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만화 캐릭터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 Design in the Cartoon
저자
오영신 (신구대학)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64-276(13쪽)
제공처
현대 사회가 급속히 변화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대중의 기호는 점차 개성화 되고 감성화 되어감에 따라 단순하고 획일적인 형태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80년대 말 이후 감성적심리를 자극하는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사고의 도래와 함께 감각적 소비와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다양한 대중의 욕구의식은 유행주기를 더욱 가속화 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자인에 있어서도 대중의 욕구에 부합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 개념이 요구되고 있다.
오늘날 사람들은 읽고 쓰는 것보다 보고 느끼는 것에 더욱 익숙해져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중을 상대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그들에게 친근하게 접할 수 있고 주목성과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캐릭터는 그 자체가 어떤 대상을 특징화 하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사전달의 목적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 와서는 이러한 캐릭터의 사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으며 그것에 대한 인식도 바뀌어 가고 있다. 주로 청소년층을 겨냥한 팬시용품에 사용되던 캐릭터가 올림픽이나 박람회와 같은 대규모의 행사를 거치면서 기업공공단체의 마스코트로서 뿐만 아니라 제품의 홍보와 판촉을 위해서도 적극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캐릭터는 소비자에게 훌륭한 심볼이되고 사랑을 받게된다. 또한 아이디어는 구매자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고 심리적 만족감을 주게 된다.
캐릭터와 아이디어는 참신한 독창성이 생명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캐릭터 개발과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일부 제품디자인의 캐릭터는 외국의 것을 무분별하게 불법했지만 이제는 새로운 개발에 힘쓰게 되었다. 만화 작품의 캐릭터도 새로운 작품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부족하고 기성작가의 고정된 캐릭터 작품 활동으로 새로운 캐릭터가 활발하게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어구나 캐릭터의 디자인은 전문가만이 논의 되어 왔을 뿐, 캐릭터를 선호하는 소비자와는 사전에 충분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외국에서도 캐릭터의 디자인은 디자인 전문가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운동, 양식, 개성, 기교로 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구 사용자의 참여를 촉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과 만화의 캐릭터에 대한 소비자의 이미지 평가를 분석하여 캐릭터에 대한 개발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캐릭터 디자인이 현대나 미래에 왜 중요하고, 그 개념은 무엇이며, 그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나름대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In a nation like Korea which is poorly endowed with natural resources but abundant in human resources, technology must be the key to increase the national added values. If the technology is featured in terms of aesthetics, it becoms design. In this abundant society, the age when any commodity can sell will not comeback. At the same time, additional added values are required of the functional commodities.
Now, the information society full of sensual functions is coming up. Design is a sence, while the information is enhanced by sensual functions. In particular, the fancy commodities are a kind of sensual commodities which may well be differentiated form the ordinary products because they use some or other images or characters added. Currently, many young consumers use various fancy commodities, which in turn affect thei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enses. Nevertheless, such enormous effects on our young generation have been overlooked, making them familiar with the western culture full of sensual functions.
Therefore, reckless uses of foreign character should be avoided, and instead, a cultural arena should be created to enable our children and youth to see, feel and think about the characters befitting our commotion, at the same time, business managers are requested to recruit more able personnels and increase their investments to have the correct character designs established, while character designers should exert their maximum creative power to present new characters of our own. Moreover, businesses are requested not to spare their efforts to promote national cultural commodities and characters as well as expand the educational arena.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haracter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reby, suggesting some data useful to awaken people of our fancy character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ur own character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