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립뮤지엄 지역분관 건립을 위한 고려조건에 대한 고찰 :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29(21쪽)
제공처
최근 지역에서는 국립문화시설을 유치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이후 대전관 건립이 예정됨에 따라 많은 지자체에서 국립미술관의 지역분관에 관심이 높아졌다. 하지만 외부효과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정치적 요구가 많은 것에 비해, 국립미술관의 지역분관을 건립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조건은 무엇일지에 대한 고찰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지역분관에 기대하는 뮤지엄 건립에 따른 외부효과에 대한 논의의 특징과 지역문화정책 차원에서 이루어진 뮤지엄 분관 정책 흐름을 살펴보며 지역분관에 대한 담론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다양한 운 영형태의 분관을 운영하고 있는 영국 빅토리아앤알버트 박물관,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랑스, 프랑스 아비뇽 안의 루 브르 사례를 분석하여, 분관을 어떤 목적으로 건립을 결정하고 운영구조를 선택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 기관은 지역문화향유권 강화를 위한 목적, 본관의 기능 강화를 위한 목적, 본관의 브랜드 가치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목적 등에서 추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목적에 따라 상이한 운영형태를 선택하고 있었다. 이는 향후 국립뮤지엄의 지역분관 추진 목적 및 추진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Recently, competition among local governments to attract national cultural facilities has intensified. Following the opening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Cheongju, the construction of the Daejeon branch has been officially confirmed, fueling local governments' growing interest in attracting another regional branch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owever, while there are vague expectations of ripple effects and strong political demands,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conditions and requirements needed to establish regional branches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is study reviews discussions on the ripple effects of establishing regional museum branches, examines chronological trends in museum branch policy within the central government's local culture policy,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discourses on regional branches. It also examines cases of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in the United Kingdom as well as the Louvre-Lens and the Musee du Petit Palais in France, which operate their regional branches in their own ways, to analyze the purposes behind their decisions to establish regional branches and the criteria used to structure their operation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se three institutions established their branches to enhance local cultural engagement, strengthen the functions of the parent museum, and utilize their brand value. It has also been revealed that each of them has its own system for operating regional branches, offering insights into the future establishment of regional branches of national museums in Korea.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