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초기 미국 영화로 보는 우생학과 산아제한운동 = 로이스 웨버의 <내 아이들은 어디 있는가>(Where Are My Children, Lois Weber, 1916)1)의 분석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3-118(2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1916년에 개봉한 엑티비스트 여성 감독, 로이스 웨버의 <내 아이들은 어디 있는가>(Where are my children)는 초기 무성영화들 중 가장 큰 상업적 성공을 기록한 영화이자 논란의 중심이 되었던 작품이다. 논란이 되었던 이유는 비슷한 시기에 재판을 받고 있던 급진적 페미니스트 여성 운동가, 마가렛 생어의 산하제한운동 지지 투쟁에 영감을 얻어 영화를 고안하고, 당시 범법 행위로 간주되던 피임과 낙태를 전면에 주제로 내걸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 아이들은 어디 있는가>가 페미니스트 운동에 영감을 받아 제작되고 그들이 주창했던 이슈를 영화의 메인 주제로 하고 있음에도, 그것을 다루는 시선은 모순적이다. 영화는 산하제한운동을 정당화하는 기제로 우생학을 이용하고, 이를 설파하고 관련된 집행을 하는 인물을 사회적 권위를 가진 남성 캐릭터로 설정함으로써 사실상 우생학 담론과 가부장적 권위 체제를 확고히 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양가적 태도는 이 영화를 만든 초기 여성 상업 영화감독 중 한 명이자 여성 노동자, 낙태 등 사회 전반의 문제들, 특히 마이너리티와 저소득층의 이슈를 다룬, 이른바 ‘엑티비스트시네마(activist cinema)’의 주도적 인물이었던 로이스 웨버의 커리어적 행보를 고려했을 때 더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내 아이들은 어디 있는가>의 모순적인 시선, 특히 산아제한 운동을 지지하는데 있어 우생학과 가부장적 관점을 수용함으로 보여지는 역설로 인해 영화는 학문적으로 비판을 받았고, 작품의 의의 자체가 과소평가 되었다. 이런 맥락의 비판이 타당성에 근거하고 있음에도 영화의 재조명과 재평가가 필요한 이유는 다른 어떤 매체도 제기 하지 못한 페미니스트 운동과 산하제한 캠페인에 대한 문제의식 및 미디어적, 대중적 관심이 웨버의 영화로서 실현되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로이스 웨버의 최고의 흥행작이자 문제작, <내 아이들은 어디 있는가>가 전달하는 다양한 시선들을 통해 여성인권운동에 기초한 산하제한운동이 역설적이게도 우생학 이론을 수용해야 했던 배경을 설명하고 이에 기초하여 <내 아이들은 어디 있는가>를 재평가 하고자 한다.
During the late teen years, the issues of contraception and abortion were hotly debated in early American society with the campaign led by Margaret Sanger, a feminist advocate who was going through legal battles in support of the women"s right for birth control. Sanger particularly used eugenics to call attention to the birth control movement. Lois Weber, an activist and film director produced a film, Where are my children (1916) inspired by Sanger"s case on birth control. The film depicted a story about a rich childless couple, which wife has had an abortion to keep her personal life. It involved with the trial hel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birth control should be legalized. The film gathered the enormous success at the box office as well as unprecedented media attention for its rendition of such controversial topic.
Where are my children has been marginalized from film scholarship and criticized by scholars (Kuhn, Pravadeli, Ritzenhoff) despite the enormous popularity and media coverage that it received at that time. It is because the film problematically privileges the eugenics discourse in defense of birth control. The film campaigns the necessity of birth control in an eugenicist way by explicating that a working class family should not have children while advocating birth by a rich, socially successful one. Over time, Weber"s treatment of birth control in Where are my children was further criticized in regards to her career as an activist and a pioneer of ‘activist cinema’ which aimed to highlight the issues of class and gender inequality.
This article however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film in conjunction with the previous scholarly criticism to trace the larger trajectory of how reproductive rights are treated, addressed, and represented in the visual and verbal rhetoric of Where are my children. It is not fair to omit the significance of the film and the academic attention all together considering not only for the record-breaking mass success but also for the public awareness on the issue of birth control instigated by the film,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when public discussion of birth control was subjected to legal consequences. By delivering the multiple voices existed in the early American society around the issue of birth control and its unlikely alliance with eugenics discourse, this essay highlights contraception/ abortion films of the late teens with specific relation to contemporaneous eugenics discourse and the early birth control movemen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43 | 0.652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