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초등교육론 연구 = (A) study on Plato's theory of elementary education
저자
발행사항
광주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행정·정책 전공 , 2007. 2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375.201375.213 판사항(4)
발행국(도시)
광주
형태사항
v, 80p. : 삽도 ; 26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75-76
소장기관
이 연구는 초등교육의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교육의 궁극적 목적과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에 대한 명료한 이해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이루어진 것이다. 그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를 인간으로서의 좋은 삶과 덕(arete, 훌륭함)의 문제를 깊이 통찰한 플라톤의 철학과 교육론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구체적인 탐구 질문은 첫째, 플라톤 철학에서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둘째, 그의 총체적인 교육 구상 속에서 초등교육은 어떠한 모습이어야 하는가? 라는 두 가지이다. 플라톤의 초등교육에 대한 견해는 다음 세 가지 질문들을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첫째, 초등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일반적인 견해가 말하듯이 생산자 계급을 대상으로 욕구를 억제하여 통치자들에게는 복종을 그리고 쾌락에 대해서는 극기심을 기르기 위한 것인가? 둘째, 초등교육의 내용은 무엇인가? 플라톤이 제안한 시가교육과 체육교육은 현대의 분화된 예체능 교과에 상응하는 부분적인 감각 기능 훈련의 성격을 갖는 것인가? 셋째, 초등교육의 방법은 무엇인가? 초등교육방법으로서 언급되어지는 모방과 놀이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사유 없이 이루어지는 단순한 따라하기 혹은 즉흥적인 활동중심의 교수법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들을 주요 탐구질문으로 삼으며, 플라톤의 총체적인 철학에 대한 이해의 기초 위에서 초등교육 단계에 관한 그의 견해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는 주로 플라톤의 철학과 교육에 관한 포괄적인 대화편, 『국가론』과 『법률』이라는 일차자료의 분석 및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문헌연구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결과 얻어진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덕의 실현이야 말로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자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감관에 의존한 경험적 앎은 변화하기에 완전한 지식의 영구불변의 확실성의 준거에 이르지 못한다. 순수 이성을 통해 인식되어지는 절대불변의 실재만이 인간을 비롯한 모든 것들에게 존재의 준거를 제시하여 준다. 절대 불변의 실재 중에서 참된 지식, 절대적으로 선한 가치를 ‘선의 이데아’,‘덕’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인간이 추구해야 할 가장 근본적인 것으로 삶의 이유이자 방향이다. 이에 삶을 올바르게 이끌어 줄 교육 역시‘덕의 실현’을 그 목적으로 한다.
둘째, 플라톤은 인식과 지식에는 위계적 구조가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위계적 구조에 비추어, 교육은 감각적 현상계로부터 단계적으로 이루어가는 것으로 파악된다. 인식과 지식의 최고 상위에는 선의 이데아가 자리잡고 있다. 선의 이데아를 인식하고 아는 것은 영혼이 가시계에 머물렀을 때는 불가능하다. 즉, 영혼이 가시계로부터 가지계로의 방향전환이 필요한데, 이 방향전환은 교육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영혼은 인식의 순차적인 오름에 의해 가시계를 넘어 가지계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가시계에서 교육의 시작 단계인 초등교육이 중요하다.
셋째, 덕의 실현을 위한 첫 번째 단계의 교육으로 초등교육은 영혼의 조화로운 발달을 목적으로 하는 적극적인 도야의 의미를 내포한다. 초등교육에서는 욕구를 적정하게 규제하는 절제의 덕을 길러 영혼의 조화를 이루고, 영혼이 변화하는 세계로부터 참된 실재가 존재하는 가지계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영혼에게 분별력과 헤아림의 감각을 길러주어야 한다. 여기서 욕구를 절제한다는 것은, 우리에게 좋은 쪽으로 작용하는 필연적인 욕구들은 더욱 좋은 것에 익숙하게끔 하여 상위 정신 활동에 더 전이가 잘 될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필요하지 않지만 우리의 영혼에 존재하는 욕구들은 최대한 규제하여 상위 활동으로 인식과 영혼에 전이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는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욕구는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영혼의 요소로서, 절제의 덕을 기르는 초등교육은 생산자라는 특정한 계급에만 한정된 교육이 아니라 모든 시민이 받아야하는 보통교육이다.
넷째, 초등교육은 시가교육과 체육교육에 의해 이루어진다. 시가 교육은 음악, 시, 연극, 율동 등이 복합적으로 통합된 형태의 교육이고, 체육은 섭생, 신체 훈련 등을 포함한 교육으로 지금의 예체능 교육보다도 훨씬 넓은 개념의 형태들이다. 특히 시가 교육은 균형과 조화를 바탕으로 불필요한 욕구들을 감소시키고 필연적인 욕구들은 상위로 전이될 수 있도록 절제의 덕을 길러 좋은 것을 잘 헤아리는 분별력을 견고하게 갖도록 하고, 체육교육은 기개라는 격정적인 부분을 달래고 순화시켜 영혼을 조화롭게 만들기 위한 것이다.
다섯째, 플라톤이 언급한 초등교육의 방법으로서 모방은 진정으로 좋은 것과 아름다운 것들을 닮아가려는 습관을 길러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플라톤이 제시한 모방이라는 것은 단순한 내용의 무조건적인 따라하기가 아니라 아동 스스로 구체적인 영상(실재의 반영물)들에 대해 자신들의 자유로운 상상과 추측을 통해 스스로 좋은 것, 아름다운 것을 구별하는 아동 고유의 사유와 판단이 개입된 활동이다. 그리고 놀이는 아동 개별의 흥미만을 고려한 게임이 아니라, 단순하게 정화된 시가와 체육의 학습 내용을 반복하거나 학습하더라도 지루하지 않게 또 하고 싶고 더 배우고 싶고 더 알고 싶은 마음의 감흥을 일으켜서 스스로 학습하고 배움에의 좋은 습관을 기르도록 하는 교육 방법이다. 즉, 모방과 놀이는 배움에로의 좋은 습관과 아름다움들에 대한 사랑을 자연스럽게 아동 스스로 키워가도록 할 수 있는 좋은 교수 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모든 시민들의 영혼들은 덕의 실현이라는 본질적 목적을 안고 있다. 참된 실재인 덕의 인식은 교육에 의해 가능하다. 교육의 첫 단계인 초등교육은 영혼의 욕구를 적절히 절제하여 조화로운 상태를 그 목적으로 하고, 영혼이 실재들에 친숙해질 수 있도록 단순하게 정화된 시가와 체육을 그 교육내용으로 삼고, 아동 스스로의 인식과 흥미를 고려하여 재미있는 모방과 놀이를 통해 이루고자 한다. 결국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는 교육을 통해 해결할 수 있고, 해결과정 속에서 그 첫걸음이라 할 수 있는 초등교육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upon the necessity of philosophic reflection and clear understanding on the ultimate aim of education and the essential nature of elementary education, which arises from critical awareness of the problematic reality of elementary education today. For this purpose, we may profitably turn to Plato(B.C 428/427~347), who reflects on the ideal form of the good and the virtuous way of good life for human being. His philosophy and educational thought may provide us with alternative ideas that lead to solving those problems.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elaborated in the following two respects. First, what is the ultimate aim of education in Plato's philosophy in general? Secondly, what is the ideal form and the characteristic nature of elementary education in the totality of his educational thoughts?
Plato's thought and perspectives on elementary education in particular are dealt with in detail around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the proper aim and purpose of elementary education in Plato's conception? As commonly considered, is it that the elementary education is intended to educate the lowest producing class in a way as to control their own desire and to obey the ruler by restraining themselves? Secondly, what should be taught as the subject matters of elementary education? Is it that the Mousike and Gymnastike which Plato suggested are intended to train partially the faculty of sensation as apart from pure reason? How may those subjects be related with music, fin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s the modern differentiated subjects? Thirdly, what is the proper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in elementary education? Is it that the Platonic method of mimesis or imitation and play in elementary education is an inferior method without regard to the learner's initiative and active thought?
Taking up all these in mind as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explores Plato's thoughts on elementary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his philosophy and educational thoughts in general. This study is approached with literature analysis methodology. The primary literature resources are those comprehensive dialogs of Plato's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thoughts, 『Politeia』 and 『Nomoi』. Other previous studies on Plato's educational thoughts are also review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ization of virtue (arete) is the ultimate purpose of human life and education. Because the virtue is true knowledge in the immutable existence and also the absolute good, it provides the definite criteria for our life.
Second, Plato conceives education as proceeded by stages according to the soul's gradual arising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existence. The soul is able to know ??to noumenon genos??over??to horomenon genos??by the soul's sequential climbing.
Third, the purpose of elementary education as the first stage for realizing virtue is soul's harmonious development. The elementary education should nurture the ??sophrosyne??by controling properly the soul's desire with all the citizens and give a discrimination and a conjecture to the soul.
Fourth, the essential subject matters of elementary education consist of Mousike and Gymnastike. These are far-reaching umbrella concepts in distinction from modern subjects such as physical education, music and fine arts. The mousike develops a strong discrimination faculty for discerning a good thing and the gymnastike helps to calm down and refine a passionate part, of spirit and then make the soul harmoniously.
Fifth, Plato suggested the mimesis and playing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elementary education. Both of these are proper methods to form naturally good habits of learning and of loving the beautiful.
All the citizens's soul have the essential aim of realizing virtue. The virtue as true existence, knowledge and value is realized by education. The elementary education, as the first step of education, aims at soul's harmony by controlling soul's desire properly. Simply ordered mousike and gymnastike as the subjects of elementary education make the soul to become familiar with true existence by mimesis and playing considering children's understanding and interest. Ultimately the essential problem of human life can be solved by education and therefore the elementary education as the first step in the developing process is so importa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