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바베트의 만찬에 나타난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축제의례놀이 = Feast Ritual Play to Restore the Community Spirit Observed in Babette’s Feast: Focused on Communication of Social Sense and Co-Presence of Artists’ Lif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5-209(15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오늘날 현대인의 삶은 사회적 코드의 페르조나를 투명하게 전시하며, ‘가능성의 극한’이라는 치열한 경쟁 흐름의 감각으로만 길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시스템은 현대인의 자유를 자발적으로 착취하게 하는 ‘피로사회’와 ‘투명사회’의 분위기로 전락하게 한다. 그런데 문제는 사회시스템이 현대인의 비극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극을 양산시키는 흐름으로 가속화하며, 공동체적 감각을 봉합하는데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축제의례에서 감촉되는 ‘순례의 피크노랩시스’는 사회적 비극을 소멸시키는 흐름에서 극적인 전환을 가져오는 치유과정이다. 이 축제의례는 현대인이 ‘어찌할 수 없는 세계’에서 강렬한 ‘서사성의 감응’으로 순례의 피크노랩시스를 일어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원자화되고 분열된 현대인은 상호 간에 단절된 비극을 공유하고 갈등을 녹여내어, ‘영원한 순간’의 공동체성이라는 ‘촉각적인 점착력’으로 급격히 전환할 수 있다.
문학작품 디네센의 ‘바베트의 만찬’은 ‘바베트의 탕진’을 통한 축제의례의 순례의 피크노랩시스를 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바로 축제의례는 순례의 피크노랩시스를 촉발하여 현대인들의 무의식 깊이 갈등과 상처를 새로운 차원에서 치유한다. 동시에 ‘문화적 기억’의 감응은 갈등과 적대감을 화해로 전환한다. 즉 바베트의 만찬은 현대인들이 갈등과 적대라는 깨어진 공동체를 ‘공동체적 환희’로 감응하며, 회복하는 극적인 전환을 보여주는 인상 깊은 텍스트이다.
축제에서 순례의 피크노랩시스는 서사성으로 감응하는 감정이입과 현실문제에 대한 ‘문화적인 대처성’을 내재하고 있다. 가속화된 경쟁흐름에 지친 현대인들은 축제의례에서 삶의 ‘접힘’을 뚫는 희망의 발견과 비극을 공유하는 ‘공동체적 촉각성’을 촉발하고 ‘사회적 감각’을 확장할 수 있는 ‘사건’이다. 이러할 때 축제는 현대인들에게 ‘투명사회’와 피로사회의 ‘동질성의 압력’과 가능성의 극한으로 치달아가는 경쟁적 분위기에 영혼을 상실하는 좀비행렬로부터 당당히 벗어나게 한다. 이러한 축제는 예술가의 삶 즉 ‘아욱토르의 삶’을 회복하게 하는 강력한 기제로서 운명을 뚫고 나아가는 빛남의 순간과 서사적 사건을 가능하게 하며, 비극을 소멸시키는 사회적 감각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The life of modern people in these days apparently illustrates the persona of social code to us and drives us only to the sense of fierce competition flow, so called, ‘extremity of possibility’. Such social system degrades the freedom of modern people to the atmosphere of ‘fatigue society’ and ‘transparent society’ making us voluntarily exploit our freedom. However, the critical issue is that the social system doesn’t solve the tragedy ofmodern people but accelerates the flowmass-producing the tragedy and seals the community spirit ofmodern people.
In such atmosphere, ‘Picnolepsis of pilgrimage’ sensed in the festival rituals is the healing process inducing the dramatic change of the flow eliminating the social tragedy. The festival rituals cause the ‘Picnolepsis of pilgrimage’ by modern people with fervent ‘response of narrativity’ in the ‘inevitable world’. In this process, the modern people micronized and split can make rapid change with the tactual tenacity called ‘community spirit’ of ‘eternalmoment’ by sharing the tragedy ruptured between themandwashing out the conflicts.
The literary work ‘Babette’s Feast’ by Dinesen dramatically illustrates the ‘Picnolepsis of pilgrimage’ in the festival rituals through the ‘potlach of Babette’. The festival rituals make modern people heal the conflicts and wound deep inside the unconsciousness in the new dimension by triggering the ‘Picnolepsis of pilgrimage’ and change them into the ‘cultural memory’. In other words, ‘Babette’s Feast’ is the text dramatically changing the process respondingwith ‘community delight’ and expanding the social sense.
Picnolepsis of pilgrimage’ in the feast contains the cultural responsiveness against the problems in reality and empathy responding with the narrativity. Themodern people exhausted in the accelerated competition trigger the ‘communal tactile sense’ enabling to share tragedy and find out the hope passing through the ‘frustration’ in the life and expand the social sense through the festival rituals.
Accordingly, the feasts are the strong mechanism to make modern people bravely escape from the march of Zombies in the competitive atmosphere running to the extremity of possibility and pressure of homogeneity in the fatigue society and ‘transparent’ society and finally to restore the ‘life of Auctor’, the artistic life. Furthermore, it realizes themoment of brightness advancing through the fate and narrative events as well as expands the social sense extinguishing the tragedy.
오늘날 현대인의 삶은 사회적 코드의 페르조나를 투명하게 전시하며, ‘가능성의 극한’이라는 치열한 경쟁 흐름의 감각으로만 길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시스템은 현대인의 자유를 자발적으로 착취하게 하는 ‘피로사회’와 ‘투명사회’의 분위기로 전락하게 한다. 그런데 문제는 사회시스템이 현대인의 비극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극을 양산시키는 흐름으로 가속화하며, 공동체적 감각을 봉합하는데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축제의례에서 감촉되는 ‘순례의 피크노랩시스’는 사회적 비극을 소멸시키는 흐름에서 극적인 전환을 가져오는 치유과정이다. 이 축제의례는 현대인이 ‘어찌할 수 없는 세계’에서 강렬한 ‘서사성의 감응’으로 순례의 피크노랩시스를 일어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원자화되고 분열된 현대인은 상호 간에 단절된 비극을 공유하고 갈등을 녹여내어, ‘영원한 순간’의 공동체성이라는 ‘촉각적인 점착력’으로 급격히 전환할 수 있다.
문학작품 디네센의 ‘바베트의 만찬’은 ‘바베트의 탕진’을 통한 축제의례의 순례의 피크노랩시스를 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바로 축제의례는 순례의 피크노랩시스를 촉발하여 현대인들의 무의식 깊이 갈등과 상처를 새로운 차원에서 치유한다. 동시에 ‘문화적 기억’의 감응은 갈등과 적대감을 화해로 전환한다. 즉 바베트의 만찬은 현대인들이 갈등과 적대라는 깨어진 공동체를 ‘공동체적 환희’로 감응하며, 회복하는 극적인 전환을 보여주는 인상 깊은 텍스트이다.
축제에서 순례의 피크노랩시스는 서사성으로 감응하는 감정이입과 현실문제에 대한 ‘문화적인 대처성’을 내재하고 있다. 가속화된 경쟁흐름에 지친 현대인들은 축제의례에서 삶의 ‘접힘’을 뚫는 희망의 발견과 비극을 공유하는 ‘공동체적 촉각성’을 촉발하고 ‘사회적 감각’을 확장할 수 있는 ‘사건’이다. 이러할 때 축제는 현대인들에게 ‘투명사회’와 피로사회의 ‘동질성의 압력’과 가능성의 극한으로 치달아가는 경쟁적 분위기에 영혼을 상실하는 좀비행렬로부터 당당히 벗어나게 한다. 이러한 축제는 예술가의 삶 즉 ‘아욱토르의 삶’을 회복하게 하는 강력한 기제로서 운명을 뚫고 나아가는 빛남의 순간과 서사적 사건을 가능하게 하며, 비극을 소멸시키는 사회적 감각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The life of modern people in these days apparently illustrates the persona of social code to us and drives us only to the sense of fierce competition flow, so called, ‘extremity of possibility’. Such social system degrades the freedom of modern people to the atmosphere of ‘fatigue society’ and ‘transparent society’ making us voluntarily exploit our freedom. However, the critical issue is that the social system doesn’t solve the tragedy ofmodern people but accelerates the flowmass-producing the tragedy and seals the community spirit ofmodern people.
In such atmosphere, ‘Picnolepsis of pilgrimage’ sensed in the festival rituals is the healing process inducing the dramatic change of the flow eliminating the social tragedy. The festival rituals cause the ‘Picnolepsis of pilgrimage’ by modern people with fervent ‘response of narrativity’ in the ‘inevitable world’. In this process, the modern people micronized and split can make rapid change with the tactual tenacity called ‘community spirit’ of ‘eternalmoment’ by sharing the tragedy ruptured between themandwashing out the conflicts.
The literary work ‘Babette’s Feast’ by Dinesen dramatically illustrates the ‘Picnolepsis of pilgrimage’ in the festival rituals through the ‘potlach of Babette’. The festival rituals make modern people heal the conflicts and wound deep inside the unconsciousness in the new dimension by triggering the ‘Picnolepsis of pilgrimage’ and change them into the ‘cultural memory’. In other words, ‘Babette’s Feast’ is the text dramatically changing the process respondingwith ‘community delight’ and expanding the social sense.
Picnolepsis of pilgrimage’ in the feast contains the cultural responsiveness against the problems in reality and empathy responding with the narrativity. Themodern people exhausted in the accelerated competition trigger the ‘communal tactile sense’ enabling to share tragedy and find out the hope passing through the ‘frustration’ in the life and expand the social sense through the festival rituals.
Accordingly, the feasts are the strong mechanism to make modern people bravely escape from the march of Zombies in the competitive atmosphere running to the extremity of possibility and pressure of homogeneity in the fatigue society and ‘transparent’ society and finally to restore the ‘life of Auctor’, the artistic life. Furthermore, it realizes themoment of brightness advancing through the fate and narrative events as well as expands the social sense extinguishing the traged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83 | 1.366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