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분석을 통한 표현 문형 오류 분포 연구 -담화 유형과 담화 장르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Formulaic Expression Errors of Korean Learners through Corpus Analysis - Based on Discourse Type and Discourse Genre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국제어문(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41-371(3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구어 말뭉치 자료를 대상으로 문형별, 담화 유형별, 담화 장르별로 표현 문형 오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분포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의 표현 문형 오류 양상과 오류 층위별 특징을 담화 유형과 담화 장르를 중심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인 화자가 관습적으로 사용하는 한국어 표현 문형은 문법 단위를 넘어서 모어 화자가 산출하는 담화의 유형, 기능, 장르(종류) 등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개념이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표현 문형을 구사할 때에도 문법 지식의 오류를 넘어 담화나 장르, 화용 영역에서의 오류로 확장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의 학습자 오류 주석 말뭉치(문어: 462,325 어절, 구어: 349,906 어절, 812,231 어절)를 활용하였다. 국립국어원 학습자 말뭉치 주석은 모든 오류마다 빠짐없이 부착되는 기본 주석과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확장 주석의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오류 양상은 기본 주석으로서 누락, 오형태, 대치, 첨가로 주석되며 다음으로 오류 층위는 오류가 나타난 언어 영역을 발음, 형태(굴절 활용), 통사(시제, 사동, 피동, 부정), 담화 영역(구어/문어 오류) 중에서 선택적으로 주석된다. 한국어 학습자의 표현 문형 오류 분포는 다음과 같다. 먼저 표현 문형별 분포를 보면 부정을 나타내는 ‘-지 않’의 오류 빈도가 가장 높고 ‘-는 것’, ‘게 하’ 등의 순서로 오류 빈도가 높았다. 두 번째로, 담화 유형별 오류 항목 순위를 보면 문어에서는 ‘-지 않’, ‘-게 하’, ‘-을 것이’ 등의 순서로 오류 빈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구어에서는 ‘-을 수 있’, ‘-을 때’ 등의 순서로 오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담화 유형에 따른 숙달도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x² =22.944, p<0.05). 세 번째로, 담화 장르별 표현 문형 오류 분포는 생활문에서의 오류 빈도가 다른 장르에 비해 가장 많았고 역시 생활문 장르에서 다양한 표현 문형 오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표현 문형의 오류 양상별 특징(누락, 오형태, 대치, 첨가), 오류 층위별 특징(발음, 형태, 통사, 담화)은 담화 장르에 따른 분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담화 유형별 분포에서 x² 검정 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오류 양상: x²= x²=55.733, p<0.05, 오류 층위: x²=124.084, p<0.05).
더보기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formulaic expression errors by sentence type, discourse type, and discourse genre using a Korean learner corpus (written and spoken).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ror aspects and error layers of formulaic expressions focusing on the discourse type and genre.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learners’ error corpus (written: 462,325 words; spoken: 349,906 words; total: 812,231 word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e learner corpus annotat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has two levels: a basic annotation attached to every error, and an extended annotation attached selectively to errors. The error aspect has the basic annotation of omission, misformation, replacement, or addition, while the error layer is selectively annotated as pronunciation, morphology, syntax and discourse. The distribution of formulaic expression errors of Korean learners is as follows: By formulaic expression type, the error frequency of -ji an indicating neg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neun geot and -ge ha. The ranking of errors by discourse type in written language by frequency was in the order -ji an, -ge ha, and -eul geosi, whereas in the spoken language, the most common errors were -eul su it and -eul ttae. The difference in mastery by discourse type was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x² = 22.944, p < 0.05). By discourse genre, the frequency of errors was higher in experiential writing than in other genres, and certain formulaic expression errors were commonly found in experiential writing.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rror aspect (omission, misformation, replacement, addition) and error layer (pronunciation, morphology, syntax, discour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tribution by discourse type (for error aspect: x² = 55.733, p < 0.05; for error layer: x² = 124.084, p < 0.05).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10-1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국제어문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76 | 1.32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