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언어폭력, 언어조작 그리고 거짓말 - 아리스토텔레스의 에토스를 중심으로 = Verbal violence, verbal manipulation, and lies - Focusing upon Aristotle’s etho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9-207(29쪽)
제공처
본고는 먼저 언어의 사회적 기능을 방해하는 언어오용을 언어행위이론에 기초하여 언어폭력과 언어조작으로 나누어 살핀다. 언어폭력은 상대방에 대한 공격성이 표현에 여실히 드러나며, 발화행위, 발화수반행위, 발화효과행위 사이 간격이 크지 않다. 그중 화자가 의도적으로 한 협박, 막말 등 언어폭력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후자에서 발화효과행위를 중시하는 성희롱과 같은 경우에는 의도가 없었다는 변명만으로 언어폭력을 무효화할 수 없다. 언어조작의 특성은 허위와 속임수이다. 언어폭력과 달리, 이간질, 거짓말 등의 언어조작은 발화행위, 발화수반행위, 발화효과행위 사이 간격이 크고 비가시적이어서 그 위험성이 크다. 언어조작 방법은 설득 기술 등 수사학의 모든 것과 연관되므로 언어조작을 밝히는 것도 수사학의 소임이다. 언어조작의 핵심인 거짓말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에토스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그는 에토스로서 실천적 지혜, 덕, 선의를 제시한다. 그에 따르면, 이것들에서 어느 것이 결여할 때 청자는 오류에 빠지고 따라서 화자에 대한 신뢰도 무너진다. 본고는 그 의미와 이유를 살피면서 거짓말의 상이한 이해와 정의를 나누어 분석하고, 챗GPT, 가짜뉴스 등의 문제와 거짓말의 다의성 문제를 풀어낸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에서 거짓말이 팽배해진 문제점과 추구하는 가치, 덕목의 관계를 밝힌다.
더보기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language misuse that hinder the social function of language and divides that into verbal abuse and verbal manipulation based on speechact theory. Verbal abuse clearly shows aggression towards the other person in the expression. In verbal abuse, the gap between locutionary act, illocutionary act, and perlocutionary act is not large. Among them, some verbal abuse is intentional by the speaker(for example, threats), and some are not. In the latter case, when the perlocutionary act is emphasized, verbal abuse is not defended by the fact that there was no intention(for example, sexual harassment). The characteristics of veral manipulation are falsehood and deception. Verbal manipulation such as estrangement and lying has a high risk because the gap between locutionary act, illocutionary act, and perlocutionary act is large and invisible. Methods of verbal manipulation are related to all aspects of rhetoric, including persuasion strategies. Therefore, uncovering language manipulation is also the task of rhetoric. Lying, the core of language manipulation, is analyzed focusing on Aristotle's ethos. Aristotle presents practical wisdom, virtue, and good will as ethos. According to him, when any of these are lacking, the listener falls into error and thus trust in the speaker is lost. This paper analyzes different definitions of lying and solves problems such as ChatGPT and fake news.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read of lies in Korean society and the values and virtues pursued by Korean society is reveal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