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제하 조선 지방세입의 구조와 추이, 1910~1936 - 대만과의 비교를 겸하여 - = The structure and Changes of Local Governments’ Revenue in Colonial Korea, 1910~1936: Also With Focus on Comparison with Colonial Taiwa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3-154(4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has three goals. first I would like to show overall local governments’ revenue of colonial Korea from 1910 to 1936; second I would like to observe the relaionships between local governments’ revenue and that of the government-general. And third on the basis of my own estimation, I would like to calculate tax burden of Korean people under Japanese rule.
First I was able to the whole scale of local governments’ revenue of colonial Korea from 1910 to 1936. And I found that colonial Korea’s local pubic finance had something in common with that of colonial Taiwan, for example, the superiority of national tax to local taxes, the superiority of upper local government to lower local government, and so forth. Also I found that colonial Korea had unique revenue system like school-financing(학교비) or school union(학교조합), which had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 of the paths of colonization. Moreover I found that contrary to general belie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more aggressive than government-general of Taiwan in utilizing local governments’ revenue in order to realize its policies taking a detour to avoid interference from central government or national diet in Tokyo.
And finally, on the basis of my own estimation, I tried to compare tax burden of Korean people under Japanese rule with that of Taiwan people under Japanese. As a result, I found that Taiwan people’s tax burden was 2.6 times of Taiwan people’s tax burden, but Taiwan people could afford to be capable of paying heavier taxes because Taiwanese economy grew enough to cover the heavy taxes unlike colonial Korea. In sum, Korean people probably got the feel of more tax load with the skin than Taiwan people.
본고는 1) 1910년부터 1936년에 걸쳐 도·부·읍면·학교비·학교조합 등 지방단체별 세입(결산 기준)을 제시한 후 이를 합산하여 조선 지방세입의 전체 규모를제시하고, 2) 지방세입과 총독부 세입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아울러 3) 기존의 연구와는 다소 다르게 재구성된 조선 지방세입과 총독부 세입 통계에 기초하여 일제하 조선 주민의 조세부담 정도를 새롭게 산출해보고자 했다.
본문의 서술을 통하여, 우선 1910~36년에 걸쳐 총 5개의 지방단체별 세입을결산 통계에 근거하여 제시하고, 이를 합산하여 조선 지방세입의 전체 규모를제시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식민지 대만 지방세입과 비교할 때, 국세의 지방세에대한 우위, 상급 지방단체의 하급 지방단체에 대한 우위 등의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대만에는 없는) 학교비와 학교조합의 존재라는, 식민지화 과정의 차이에서 비롯된 세입 체계상의 두드러진 차이도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지방세입과 총독부 세입의 관계에 관한 관찰을 통하여, 일본 중앙정부(大藏省)의 査定이나 제국의회의 協贊이라는 제도적 제약을 우회하여 총독부의 정책 의지를 실현하는 수단이 된 지방재정의 운영 면에서 예상외로 조선총독부가 대만총독부보다 적극적이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지방 순세입과 총독부 세입 중 조세적 성격을 가지는 항목들의 합계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기록인 朝鮮地方財政要覽이나 기존의 연구보다 좀 더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는 1인당 조세부담을 산출할 수 있었다. 나아가새롭게 산출된 조선 주민의 1인당 조세부담을 대만 주민의 1인당 조세부담과비교함으로써, 1인당 조세부담의 절대 액수에서는 대만 쪽이 2.6배 정도 컸다는점, 그리고 1인당 조세부담 지수와 (생산력 발전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1인당국내총지출 지수를 대조해 본 결과, 대만 주민의 조세부담이 생산력 발전에 조응하는 궤적을 보인 것과 달리 조선 주민의 조세부담은 생산력 발전과 꽤 큰 괴리를 보이면서 下回하고 있었다는 점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1920 년 이전에는 그리 크지 않았으나 1920년 이후 점점 커지는 경향도 있었다. 요컨대 일제하 조선 주민은 증대하는 조세부담을 뒷받침해야 할 터인 생산력의 발전이라는 보완수단을 상대적으로 가지지 못했고, 그 결과 조선 주민이 피부로느끼는 조세부담은 숫자에 나타난 것 이상으로 컸다고 추정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5-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8 | 0.553 | 0.1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