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귀도 비탈레(Guido Vitale)의 소화서(笑話書)『재미있는 중국 이야기(Chinese merry tales)』에 나타난 중국의 형상 = The Figuration of Chinese Images in Guido Vitale’s Jest Book Chinese Merry Tal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85-628(4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Westerners who arrived in China in the 19th century introduced Chinese culture to the West by compiling various books on Chinese language, Chinese literature, politics, religion, and art. Their research results under the name of ‘Folklore’ influenced the birth of today’s study of folklore and contributed to the birth of Chinese studies in the West.
Chinese Merry Tales(1901) is a work compiled by Baron Guido Vitale, considered the greatest Chinese scholar of the 20th century in Italy, and is the first collection of Chinese stories compiled by a Westerner. This study considered two points regarding this book. First, the preface and system in Vitale’s work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is folklore research. Unlike the early 19th century, when Chinese language textbooks were lacking and Chinese scriptures and novels were translated and annotations were used to learn the language,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Vitale was active, Chinese linguistic research had developed independently and Chinese language textbooks were available for all areas of the language such as conversation, grammar,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Chinese Folklore, Pekinese Rhymes(1896), Vitale annotated children’s songs and explained the meanings of words and phrases, and he presented the text of Chinese Merry Tales as a reading book for learning the Beijing dialect. It differs from contemporary Western research on Chinese studies in that it aims for an integrated study of literature and language.
Second, the image of China that Vitale seeks to evoke was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translation pattern, jest type, and theme of Chinese Merry Tales. Vitale translated the title into English, but added humor to the story by highlighting the character’s characteristics and actions that were not clearly revealed in the Chinese title. He further translated the text into Beijing dialect, but explained in detail the compressed narrative of the original version of the story and added new content. This allows beginners of Chinese to access Chinese culture in an easy and fun way. In addition, many humorous stories designed to induce laughter without satire or ridicule were translated to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Chinese people’s laughter code to Westerners and convey to them an open and positive view of China. In addition, besides general content that caricatures those in power or exposes human weaknesses, Chinese Merry Tales also records stories of a husband who is afraid of his wife and content that ridicules people in Beijing,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Chinese culture experienced by the author.
19세기 이후 중국에 유입된 서양인은 중국어문학, 정치, 종교, 예술 등에 대한 다양한 저서를 편찬하여 중국의 문화를 서양에 소개하였다. ‘Folklore(민속학)’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진 이들의 연구 성과는 오늘날 민속학의 태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서양의 중국학이 탄생하는 데 기여했다.
재미있는 중국 이야기(Chinese merry tales)(1901)는 이탈리아에서 20세기 가장 위대한 중국학자로 여겨지는 바론 귀도 비탈레(Baron Guido Vitale)가 편찬한 저작으로, 서양인에 의해 편찬된 최초의 소화집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책을 주제로 두 가지 점을 고찰하였다. 첫째, 비탈레의 민속학 연구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19세기 후반에는 중국어학 연구가 독립적으로 발전하고, 중국어 교재가 회화, 문법, 독해 등 각 영역별로 편찬되었으나 비탈레는 베이징 동요(Chinese Foklore, Pekinese rhymes)(1896)에서와 같이 동요에 주음을 달고 어구를 설명하였으며, 재미있는 중국 이야기의 본문을 베이징 방언 학습을 위한 독해집으로 사용하여, 문학과 어학의 통합적 연구를 지향하였다는 점에서 동시대 서양인의 중국학 연구와는 차별성을 지닌다. 둘째, 재미있는 중국 이야기의 번역 양상과 소화 유형, 주제 분석을 통해 비탈레가 형상화하고자 하는 중국 이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비탈레는 중문 제목에는 잘 드러나지 않은 인물의 특성과 행위를 부각시켜 영문으로 번역하여 해학미를 더하였고, 본문은 소화 원문의 압축적 서사를 자세하게 풀고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서양인이 쉽고 재미있게 중국 문화에 다가갈 수 있게 했다. 또한, 해학 소화를 많이 편역하여 서양인들에게 중국인의 웃음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중국에 대한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시각을 갖도록 했다. 또한, 권력자를 희화화하거나 인간의 약점을 폭로하는 일반적인 내용 이외에도, 아내를 두려워하는 남편의 이야기나 베이징 사람을 조롱하는 내용을 기록하여, 저자가 체험한 특수한 중국의 문화도 전달하려 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