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블록체인 활용방안에 대한 규범적 고찰 = A Normative Study on the Use of Block Chai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주제어
KDC
366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03-232(30쪽)
KCI 피인용횟수
9
제공처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의 가격은 하늘높은 줄 모르고 치솟다가 등락을 반복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의 정부는 그 법적지위를 어떻게 설정할지 고민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다가올 변화를 두고 볼
때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비트코인이 아니라 그 기반기술인 “블록체인”이 가져올 변화의 가능성과 폭은 무궁하기 때문이다.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될 경우 법제도에 어떠한 방식으로 접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블록체인 기술은 특히 시각저작물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시각저작물은 디지털로 변형하기 쉬워 블록체인 기술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과 더불어 기술이 지닌 속성들은 상대적으로 시장이 덜 성숙되어 있는 국내의 미술품 유통분야에서 유익하게 활용될 여지가 크다. 기술이 지닌 분권성과 확장성은 “중개자를 거치지 아니한, 다양한 유형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며, 익명성과 보안성은 “추적이 가능하지만 익명인, 위변조가 불가능한 공시수단”을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경우 법제도에 미칠 영향을 국내 미술품 유통시장을 중심으로 고민해 보고자 한다. 우선 ① 블록체인 기술의 등장과 발전에 대해 살펴보겠다. 이를 통해 ② 블록체인 기술이 지닌 규범적인 함의를 정리한다. 다음으로 ③ 이러한 함의가 저작권 보호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저작물성, 저작인격권, 저작재산권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비록 블록체인이 저작권 보호에 활용되고 있는 현황이 미술품 유통시장에 대한 논의와 직접 연결되지는 않지만, 기술이 지닌 규범적인 함의를 바탕으로 법제도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본고의 논지상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④ 오늘날 논의되고 있는 국내 미술품 유통시장 개선방안에 대해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모색해 본다.
Interest in Bitcoin is hot. The price of the first encrypted coin is skyrocketing, soaring and fluctuating.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are wondering how to set the legal status.
However, this phenomenon is just the tip of the iceberg in the coming changes. The possibilities and breadth of the changes that the block chain will bring is unending.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block chain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the legal system. Block chain techniques are particularly useful in the visual arts field. This is because it is easy to transform a visual work into a digital one, so that a block chain technique can be easily applied. In addition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attributes of the technology are likely to be beneficially utilized in domestic art distribution, where the market is relatively mature. The decentralization and scalability of technology enables various types of transactions that do not go through intermediaries , and anonymity and security can provide traceable but
anonymous, unforgeable disclosure methods .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impact of the block chain technology on the legal system in the domestic art market. First, I will examine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block chain technology. Through this, we summarize the normative implications of block chain technology. Next, I will analyze how these implications contribute to copyright protection by dividing them into copyright
ability, moral rights, and author’s property right. Although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block chain is being used for copyright protection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discussion on the art market, there is a need to review this paper to find new ways of utilizing the legal system based on the normative implications of technology. Based on this, I will look for policy measures that can expect effects by using the block chain to improve the distribution market of domestic art market discussed toda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5 | 0.95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79 | 0.871 | 0.3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