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송강 정철의 장진주사 수용에 관한 통시적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Diachronic Aspects of Accepting Song Gang Jeong Cheol`s Jang Jin Ju Sa(松江 鄭澈 將進酒辭)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03-223(2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송강 정철의 <장진주사>는 송강 이전 시기나 이후 시기의 수많은 <장진주사>작품들 중 한글 작품으로는 유일하다. 또한 시대 구분 없이 노래(=가곡)에 영향을 준 것과 현재까지 노래하는 유일한 작품인 것이다. 이러한 송강 정철의 <장진주사>에 대하여 통시적으로 수용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송강 정철이 생존할 당시와 사후의 노래에 대한 주변 환경은 만대엽ㆍ중대엽ㆍ삭대엽이라는 음악적 형식이 등장하였다. 당시 사람들의 취향은 느린 만대엽보다는 빠른 삭대엽(=가곡)을 좋아하였다. 이후 삭대엽(=가곡)의 형식에 따라 노래 부르던 것들이 점차 확대 생산되면서 기록으로 수많은 가집들이 만들어지면서 지속적인 수용을 하게 된 것이다. 18세기 전기를 지나 중엽까지는 송강의 제자 석주 권필(石洲 權?, 1569-1612)의 작품이 가곡으로 수용되었다. 이후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권필의 작품은 송강 정철의 <장진주사>와 짝을 이루는 동시에 여창이 갖는 공통점으로 수용되는 과정을 밟게 된다. 이러한 <장진주사>가 실려 있는 가집들은 19세기 가집들처럼 歌唱에 중심을 두고 편집된 것이기 보다 辭說 자체에 관심을 갖고 편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집 상황은 가집에 실려 있던, 잡가집에 실려 있던 가집 또는 잡가집을 만든 집단이나 개인이라도 <장진주사>를 노래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장진주사를 노래할 수 가집`으로 만든 집단”과 “`장진주사를 노래할 수 없는 가집`으로 만든 집단”으로 구별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장진주사>가 가곡에 편재되어 있으면 <장진주사>를 부를 수 있는 것이고, 그 반대라면 <장진주사>를 노래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는 정간보와 같이 악보화를 할 수 있어 가곡으로 노래하는 전통이 현재까지 수용되어 왔고, 후자는 악보화를 하지 못한 채 기록으로만 남겨 두게 되는 차별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이것은 <장진주사> 한 곡만 놓고 보더라도 우리의 시가문학을 `부르고 듣는 문학`과 `기록하고 보는 문학`으로 구분하게 되었으며, 이 구분은 `부르고 듣는 문학`으로 수용되면서 현재까지 가곡으로 노래하는 전통이 이어져 오고 있다.
더보기Song Gang Jeong Cheol` Jang Jin Ju Sa(松江 鄭澈 將進酒辭) is only and unique irrespective of periods in that it is a Hangeul work as well as it had influenced songs(=Gagok(歌曲), lyric song cycles accompanied by an orchestra) and has been sung until the presen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achronic aspects of accepting Song Gang Jeong Cheol`s Jang Jin Ju Sa(松江 鄭澈 將進酒辭). Musical forms including Man Dae Yeop(慢大葉), Jung Dae Yeop(中大葉), and Sak Dae Yeop(數大葉) had emerged according to periods because the taste of people in those days had preferred quick Sak Dae Yeop(數大葉) to slow Man Dae Yeop(慢大葉). As Gagok(歌曲) songs having been sung according to these forms were collected, they had been accepted continuously through the records by all sorts of Gajip(s, 歌集)(a collection of poems, song-poem collection, or a anthology). Through the early 18th century to the middle 18th century, the work of Seok Ju Gwon Pil(石洲 權?, 1569-1612) as Song Gang`(松江)s disciple had been accepted as a Gagok song. Later, by the late 18th cetury, it had been accepted by pailring up with Jang Jin Ju Sa(將進酒辭) in that they were common in Yeochang(女唱) or songs for women. Gajip(s, 歌集) in the 19th century were compiled by focusing on songs, whereas Gajip(s, 歌集) carrying such Jang Jin Ju Sa were compiled by focusing on lyrics or words. However, whether songs were run in Gajip(歌集) or Japgajip(雜歌集), this compiling situation classified groups or individuals compiling Gajip(歌集) or Japgajip(Japga collections, 雜歌集) into the group compiling Gajip(歌集) to be able to sing Jang Jin Ju Sa(將進酒辭) and the group compiling Gajip(歌集) to be unable to sing Jang Jin Ju Sa(將進酒辭), according to whether to be able to sing Jang Jin Ju Sa(將進酒辭). The former could be made in Jeongganbo(井間譜) scores to have been accepted as the tradition to be sung as Gagok(歌曲) until now, while the latter could not made in scores to have remained as a record. This situation divided our poetic literature into the literature to sing and hear and the literature to record and see, so that the tradition to be accepted as the literature to sing and hear and to be sung as Gagok(歌曲) has been transmitted up to now.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KCI후보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3 | 1.266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