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연변창담, 한민족 전통예술 해외 전파의 과도기적 양식– 작품의 음악적 분석을 중심으로 – = Yanbian Chandamu, transient form of overseas propagation of the traditional arts of the Korean people - Focusing on musical analysis of the work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5-192(2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have shared the same cultural identity with Koreans living in Korea. At the same time, they are Chinese citizens who Chinese government guarantee their political right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have experienced acculturation, assimilating their culture into Chinese one. The representative art form of the acculturation is Yanbian ChangdamYanbian Changdam is a newly reinvented form of Shuochang (a form of traditional Chinese storytelling or, more properly, "story-singing") by Choi Soobong, an ethnic Korean living in China. He created Yanbian Changdam in 1973 based on the form of pansori and the melody of Korean folk songs. Around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peasant farmers who became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later immigrated to Northeast China in order to survive. Among them, the peasants who came from the southern provinces of Gyeonggi-do played a main role in passing down pansori in their communities where they lived together. In the early 20th century, pansori started to be performed in earnest in China through concerts which master singers of pansori such as Lee Dongbeak performed.
In terms of form, Yanbian Changdam actively utilizes the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through the process mentioned above. The basic melody used in Yanbian Changdam comes from Korean folk song 『Soojapuri』; The melody in 『Soojapuri』 is applied to preludes of several works Yanbian Changdam in such as vBaekgyeyoneseoui Hoesa』, 『Kiseup』, 『Son of the People』In terms of contents, Yanbian Changdam tells the Chinese Revolution, happiness in public, and praise for labor after the found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dealing with the revolutionary socialist topic. As a result, Yanbian Changdam becomes one of the most famous musical genre in ethnic Koreans’ community in China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in ethnic Koreans community in China. Also, it continued to be performed even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Yanbian Changdam is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arts of Korea which has earned its own characteristic through localization in China.
Yanbian Changdam is meaningful in two ways: inheriting traditional arts of Korea in other countries and creation of a new and localize form of art. However,However, Yanbian Changdam is only a transient form of propagation of the traditional arts of Korean. It is hard to consider it as a successful case. In terms of form, it simply borrows from pansori and Korean folk songs. It fails not only to show its originality in form but also to provide the interesting contents through diversification of the subject matters. Thus, it is isolated from the public and stuck in a conversational district of culture.
With the limit of form, contents, the structure of society, Yanbian Changdam has not acquired its own identity and is on the brink of extinction. Deterioration of Yanbian Changdam is accelerating along with one of the community of ethnic Koreans in China. Through the immigration of Koreans, the settlement of Korean traditional arts has been settled. Also, it causes development and decline of new genre. The development and decline of new genre through the immigration of Koreans shows a valuable example in the process of overseas expansion and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since it helps us to consider what we need to think.
중국 소수민족 조선족은 한국인과 문화적 정체성을 공유하는 동시에 중국 공민으로서 정치적 권리를 보장받는 과경민족이다. 조선족은 모국인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중국 현지 문화에 동화되면서 문화접변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예술 형식이 바로 연변창담이다.
연변창담은 한민족 전통예술인 판소리의 형식과 민요의 선율을 바탕으로 1973년 조선족 최수봉에 의해 새롭게 재창조된 설창양식이다. 조선 말기 생존을 위해 중국 동북지역으로 이주한 농민들이 조선족의 전신이 되었고, 이중 남도사람들이 중심이 되어 중국 내 집거 공간에서 전승되던 판소리는 이동백을 대표로 하는 판소리명창들의 순회공연 등으로 20세기 초반 중국 내에서 본격적으로 소비되었다.
형식적 측면에서 연변창담은,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중국 현지에서 전승되던 판소리를 필두로 한 한국 전통공연예술 양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연변창담의 바탕이 되는 곡은 한민족의 민요 『수자풀이』이며, 연변창담의 첫 작품인 『백계연에서의 회사』를 시작으로 『기습』, 『인민의 아들』등에서 이 『수자풀이』 선율을 전주곡으로 활용한 것이다.
내용적 측면에서 연변창담은 중국 혁명의 역사와 건국 후 인민들의 행복한 생활, 노동생산과 일터를 찬양하는 지극히 혁명적이고 사회주의적 소재를 활용한다. 그 결과 연변창담은 문화대혁명 시기 혁명가요와 함께 중국 조선족 사회에서 가장 성행했던 음악장르였고 문화대혁명이 종료한 후에도 한동안 계속 창작, 공연되었다. 연변창담은 중국에 전파된 한민족 문화예술이 중국 내 현지화의 과정을 거쳐 고유의 특징을 획득하게 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연변창담은 한민족 전통예술을 해외에서 계승하는 동시에, 현지화 된 새로운 예술형식으로 창작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변창담은 한민족 전통예술 해외 전파의 과도기적 양식일 뿐, 성공사례로 예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형식적으로 판소리와 민요의 선율을 차용했을 뿐, 독자적 예술 양식으로서의 변별성을 보여주지 못하였으며, 소재의 다양화에 실패하여 일반 대중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내용들을 선보이지 못함으로서 대중들과 유리되어 보존의 영역에 머무르게 된 것이다.
연변창담은 형식과 내용, 사회 구조의 한계로 인해 고유의 정체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사장될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는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사회의 쇠퇴와 더불어 가속화되었다. 한민족의 해외 이주 과정에서 보여주는 한민족 전통문화와 전통예술의 정착 및 연변창담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장르의 개발과 쇠퇴의 모습은 한국 전통예술의 해외 진출과 세계화의 과정에서 지금 우리가 실제 고민해야 할 지점이 어디인지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귀중한 예시가 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8 | 0.811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