This group experience amplifies its efficacy(Jinsoo Jeong, 1998). Therefore, as practical experiences, those performances should be made to mediate greater value than they have.
In the digital period, although more various ways to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can be created with applying the digital devices or media, there are something to have essential communication of inner human being cannot be solved through this. This may be limit to satisf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nteraction through digital devices and media. Also, the space for performance, ‘illusion’ is essentially distinguished from the virtual space and this spot should be important. According to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2018 Performance Art Trend Report」, as performance art with audience participation, five senses of human being could be filled by multi-perspective communication.
Experience is something very personal and subjective, so its range and depth vary depending on the person. As this performance takes place in site every time, the research was analyzed by theoretical, descriptive, analytic, and exploring perspectives through cause, symptom, and interview rather than generalizing and evaluating based on scientific measures because other complex environmental factors are important
The research looked into the types and the status of audience engagementing(expanded participation) performing arts in Korea to identify their characters. To do this, the musical of active Engagement(expanded participation) of audience, Improvisational theatre type <Musical first made today> and RPG(Role Playing Game) performance <What am I going to do for tomorrow’s performance> were selected and were carried out case work and depth interview. Through them,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and to draw what strategy, and intention were, how their differences were, how things were applied to the performance to identify, and how these factors and characters came into the audience. Ultimately, these enable that ‘openness’ which accept audience to lead their active participation. Finally, audience could expand their ‘spectatorship’ by guaranteeing their‘Engagement(expanded participation)’and hence, ‘role transition’ takes place. So, I could understand the expansion of spectatorship, which is Engagement of audience primarily starts from expansion of thinking and attitude of creator/developer, and it was the very important factor. Therefore, the performance which can interact as audience’s participation can create as the realizable performance when the attitude and the thought could be the background. Moreover, this performance helped audience to recognize themselves and to feel their consciousness, so they enable have their own experience through more active participation.
Thus, I saw the possibility and found through the study which focused on necessity of developing performing art as an experience through various new formats to enabl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So I also understood that provision of participation environment enabled audience to experience entertaining and educational value and a lot more effect of healing over the feeling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fulfilment. Moreover, maximizing audience participation can influence interest and attention of others on the performing arts, so this will bring spin-offs to obtain more potential audience, and will affect the inflow development of the new audience and the settlement as new genre.
Through this research, I was able to estimate how to utilize performing art with audience Engagement by finding out role, position, and changes of such performing arts and its effect. It had artistic and empirical value as a performing art. As multi-phase and dynamic exchange of human emotion and sense, effect and function of audience Engagement was found, so in a long term, I hope value of performing art as experience art will be spread and also this could be used as a base data for other audience Engagement arts. What is more, I hope it could be different from randomly using technologies and could fulfil needs of audience for new and various experience, resulting in mutual complementary.
I hope this research promotes the need for‘expansion of audience participation’in various arts and increase such arts based on complement, development, and growth from constant interests of creator/developer and various experiences. Hence, continuous post-research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ill be required.
21세기 현대사회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다양한 창작 콘텐츠가 생산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현재 공연 예술뿐만 아니라 많은 문화예술분야에서는 관객과의 관계와 만남 즉, 소통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기존 대다수 예술들의 ‘창작자 중심’의 일방향적 제작 방식에서 비롯한 소통 방식이었던 것에서 나아가 쌍방향적 소통 방식으로 관심을 기울이게 하였다. 또한 시대와 문화적 흐름에 따라 관객들의 욕구와 인식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바람은 예술을 향유하는데 있어 관객 스스로에게 참여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하였고, 그들의 욕구를 증대 시키면서 실제 관객을 확장된 의미로서 공연 안에서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하였다.
공연 예술은 관객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현장성이라는 특수성을 지니는 종합 예술로서 인간의 삶이 반영되고 투영된 현존 유일의 예술 장르이다. 또한 체험, 경험은 우리에게 실천적 성취감과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고 이는 정신적, 정서적 만족감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인간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힘이 된다. 공연에서 관객은 단지 객석에 혼자 앉아 공연을 수동적으로 바라보는 것만이 아니라 다수가 한자리에 모여 동시에 같은 체험을 공유한다. 이때 관객과 배우뿐만 아니라 관객 간의 상호 교감을 이루는데, 이러한 집단 체험의 특성은 체험의 효과를 증폭시킨다(정진수, 1998). 그렇기 때문에 체험적 경험으로서의 예술이 가능한 공연은 더욱 그 가치를 이루어 낼 수 있는 장(場)으로써 매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 디지털 기기나 매체를 사용하면서 더욱 다양하고 화려한 표현과 소통 방식의 활용에도 불구하고 인간 내면으로부터의 본질적 소통에 있어서 해소되지 않는 것들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는 인간의 정서와 심리적 교감을 디지털 기기와 매체로써 채워낸다는 데에서 오는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공연의 극적 공간, 일루젼(환영:illusion)의 공간은 애초 본질적으로 그 가상공간과 구별되기 때문에 이 지점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이와 같은 한계는 체험적 경험으로서의 관객 참여 공연으로, 예술경영지원센터의「2018공연예술트렌드조사보고서」에서도 “인간의 오감을 통한 다차원적 내밀한 소통 방식”으로서 채워 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체험적 경험이라는 것은 개인적이며 주관적인 경험으로 각자가 느끼는 정도와 깊이의 차이가 따를 수 있고 이러한 공연은 매 순간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때마다 다른 복잡하게 얽힌 환경적 요인들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일반화, 과학적 척도로 평가하기 보다는 나타나는 요인과 현상, 인터뷰를 통하여 이론적, 기술적, 해석적,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관객 참여형 공연 유형 및 현황을 살피며 나타나는 특성을 파악하고 도출하면서 이에 따라 관객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공연으로 즉흥극형 뮤지컬 <오늘 처음 만드는 뮤지컬>과 RPG 연극 <내일 공연인데 어떡하지>를 선정하여 작품 사례와 심층 인터뷰를 통한 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그 전략과 의도는 무엇이며, 어떻게 달라졌는지, 작품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등을 살펴보면서 발견된 요소와 특성들이 관객에게 어떠한 작용을 했는지 즉, 수행적 행위와 참여를 유발하게 하였는지 파악하고 특성을 도출하였다. 궁극적으로 관객의 개입과 관여를 받아들이고자 하는 ‘개방성’ 이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고 가능하게 하였다. 결국 관객은 ‘참여성’을 보장 받음으로써‘관객성’을 확장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역할 전이’가 일어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관객성의 확장 즉, 관객 참여의 여부는 일차적으로 가장 먼저 참여에 대한 창작자/제작자들의 사고와 태도의 확장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으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관객의 개입과 관여로서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공연은 이를 받아들이려는 사고와 태도가 바탕이 되었을 때,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공연으로서 창작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공연은 관객에게 자신 스스로를 인식하게 하고 자신의 의식을 깨워냄으로써 더욱 적극적인 관객의 참여, ‘나’만의 체험을 경험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처럼 인간의 본질적인 정서와 심리적 교류, 교감으로서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하고 새로운 형식을 통해 체험적 경험으로서의 공연 예술을 실현할 필요성을 인식하며 초점을 두고 연구하여 이를 발견하고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공연 환경의 제공은 체험적 경험을 통한 오락적·교육적 가치를 경험할 수 있게 해주고, 정서적·심리적 만족감과 성취감을 뛰어넘는 치유적 그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객 참여 극대화를 통하여 또 다른 이에게 공연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이끌고 기대감을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에 잠재 관객을 확보할 수 있는 파생 효과를 일으킴으로써 새로운 장으로서의 자리매김과 더불어 새로운 관객 유입의 관객 개발에도 영향을 미치기에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현대 공연 예술에서 나타나는 관객 참여형 공연, 관객의 역할과 위치, 변화를 확인하고 참여의 효과를 발견함으로써 관객 참여의 활용 방향을 가늠할 수 있었다. 공연 예술의 예술성과 체험적 경험으로서의 가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면서 매개임을 확인하였다. 인간의 의식으로서 감정, 감성과 감각의 다각적이며 입체적인 교류로서 의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공연에서 관객 참여가 보여주는 그 효과와 가능성을 발견하였기에 장기적인 목표 아래, 체험적 경험으로서의 예술로 공연 예술의 가치가 실현되길 바라며 향후 관객 참여를 활용한 공연의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무분별한 기술의 활용만이 아니라 본질적 가치를 다양하고 새롭게 활용하여 관객들의 내면적 체험을 이룰 수 있기를 바라며 상호 보완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가 공연 예술의 다양한 관객‘참여 확장’의 필요성을 느끼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공연문화예술계의 창작자/제작자들의 꾸준한 관심과 연구로 다양한 형식의 실험적 시도로 보완·발전·성장되어 관객 참여형 공연이 더욱 활성화되길 희망한다.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다각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