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한국교회 100년)순교자 전기 . 1 - 13 = (The)biography of martyrs in the church of Korea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Volume. 1]----------
    • 목차
    • 제1장 학창 시절, 가슴에 타오른 중국 선교의 열정 = 17
    • 1. 영국 웨일즈의 경건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 19
    • 2. 학창 시절에 나타난 목회자의 자질 = 23
    • 3. 학교를 방문한 선교사들의 선교 보고를 듣고 = 29
    • 4. 졸업을 3년 앞두고 선교사로 나가겠다며 = 33
    • 5. 드디어 중국 선교사로 파송받아 = 39
    • 제2장 선교 현지에서 겪은 아내의 죽음과 좌절 = 45
    • 1. 중국 상해 임지로 떠나가는 기쁨과 기대 = 47
    • 2. 아내의 갑작스런 죽음과 좌절의 늪에서 = 53
    • 3. 선교사직 사표를 내고 세관에 통역관으로 들어갔으나 = 59
    • 제3장 조선 선교, 제1차 여행의 나래를 펴고 = 67
    • 1. 지푸에서 두 천주교인과의 만남 = 69
    • 2. 그 때까지의 조선 천주교 현황 = 72
    • 3. 서해안 섬에서 두 달 반을 전도하고 = 75
    • 4. 북경에 돌아와 런던선교회에 올린 보고서 = 82
    • 5. 선교사 재 임명과 대리 원장직 맡고 = 87
    • 6. 어느 날 북경에서 동지사 박규수를 만나 = 89
    • 제4장 조선 선교, 제2차 여행의 방해를 받고 = 93
    • 1. 대원군의 천주교 박해 시작 = 95
    • 2. 불란서 함대에 타려고 했으나 = 99
    • 3. 제너럴 셔만호에 탑승하고 = 132
    • 4. 그는 왜 칼을 차고 권총을 지녔던가? = 105
    • 5. 保山에서 조선 군사들의 사격이 = 109
    • 6. 浦里에서 만난 천주교인들과 청년들 = 112
    • 7. 석호정, 만경대에서 4일 간 머물다가 = 118
    • 8. 봉황진에서 조선 군사와의 접전 = 122
    • 9. 한사정 모래톱에 좌초된 채 불태워지고 = 126
    • 제5장 칼로 목베임 받고 봉래도에 잠들다 = 131
    • 1. 최후의 기도와 순교 = 133
    • 2. 대동강 봉래도에 묻혀 잠들고 = 136
    • 3. 뿌린 복음의 씨앗이 30년 후에 결실을 가져와 = 138
    • 부록
    • 1. 토마스 목사 순교기념회의 창립과 그 업적 = 147
    • 2. 토마스 목사 전기에 나타난 갖가지 상이한 자료들 = 152
    • 1) 토마스가 崔蘭軒인가? = 152
    • 2) 그의 출생 연도 = 154
    • 3) 결혼 시기 = 155
    • 4) 참수된 장소 = 155
    • 5) 中軍·부교 등 당시 군 계급 = 156
    • 6) 中軍 이익현의 다른 이름 = 157
    • 3. 토마스 목사를 순교자가 아니라고 하는데? = 158
    • 4. 토마스 목사 약력 = 161
    • 5. 각주 = 168
    • 제1장 개화 태풍의 와중에서 들려온 하늘의 소리 = 185
    • 1. 현해탄 배 위에서 밤 하늘을 쳐다보며 = 187
    • 2. 1842년 전남 곡성군 옥과면에서 태어나 = 191
    • 3. 홍문관의 교리로 = 194
    • 4. 신사유람단원, 안종수가 전해준 기독교 소식 = 196
    • 5. 임오군란 때 민비를 충주로 도피시키고 = 200
    • 6. 민비파의 대변자로 격상되어 = 205
    • 제2장 기독교 진리에 매료되어 수세 요청 = 207
    • 1. 도일 즉시 쯔다 박사의 집을 방문하고 = 209
    • 2. 1882년 성탄일에 예수를 구주로 받아들이고 = 213
    • 3. 제3회 일본전국기독교도 대친목회 대표 기도를 = 216
    • 4. 그의 신앙을 고백한 설교가 화제로 = 220
    • 제3장 루미스 선교 조선어 성경번역 요청 = 225
    • 1. 루미스 선교사 이수정을 찾아와 성경 번역 의뢰 = 227
    • 3. 懸吐韓漢新約全書 번역에 착수하고 = 230
    • 3. 마가복음을 한글로 번역하다 = 233
    • 제4장 미국 선교사 국내 유치운동 전개 = 239
    • 1. 미국 교회를 향해 선교사 파송 호송하고 = 241
    • 2. 마게도니아 사람의 호소가 드디어 이루어지다 = 246
    • 제5장 개인 전도와 교회 활동 = 249
    • 1. 유학생들에게 복음을 전하다 = 251
    • 2. 개신교의 문을 연 김옥균에게 복음을 = 254
    • 3. 철종의 부마, 박영효가 믿기까지 = 260
    • 4. 불교 학자 손붕구도 믿게 하여 성경 번역 사업에 = 263
    • 5. 주일학교와 교회를 설립하다 = 266
    • 6. 일본인들의 인기를 한몸에 지니고 = 268
    • 7. 언더우드, 아펜젤라에게 조선어를 가르치고 = 270
    • 제6장 그의 정치적 수난과 최후의 십자가 = 273
    • 1. 개화파와 보수파와의 알력이 피를 부르고 = 275
    • 2. 일본에서 두 번 자객의 습격을 받아 = 277
    • 3. 귀국 독촉의 사유는 무엇이었던가? = 279
    • 4. 자연사냐? 순교냐? = 282
    • 제7장 추모사 = 287
    • 1. 이수정과 한국기독교(김수진 목사) = 289
    • 2. 하나님이 선택한 그릇(아나가끼 목사) = 292
    • 부록
    • 1. 이수정의 약력 = 299
    • 2. 각주 = 304
    • 제1장 세상 부자가 아닌 영혼의 부자 = 319
    • 1. 어릴 때 부자가 되는 꿈을 꾸고 = 321
    • 2. 출장 갔다 온 아버지로부터 받은 성경과 전도책 = 325
    • 3. 1876년 친구 이응찬과 함께 고려문 견학 = 330
    • 4. 1879년 심양으로가 세례를 받고 = 334
    • 제2장 동포에게 나누어준 하늘의 보화 = 339
    • 1. 쪽복음서를 지고 고국 의주로 건너와 = 341
    • 2. 1888년 의주 전도인으로 임명되기까지 = 345
    • 3. 33인의 ‘요단강 세례’를 주선하고 = 350
    • 제3장 복음의 사역과 의주읍교회당 확보 = 355
    • 1. 1891년 이후 선교사들의 길잡이로 = 357
    • 2. 사위 김관근, 서양식 결혼 치르고 = 360
    • 3. 의주읍교회당이 확보되기 까지 = 363
    • 4. 두 번�, 서울 신학반에 수학하고 = 366
    • 제4장 사경회 인도와 옥고 2년의 십자가 길 = 369
    • 1. 의주에서 마펫 선교사와 사경회 인도하고 = 371
    • 2. 1894년 1월, 옥고 끝에 최후의 영광을 = 374
    • 3. 그의 바톤을 이어 받은 사위 김관근 목사는 = 379
    • 부록
    • 1. 백홍준 전도사의 약력 = 385
    • 2. 각주 = 389
    • [Volume. 2]----------
    • 목차
    • 제1장 스크랜톤 선교사의 전도와 수세 = 17
    • 1. 부모를 여의자 서울 작은 집으로 = 19
    • 2. 스크랜톤 선교사를 만난 것은 = 23
    • 3. 1896년 4년 만에 세례를 받고 = 28
    • 제2장 독립협회의 가입과 민족운동 참여 = 33
    • 1. 독립협회에 가입하고 그 후 간부로 활동 = 35
    • 2. 1898년 속장이 되어 청년운동 주도 = 41
    • 3. 독립협회 간부 이승만과의 동지의식을 높이고 = 44
    • 제3장 상동교회당 신축과 전도사 임명 = 47
    • 1. 새 예배당 신축의 이모저모 = 49
    • 2. 이름을 전봉운으로 개명한 이유는 = 55
    • 3. 노방전도와 교인 심방에 열을 올리고 = 58
    • 4. 헌신적인 대민봉사에 나서다 = 62
    • 제4장 상동청년학원 설립과 을사조약 무효 투쟁 = 65
    • 1. 설립 동기와 목적 그리고 커리큘럼 = 67
    • 2. 민족운동의 요람지로 만들고 = 73
    • 3. 을사조약 무효를 위한 구국 기도회를 갖다 = 76
    • 4. 엡�m청년회 항일운동 전개 = 79
    • 제5장 상동교회 목사 부임과 6개 처 교회 개척 = 85
    • 1. 1907년 상동교회 담임 목사로 파송받고 = 87
    • 2. 전목사를 찾아와 수족이 된 3 총사 = 90
    • 3. 6개 처 교회 개척하여 선교하는 교회로 = 95
    • 제6장 신민회 조직과 이준 열사 헤이그 밀사 알선 = 97
    • 1. ‘상동파’를 중심으로 신민회 조직 = 99
    • 2. 이준 열사, 전 목사 기도 받고 헤이그로 떠나 = 104
    • 3. YMCA 의사부 위원으로 청년운동에 관여 = 110
    • 4. 1911년 협성신학교에 편입한 것은 = 114
    • 제7장 105인 사건의 고문 후유증과 그의 최후 = 119
    • 1. 이른바「105인 사건」의 내막은 = 121
    • 2. 살인적인 고문으로 병얻어 석방되고 = 125
    • 3. 늑막에서 고름이 계속 나와 십자가의 고통을 = 129
    • 4. ‘나는 천사와 더불어 돌아가노라’ = 134
    • 제8장 존경과 아쉬움의 추모 예배 = 139
    • 1. 전 목사가 떠나간 상동교회는 휴면 상태로 = 141
    • 2, 제자들이 스승을 기려 기념비 세우고 = 143
    • 3. 동지였던 김구 선생의 추모변 = 146
    • 제9장 유족 그 후 어디로 갔나 = 149
    • 1. 사모 조정식 여사 고뇌의 일생 = 151
    • 2. 그의 자녀들은 어떻게 되었나 = 154
    • 부록
    • 1. 故목사 전덕기 군 추도문 = 159
    • 2. 吳允台 목사의 헌당식 축사 = 163
    • 3. 전덕기 목사 약력 = 166
    • 4. 각주 = 172
    • 제1장 어린 시절 가족의 수난과 방황의 세월 = 187
    • 1. 부잣집 3남으로 태어났으나 = 189
    • 2. 가세 몰락으로 전 가족이 생활 전선에 나서고 = 193
    • 3. 고향에서 불량 청년들과 휩쓸려 = 197
    • 제2장 눈물의 회개·사경회 간증·만학의 열의 = 201
    • 1. 宋文正씨가 준 ‘구세론’을 읽고 = 203
    • 2. 세례받고 송 조사와 사경회에 동행하고 = 207
    • 3. 1907년 영수가 된 후 만학의 열의가 = 211
    • 제3장 평신 졸업 후 만주 선교에 일로매진 = 217
    • 1. 평북대리회는 그를 만주 파송 전도사로 = 219
    • 2. 목회에 뜻을 두고 평양신학교에 들어가 = 223
    • 3. 1914년, 평신 졸업 후 만주 길림성 선교사로 파송 = 227
    • 4. 만주 봉천성으로 선교지를 바꾸어 = 231
    • 제4장 삼원포교회 목회와 일본군의 습격 = 235
    • 1. 선교 사업 그만두고 삼원포에서 목회에 전념 = 237
    • 2. 일본군의 습격으로 도망갔으나 다시 삼원포로 = 242
    • 3. 남만노회장 피선과 선교 15주년 기념 예배 = 245
    • 4. 목회 전성기에 맞은 어머니의 소천 = 248
    • 제5장 3년의 옥고와 옥중 전도 = 251
    • 1. 1925년, 독립단체 正義府에 속하여 = 253
    • 2. 1929년, 독립 사상 선전죄로 3년 옥고를 = 257
    • 제6장 만주 선교 재개와 최후의 십자가 = 263
    • 1. 다시 만주 지역 선교에 꿈을 불태우고 = 265
    • 2. 총회에 올린 북만주노회 상황 보고 = 269
    • 3. 공비들은 한 목사를 우수리강 얼음 구멍에 처넣어 = 273
    • 4. 그의 유족은 그 후 어디에 = 279
    • 제7장 추모의 글 = 281
    • 1. 고 韓敬禧 목사의 순교를 吊함(이학인 목사) = 283
    • 2. 유아세례를 준 목사님을 추모합니다(방병덕 목사) = 285
    • 부록
    • 1. 총독부에 의뢰한 고 한경희 목사 참사 조사(답변서) = 291
    • 2. 한경희 목사 약력 = 294
    • 3. 각주 = 303
    • [Volume. 3]----------
    • 목차
    • 제1부 고향·가계·민족한
    • 제1장 고향과 가문의 전설
    • 1. 웅천(熊川)은 한국판 ‘갈대아 우르’ = 25
    • 2. 천자봉에 얽힌 주씨 가문의 꿈 = 28
    • 제2장 출생과 가족들의 入信
    • 1. 기복의 출생, 유년 시절 그리고 가족들 = 31
    • 2. 복음의 전래로 가족들이 믿고 = 34
    • 제2부 진학·우국·민족애
    • 제1장 개통학교와 윤강회
    • 1. 개통학교와 민족주의 교육 = 39
    • 2. 한일합방 이후 윤강회에서 열변을 토하고 = 42
    • 3. 1910년대, 주 씨 집안의 사람들 대거 입교 = 44
    • 제2장 오산학교 유학과 연희전문 입학
    • 1. 민족혼의 요람지 오산학교에 입학하고 = 47
    • 2. 기숙사 생활과 엄격한 신앙 훈련 = 49
    • 3. 오산학교 스승들의 교훈 = 52
    • 4. 졸업 후 연희전문에 들어갔으나 = 56
    • 제3부 낙향·결혼·소명감
    • 제1장 낙향한 후 방황 끝에 안갑수와 결혼
    • 1. 고향에 돌아와 좌절의 늪을 헤매이며 = 61
    • 2. 이기선 목사의 중신과 결혼 주례는 = 63
    • 3. 장모, 안 부인의 열렬한 신앙은 = 66
    • 4. 신부 안갑수와의 달콤한 신혼 생활 = 70
    • 제2장 3·1만세 운동과 소명의 언저리
    • 1. 웅천 3·1만세 시위의 활동책으로 = 73
    • 2. 어느 날 주의 음성의 그의 가슴에 = 77
    • 제4부 신학 수업기·평양신학교
    • 제1장 평양신학교 입학과 기숙사 생활
    • 1. 제2의 생을 출발시키고 = 83
    • 2. 평양신학교의 교육 목표 7 가지 = 86
    • 3. 기숙사 생활은 제2의 신학 수업 = 89
    • 제2장 양산교회 목회와 이승훈 장로 해후
    • 1. 양산교회에서 전도사로 봉사하고 = 92
    • 2. 어느 날 갑자기 남강 선생의 방문에 = 95
    • 3. 졸업식에서 답사를 하고 = 99
    • 제5부 목회 시범기 : 부산 초량교회
    • 제1장 성공적인 목회의 시범과 정착
    • 1. 첫 부임지 초량 목회의 시작은 = 103
    • 2. 승리를 위한 표준 목회의 시동 = 106
    • 제2장 신사 참배의 먹구름과 순교의 예시
    • 1. 아내 안갑수와 친정 유산 문제를 둘러 싸고 = 113
    • 2. 두 자녀의 죽음과 상(喪)에 대한 목회 = 118
    • 3. 경남노회 신사 참배 반대 결의안의 기수로 = 122
    • 4. 초량교회를 떠나면서 마지막 남긴 설교는 = 126
    • 제6부 목회 시련기 : 마산 문창교회
    • 제1장 상처 받은 교회의 응급조치
    • 1. 먼저 환경을 바꾸고 = 133
    • 2. 무학산 십자바위 위에 쏟은 그의 간절한 기도가 = 137
    • 제2장 문창교회 안팎의 체질 강화
    • 1. 주일학교 교육과 면려회 운동 강화 = 140
    • 2. 주일학교 교사의 건축 발기총회는 열었으나 = 143
    • 3. 교회 직영 창신학교의 관리 운영 = 146
    • 4. 목회 경영과 교회 행정의 철저화 = 148
    • 5. 노회장이 되어, 신 진리파 척결 = 153
    • 제3장 아내의 갑작스런 죽음과 하나님의 섭리
    • 1. 아내의 죽음으로 순교의 첫 걸음이 = 157
    • 2. 아침마다 부인의 묘소에 들러 대화하고 = 161
    • 3. 설교「죽음의 준비」를 기고하다 = 165
    • 제4장 신사 참배 대두와「일사각오」의 절규
    • 1. 1935년부터 신사 참배의 세찬 바람이 불고 = 169
    • 2. 금강산, 전국 교역자 집회는 강제 해산으로 = 172
    • 3. 오정모와의 재혼은 우상 타파의 새협력자로 = 176
    • 4. 평신 사경회에서「일사각오」의 설교를 외치고 = 182
    • 제5장 사탄에 의한 교회의 시련과 새로운 사명
    • 1. 마산을 떠나야 할 내적 동기 = 187
    • 2. 산정현교회가 주 목사를 청빙하기까지 = 190
    • 3. 노회 송별 예배와 문창교회를 떠나면서 = 194
    • 제7부 목회 결실기 : 평양 산정현교회
    • 제1장 주기철 목사 부임과 교회당 신축
    • 1. 그 때까지의 교회 연혁 = 199
    • 2. 주 목사의 목회 소신과 미나미 총독의 정치 소신 = 202
    • 3. 새로이 웅장한 예배당을 신축한 것은 = 206
    • 4. 감격의 입당 예배와 교회의 순결성 역설 = 210
    • 제2장 태양신 앞에 굴복한 조선교회
    • 1. 평북노회 신사 참배 결의와 주 목사의 검속 = 214
    • 2. 「신앙생활사」방문과 묘향산 기도는 = 219
    • 3. 일본교회 대표 도미다 목사와의 한판 승부 = 222
    • 4. 제27회 총회 드디어 태양신 앞에 굴복하다 = 226
    • 제3장 의성 농우회 사건과 가혹한 고문
    • 1. 소위 의성 농우회 사건의 배경은 = 232
    • 2. 주모가 유재기 목사와 기독교 사회주의 농촌운동 = 235
    • 3. 주 목사가 이 사건에 관련된 동기는 = 238
    • 4. 주 목사에게 악랄한 고문을 가했으나 혐의는 못찾아 = 240
    • 5. 김정오 장로의 교섭과 3일간 가석방 = 245
    • 6. 김동원 장로 잠시 사탄의 시험에 = 249
    • 7. 유언 설교가 된 (五種目의 나의 기원) = 253
    • 제4장 주 목사 파면과 산정현교회당 폐쇄
    • 1. 1939년 8월부터 교회 재건 운동이 싹트고 = 266
    • 2. 눈물어린 주 목사 검속 르뽀 = 269
    • 3. 산정현교회의 끈질긴 투쟁 = 277
    • 4. 1939년 12월 19일 평양노회 주 목사 면직하다 = 281
    • 5. 1940년 3월 24일 산정현교회 드디어 폐쇄 = 287
    • 6. 1940년 4월 20일 가석방과 한달 후 마지막 검속 = 292
    • 7. 新川基徹의 창씨 개명은 누가했나? = 298
    • 제5장 7년 대환란과 주 목사의 옥중 투쟁
    • 1. 평양경찰서에서 안이숙과 수화(手話)1년 = 300
    • 2. 평양형무소 이감과 수인 생활 = 307
    • 3. 첫 재판날의 출정과 성도들의 찬송이 = 312
    • 4. 태평양 전쟁과 형무소 안의 동방 요배 = 315
    • 5. 감방 죄수들과의 접촉과 자녀들의 면회 = 318
    • 6. 어느 날 식중독으로 시체의 행렬이 = 322
    • 7. 아내의 옥 바라지와 각지에서 위로금 답지 = 325
    • 제6장 주 목사의 유언과 최후의 승리
    • 1. 사모 오정모의 순교 일념과 피를 토하는 기도 = 332
    • 2. 유언서에 얽힌 사연들 = 336
    • 3. 주 목사 드디어 순교의 반열에 서다 = 340
    • 4. 성도들의 오열과 돌밖산에 묻히고 = 345
    • 5. 최후의 승리를 얻기까지는 = 351
    • 제7장 그후 산정현교회와 유족의 행로
    • 1. 가족들은 사택에서 쫓겨나 11번의 이사를 = 356
    • 2. 산정현 예배당 방매를 막고 = 360
    • 3. 주 목사 가족의 생활비는 계속 지불되고 = 362
    • 4. 해방 후 사모 오정모의 소천과 그의 자녀들은 = 365
    • 부록
    • 1. 주기철 목사 약사 = 372
    • 2. 각주 = 378
    • [Volume. 4]----------
    • 목차
    • 제1장 출생과 강서인의 기개 = 17
    • 1. 보수신앙 가정에서 태어나 = 19
    • 2. 숭실학교에 들어가서 = 23
    • 3. 1915년 졸업반 때 결혼하고 = 27
    • 제2장 교회 봉사와 애국 사상의 분출 = 33
    • 1. 산정현교회 서리 집사가 되어 = 35
    • 2. 숭대 재학 중 연설사건으로 무기정학 = 39
    • 3. 순천, 내남에 있는 시골 교회 전도사로 = 42
    • 제3장 3·1만세 운동과 상해 망명 = 47
    • 1. 신학교 입학차 평양에 왔으나 = 49
    • 2. 3·1만세 전야에 밤새 태극기를 만들고 = 54
    • 3. 복역 중 병보석으로 있다가 상해 망명을 = 57
    • 4. 가족들의 시련과 파산을 당하고 = 60
    • 제4장 임정의 중대 임무 띠고 귀국 = 65
    • 1. 결사대 조직 위해 밀파되었으나 검거되고 = 67
    • 2. 압송 중 탈출하여 임무를 수행하고 = 71
    • 3. 평안남도 도청 폭탄 투척사건 = 75
    • 제5장 상해 재망명과 가족과의 재회 = 79
    • 1. 가족들의 시달림과 재망명의 장도는 = 81
    • 2. 가족을 상해로 불러 들였으나 = 87
    • 3. 구차한 살림 속에 펼쳐진 온정의 손길 = 91
    • 제6장 체포되어 본국 압송 그리고 긴 법정 투쟁 = 95
    • 1. 상해 일본영사관 폭탄 투척 혐의자로 = 97
    • 2. 부인 하도신 영국 전차회사와의 투쟁 = 101
    • 3. 1년 반에 걸친 예심의 고통 = 107
    • 4. 법정 투쟁과 평양교회들의 기도 후원 = 111
    • 제7장 출옥·오랜 방황·소명 = 117
    • 1. 계속된 예비검속으로 방황의 늪에 = 119
    • 2. 신앙 갈증의 해소를 이용도 목사 부흥회에서 = 122
    • 3. 1931년 드디어 소명 받고 평양신학교에 들어가 = 125
    • 제8장 극보수주의 회향과 전진 = 129
    • 1. 만보산 사건으로 피해를 본 중국화교 구제 = 131
    • 2. 마펫 기념동산 건립에 반대하고 = 135
    • 3. 신정 찬송가의 문젯점 들고 일어나 = 138
    • 4. 평양기도단을 노회가 정죄하자 = 141
    • 제9장 평신 졸업과 목회 전선의 이상 한파 = 147
    • 1. 안주노회 소속 덕천교회 부임과 신학교 복학 = 149
    • 2. 평리교회 재임 중 신학교를 졸업하고 = 154
    • 3. 갈원교회 부임과 신사 참배 강요받아 = 158
    • 4. 용천, 구읍교회 청빙받아 갔으나 시련이 = 162
    • 제10장 해방 그리고 월남 목회 = 167
    • 1. 1942년 만주 망명목회를 시작했으나 = 169
    • 2. 만주에서 맞은 광복의 기쁨 = 173
    • 3. 후암교회 초대 담임 목사로 = 176
    • 4. 1949년부터 부흥 강사로 전국 순회를 = 181
    • 제11장 최후의 쓴 잔 순교의 갈보리 길 = 185
    • 1. 1950년 8월 내무서원에게 전도하다 체포되어 = 187
    • 2. 추모사 (안흥모 목사) = 191
    • 부록
    • 1. 김예진 목사 설교 1편 = 197
    • 2. 약력 = 203
    • 3. 각주 = 209
    • [Volume. 5]----------
    • 목차
    • 제1장 부전자전 = 17
    • 1. 일본인 교장 선생으로부터 받은 수모 = 19
    • 2. 아버지는 제 2 차 만세운동에 대표로 참가 = 24
    • 제2장 민족정기에 물이 오른 숭실 학창 시절 = 29
    • 1. 숭실학교를 고학으로 다녀 = 31
    • 2. 광주 학생 만세 운동을 평양에서 일으키고 = 37
    • 3. 종교부장으로 전도대를 각지에 파송하고 = 43
    • 제3장 평양신학교 진학과 결혼의 언저리 = 47
    • 1. 1932년 평양신학교에 들어간 사연은 = 49
    • 2. 졸업반 때 곽안련 목사 주례로 연금봉과 결혼 = 54
    • 3. 숭실 고보에 교목으로 부임하였으나 = 58
    • 제4장 신사 참배 반대 투쟁과 옥고 = 63
    • 1. 용강읍교회, 신사 참배 문제로 그만두고 = 65
    • 2. 송산교회에서 신사 참배 반대로 구속되어 = 71
    • 제5장 농우회 사건과 성서조선 사건 = 77
    • 1. 1938년 의성농우회 사건으로 구류되고 = 79
    • 2. 1942년「성서조선」필화사건에 연루되어 투옥되고 = 86
    • 3. 계속되는 父子의 투옥으로 더욱 큰 열의가 = 91
    • 제6장 조만식 위원장 보필과 동평양교회 청빙 = 95
    • 1. 해방 직후 조만식 장로의 건준일 돕고 = 97
    • 2. 동평양교회 담임 목사로 청빙되어 = 103
    • 제7장 북한 5도 연합노회 결성과 공산당 투쟁 = 111
    • 1. 북한 5도 연합노회 서기로, 공산당과 대결 = 113
    • 2. 주일에 시행된 북한 총선 보이콧의 내막 = 117
    • 제8장 산정현교회 시무와 최후의 십자가 = 125
    • 1. 1948년 산정현교회 재건에 힘쓰던 중 납치 = 127
    • 2. 그 후 6·25사변까지 기다렸으나 = 133
    • 제9장 사모 연금봉 주도로 순교자유가족회 창립 = 139
    • 1. 가족들은 그 후 긴 피난 대열에 서고 = 141
    • 2. 부산에서 순교자유가족회 조직, 회장으로 = 149
    • 제10장 추모의 글 = 157
    • 1. 고 김철훈 목사를 추모하면서(강태국 목사) = 159
    • 2. 김철훈 목사 형님을 그리며(방지일 목사) = 162
    • 3. 추념의 글을 삼가 드리나이다(이장춘 장로) = 165
    • 부록
    • 1. 김철훈 목사 약력 = 171
    • 2. 각주 = 173
    • 제1장 아버지의 개종과 상은의 출생 = 187
    • 1. ‘골목 대장 승만이가 끝내 대통령이 되었구먼’ = 189
    • 2. 아버지는 예수를 믿은 후 신주 단지를 부수고 = 193
    • 3. 1904년 상은의 출생과 어머니의 죽음 = 196
    • 제2장 3·1만세 운동과 원산 노동파업 주동 = 199
    • 1. 송도고보 입학과 3·1만세 운동에 참여 = 201
    • 2. 일본 회사 노동 파업 선동하고 4년의 옥고를 = 204
    • 제3장 만혼과 소명의 사연 = 209
    • 1. 1929년 마르다 성경학생 전현숙과 결혼하고 = 211
    • 2. 소명받아 평양신학교에 입학한 사연은 = 216
    • 3. 평양신학교 마지막회 졸업식 = 221
    • 제4장 일제 말 순회 목회와 해방 후 공산당 탄압 = 225
    • 1. 안변지역 50개 교회 순회 목회를 하고 = 227
    • 2. 해방 후 공산당의 탄압으로 월남 단행 = 231
    • 제5장 서울 입성과 응암교회 목회 = 237
    • 1. 고양군 은평면 응암교회에 몸담고 = 239
    • 2. 적은 양무리에 쏟은 목자의 사랑이 = 243
    • 제6장 민의원 출마와 이북 5도민회 조직 = 249
    • 1. 그 나라의 건설을 위해 출마를 굳히고 = 251
    • 2. 조민당 당수 이윤영 목사의 국회 개원 기도 = 255
    • 3. 월남한 이북 5 도민의 모임을 조직 = 259
    • 제7장 납북의 행렬과 가족들의 피난 길 = 263
    • 1. 6·25사변 그 해 8월에 납북되고 = 265
    • 2. 사모 전현숙의 서투른 장사의 길 = 271
    • 3. 거제도, 제주도에서의 피난 생활 = 274
    • 제8장 사모의 교회 봉사, 30년의 애환 = 277
    • 1. 순혜원 대지 매매에 얽힌 전 권사의 활동 = 279
    • 2. 낭군 목사의 못다이룬 주의 사역을 한다며 = 282
    • 3. 여성 안수의 실현을 위한 60년의 관심 = 284
    • 4. 오늘도 하루에 200장의 전도지를 돌리고 = 286
    • 제9장 추모의 글 = 289
    • 1. 목사님, 이제 영원한 평안을 누리소서(최태영 장로) = 291
    • 2. 우리는 순교자의 정신을 본 받아서(홍재구 목사) = 295
    • 3. 다시 만나 뵈올 수 있는 그 날까지(맏사위 조종윤 장로) = 299
    • 4. 주님의 딸이 될 것을 약속하며(4녀 혜환) = 302
    • 부록
    • 1. 최상은 목사 약력 = 307
    • 2. 각주 = 311
    • 제1장 고향 부백리와 그의 출생 = 325
    • 1. 아버지 석은찬의 첫 믿음 = 327
    • 2. 숭실학원에서 배운 그리스도의 사명인 = 331
    • 3. 부백리교회의 3·1운동과 그 행동대로 = 335
    • 제2장 일신의숙 운영과 목회의 길 = 339
    • 1. 일신의숙 설립 취지와 그 역할 = 341
    • 2. 27세의 최연소 장로로 장립되어 = 345
    • 3. 평신입학과 모교회 정식 전도사로 = 348
    • 4. 1941년 졸업 후 고향 교회 담임 목사로 = 351
    • 제3장 해방과 공산당의 학정 = 355
    • 1. 평원군 학교 재건에 앞장서고 = 357
    • 2. 기맹 가입 문제로 강양욱 목사와 시비가 = 361
    • 3. 아들 윤경을 평양신학교에 입학시켜 = 364
    • 제4장 기독교 자유당과 그의 최후 수난 = 367
    • 1. 1947년 체포되어 4년의 언도 = 369
    • 2. 큰아들 윤경 2년 간의 두더지 생활 = 373
    • 3. 6.25 동란 중 후퇴하는 인민군에게 총살되고 = 377
    • 4. 아들의 증언과 회고 = 380
    • 부록
    • 석옥린 목사 약력 = 387
    • 각주 = 389
    • [Volume. 6]----------
    • 목차
    • 제1장 그의 출생과 소년 시절 = 19
    • 1. 정주 고안면 봉명동에서 태어나 = 21
    • 2. 큰 인물이 될거라는 집안 어른들은 = 25
    • 3. 종교적 열의가 남보다 뛰어나 = 29
    • 제2장 서당 설립과 후학 교육 = 34
    • 1. 오직 책으로만 벗삼아 = 35
    • 2. 1897년 서당을 설립하여 훈장으로 = 39
    • 3. 만혼과 신식 학교를 세운 것은 = 43
    • 제3장 기독교 개종과 신학교 입학 = 47
    • 1. 30세 넘어, 친척 김관근으로부터 전도받아 = 49
    • 2. 1913년 소명 받아 평양장로회신학교 입학 = 54
    • 3. 재학 중 여러 독립투사 학우들과 친교 = 58
    • 제4장 3·1만세 운동과 민족 대표 추대 = 63
    • 1. 105인 사건의 주요 인물들이 만세 주도를 = 65
    • 2. 김 목사가 3·1만세 운동에 관여한 것은 = 70
    • 3. 민족 대표 33인의 이름이 적힌 독립 선언서는 = 74
    • 제5장 상해 망명과 임시 정부 조직 참여 = 81
    • 1. 만세 운동을 위한 지역 순행과 상해 망명 = 83
    • 2. 4월 11일 임정 조직에 참여하고 = 88
    • 3. 「만국 장로교 연맹에 조선교회 진정서」제출 = 95
    • 제6장 상해교회 담임과 독립운동사 집필 = 99
    • 1. 상해 한인교회 담임 목사로 선임되고 = 101
    • 2. 고국의 각계 각층에 보내는 서신과 격문 = 105
    • 3. 「한국독립운동사략」을 펴내고 = 109
    • 제7장 만주 목회와 교육 구국의 기치 = 113
    • 1. 집안현 패왕조교회에서 = 115
    • 2. 목단강 지역 팔면통에서 = 121
    • 3. 1931년 일본군의 만주 진출이 시작되어 = 125
    • 제8장 15년만의 귀국 요시찰 인물 취급 = 129
    • 1. 용천노회, 산하 세 교회를 받들고 = 131
    • 2. 총회의 신사참배 결의와 그 충격 = 135
    • 3. 62세로 목회 중단하고 정주 덕흥동에서 은거 = 139
    • 제9장 조국의 광복과 공산당의 학정 = 143
    • 1. 해방이 되자 소련군 사령관이 그를 불러 = 145
    • 2. 김구 선생이 장준하를 보내 월남 제의를 = 149
    • 3. 반공 광복단을 조직하고 활약하다가 = 154
    • 4. 시베리아로 끌려간 그의 최후 = 159
    • 제10장 그의 유족과 자녀들의 활동 = 165
    • 1. 그의 유족들은 그후 어디에 = 167
    • 2. 월남한 막내는 아버지의 대를 잇고 = 170
    • 3. 나는 불효자로소이다. = 175
    • 부록
    • 1. 김병조 목사의 설교 한편 = 183
    • 2. 아들 김행식 목사의 설교 한편 = 188
    • 3. 약력 = 196
    • 4. 각주 = 202
    • 제1장 복음의 나래를 펴고 훨훨 = 217
    • 1. 유교의 집안에 어느 날 이방 종교들의 침투가 = 219
    • 2. 꼬마 예수꾼의 일편단심 = 222
    • 3. 헌신의 서원 기도를 드리고 = 227
    • 제2장 결혼 강요와 가출 단행 = 231
    • 1. 만주, 안동여자중학교에 거뜬히 들어가 = 233
    • 2. 재학중 결혼 강요에 가출을 하고 = 237
    • 3. 어느 선교사 집의 심부름꾼이 되어 = 241
    • 제3장 성경학교 입학과 3총사의 활보 = 245
    • 1. 23세 때 평양여자고등성경학교 입학 = 247
    • 2. 예수탄을 쏘는 삼총사(三銃士) = 252
    • 3. 2년만에 고향에 돌아온 것은 = 256
    • 4. 집안에 하나님께 바칠 목사가 나와야 한다며 = 260
    • 제4장 일본 유학 후 산정현교회 봉사 = 263
    • 1. 일본, 요꼬하마 공립신학교 유학 = 265
    • 2. 문닫은 산정현교회 전도사로 영입되어 = 270
    • 3. 주 목사 장기 투옥으로 대신 양떼를 돌보아 = 274
    • 제5장 한상동·김철훈·정일선 목사 보필 = 279
    • 1. 해방과 출옥한 한상동 목사 청빙 수락, 그후 = 281
    • 2. 김철훈 목사 연행된후 사모와 2년간 동숙 = 286
    • 3. 정일선 목사 부임과 6·25 발발 = 290
    • 제6장 최후의 십자가와 골육 친척들 = 295
    • 1. 6·25 새벽 공산도배들에 의해 끌려가 = 297
    • 2. 그의 형제, 조카들은 지금 어디에 = 302
    • 3. 나를 주의 종으로 만드신 고모님이여! = 304
    • 부록
    • 1. 조카 백예원 목사 설교 1편 = 311
    • 2. 각주 = 323
    • [Volume. 7]----------
    • 목차
    • 제1부 고향·결혼·만학의 용단
    • 제1장 활달한 성격의 소년 시절
    • 1. 고향 강서는 옛 고구려인의 기풍이 = 21
    • 2. 엄격한 가정 교육으로 = 23
    • 3. 남다른 스포츠 열의와 그 정신은 = 26
    • 제2장 결혼과 기독교 입교
    • 1. 아내가 죽은 후 마음에 깊은 상처를 받고 = 29
    • 2. 사업 확장과 다시 장가를 들었으나 = 33
    • 3. 노·일전쟁 피난지에서 전도를 받고 = 36
    • 제3장 만학·열성·박애사상
    • 1. 공부해서 하나님의 일을 하겠소 = 39
    • 2. 만학의 열의와 독서 = 42
    • 3. 교장 배위량의 철저한 기독교 교육 = 45
    • 4.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 49
    • 제2부 유학·민족·교육구국의 길
    • 제1장 일본 유학과 민족주의 작렬
    • 1. 유학 중에 맞은 한일합방의 울분 = 55
    • 2. YMCA건물 안에 재일 조선인 교회를 설립하고 = 59
    • 3. 유학생 친목회를 조직하다 = 62
    • 제2장 귀국과 오산학교 교풍 일신
    • 1. 이승훈 장로와 오산의 민족혼 = 66
    • 2. 오산에 초청되어 민족주의 산 교육을 = 71
    • 3. 오산(五山)을 신앙의 터위에 세우고 = 78
    • 제3장 엄격한 규칙과 사랑의 훈칙
    • 1. 기숙사의 엄격한 규칙 생활을 = 81
    • 2. 한국의「페스탈로지」가 되어 = 85
    • 3. 가정보다 학교와 천국 사업에 더욱 = 88
    • 제3부 옥고·물산장려운동
    • 제1장 3·1만세 운동 준비와 전개
    • 1. 독립선언 전야의 남강과 고당 = 95
    • 2. 3·1독립 만세의 함성이 평양을 울리고 = 100
    • 3. 당시, 선교사들의 다각적인 협조로 인해 = 104
    • 4. 3·1운동 첫 주간의 상황 = 109
    • 제2장 망명 미수로 투옥의 시련
    • 1. 상해로 친구 도인권과 망명을 시도했으나 = 112
    • 2. 10개 월 옥중 생활에서 사랑의 사도가 되어 = 118
    • 3. 출옥 전야 = 123
    • 제3장 YMCA총무와 물산 장려 운동
    • 1. 평양 YMCA 총무직에 = 128
    • 2. 조선물산장려회 발기와 그 취지 = 132
    • 3. 물산 장려 운동의 일선에 서서 = 137
    • 4. 두 종류의 구두 이야기 = 147
    • 5. 1922년 산정현교회 장로 장립 = 151
    • 제4부 신간회와 신문화 운동
    • 제1장 신문화 운동에 불을 지피고
    • 1. 평양 공회당 백선행기념관 건축 = 159
    • 2. 한국 최초로 세운 평양고아원 = 164
    • 3. 사형수 안경신 여사를 살린 고당의 슬기 = 168
    • 4. 고당의 신문화 운동과 그의 열변 = 172
    • 제2장 교육 사업에 온몸을 기우려
    • 1. 민립 대학 설립의 꿈은 사라지고 = 175
    • 2. 1925년 세 번째 오산 교장으로 = 179
    • 3. 숭인상업학교를 세우기까지 = 184
    • 4. 겸손·인화·용단의 실천가 = 188
    • 제3장 신간회 조직과 그 활동
    • 1. 독립 위한 민족 단일 전선 구축 = 192
    • 2. 고당의 굳은 신앙 지조 = 196
    • 3. 광주학생 사건으로 신간회의 종말이 = 200
    • 제5부 체육·지육·언론계 투신
    • 제1장 관서체육회 조직과 부친, 남강의 소천
    • 1. 장녀 선부의 검소한 결혼식 = 207
    • 2. 민족운동의 다른 형태, 관서체육회 = 211
    • 3. 1930년 봄에 부친과 남강을 여의고 = 216
    • 제2장 사회봉사와 조선일보 사장에 취임
    • 1. 만보산 사건과 고당의 중재 = 220
    • 2. 인정도서관 설립의 이모저모 = 226
    • 3. 조선일보 제8대 사장에 취임 = 230
    • 제3장 이별·만남·산정현교회 투쟁
    • 1. 아내의 소천과 딸 선희의 결혼 = 238
    • 2. 일제 탄압에 15년 만에 해산 한 물산장려운동 = 242
    • 제6부 기고·강연·하령회 활동
    • 1.「기독교와 실생활」 = 249
    • 2.「청년이여 앞길을 바라보라」 = 257
    • 3.「기독교인의 생활」 = 259
    • 4.「청년과 사회봉사」 = 273
    • 제7부 결혼과 산정현교회의 긴투쟁
    • 제1장 신사참배 강요가 교회쪽으로
    • 1. 산정현교회와 주기철 목사 청빙 = 283
    • 2. 전선애 여사와 새로운 출발 = 289
    • 3. 평양경찰서 소환과 피검의 소용돌이 = 295
    • 제2장 일제의 탄압과 이에 저항·투쟁하고
    • 1. 고당과 주기철 목사에 얽힌 잘못된 이야기들 = 300
    • 2. 산정현교회와 함께 신사불참배 투쟁 = 305
    • 3. 창씨 개명을 거부하고 = 312
    • 제8부 피신·낙향·민족의 새출발
    • 제1장 민족의 암울한 긴 터널
    • 1. 사랑하는 사위가 먼저 가고 = 319
    • 2. 일제의 최후 발악 = 322
    • 3. 비문 대신에 두 눈을 그려라 = 326
    • 4. 전향기사의 충격으로 고향 강서에 은거 = 329
    • 5. 피난처가 되신 하나님의 손길이 = 332
    • 6. 고향 강서로 내려가 은거하고 = 335
    • 제2장 해방·분열·민족의 십자가
    • 1. 해방은 왔으나 골고다의 길이 = 337
    • 2. 공산당의 만행과 건준의 강제 해산 = 345
    • 3. 가족은 월남하여「경모예배」만 드리고 = 352
    • 4. 자유대한은 고당에게 누울 자리를 주시오 = 358
    • 5. 40년 만에 전해 온 고당의 최후 비보 = 361
    • 부록
    • 1. 고당 조만식 선생 기념사업회 = 367
    • 2. 약력 = 372
    • 3. 각주 = 379
    • [Volume. 8]----------
    • 목차
    • 제1장 영수와 주지 스님이 된 두 형제 = 17
    • 1.‘세상 족보는 니나 가지라’ = 19
    • 2. 매서하는 아버지의 장남으로 태어나 = 22
    • 제2장 계성학교 입학과 3·1만세 운동 = 27
    • 1. 촌 아이 계성학교에 입학한 것은 = 29
    • 2. 3·8만세 운동과 누이 동생의 꿈 = 33
    • 3. 일경에 쫓겨 야반도주를 = 38
    • 제3장 가정 교사 취직과 숭대 입학의 행운 = 41
    • 1. 김영용 장로의 집 딸 가정 교사로 = 43
    • 2. 숭실대학에 들어가 = 45
    • 3. 졸업 후 김신덕 양과 결혼을 하고 = 48
    • 제4장 입사 시험과 교편 생활 = 53
    • 1. 콘스탄찌회사 입사에 얽힌 그의 고집 = 55
    • 2. 목포 정명여학교 교사로 내려가 = 58
    • 3. 동생들 공부시키고 = 61
    • 제5장 소명과 평양장로회신학교 입학 = 63
    • 1. 신학교에 입학한 것은 = 65
    • 2. 안악읍교회 조사로 = 70
    • 3. 졸업을 앞두고 신사 참배 결의 항의로 구치되어 = 74
    • 제6장 안악읍교회 담임과 일제 말기의 시련 = 79
    • 1. 경상도 출신이 부목으로 초빙된 것은 = 81
    • 2. 은둔을 선언한 정일선 목사의 후임으로 = 84
    • 3. 1943년 노회장 역임과 신학교 강사로 = 87
    • 제7장 해방과 공산당과의 충돌 = 91
    • 1. 해방의 기쁨과 평신 교수에 보람을 = 93
    • 2. 공산당에 비협조하자 끝내 정치보위에 끌려가 = 96
    • 3. 오빠를 그리며 = 100
    • 4. 가족 사항 = 102
    • 부록
    • 1. 김영윤 목사의 설교 1편 = 105
    • 2. 약력 = 113
    • 3. 각주 = 116
    • 제1장 출생·결혼·入信·취학 = 129
    • 1. 수풍댐이 있는 삭주, 대관동에서 태어나 = 131
    • 2. 드디어 15세에 장가 들고 = 134
    • 3. 6촌 처형의 전도를 받고 교회에 나가 = 136
    • 4. 농업에 뜻을 두고 영변 농업학교 입학 = 139
    • 제2장 죽음의 심연에서 드린 서원기도 = 143
    • 1. 전매청 담배판매소 소장으로 10년을 = 145
    • 2. 목 수술이 위험하자 드린 서원기도는 = 149
    • 제3장 목회자의 길, 평양신학교 입학 = 153
    • 1. 벽동, 대평교회 전도사로 첫 걸음 = 155
    • 2. 1938년 서원기도 따라 평신에 들어가 = 159
    • 4. 대동군 용성리교회로 옮긴 사연은 = 164
    • 제4장 목사 장립과 그의 투철한 목회 철학 = 169
    • 1. 목사 안수받고 평원군 갈원교회로 = 171
    • 2. 해방 후, 순천군 기탄교회로 청빙되어 = 176
    • 3. 그의 목회 철학 : 기도·말씀·감사 = 179
    • 제5장 골고다 언덕의 최후 = 185
    • 1. 1949년 순천, 신안주교회로 부임하고 = 187
    • 2. 6·25 직후 새벽 기도하다 끌려간 그의 최후 = 190
    • 제6장 가족들의 피맺힌 피난 생활과 삶의 언저리 = 193
    • 1. 피난 물결에 큰아들은 낙오되고 = 195
    • 2. 미 선교부의 고마운 후원 = 199
    • 3. 소녀 가장이 된 큰딸 옥신의 고달픈 나날 = 202
    • 제7장 추모의 글 = 207
    • 1. 몽매에도 잊을 수 없는 아버지여, = 209
    • 2. 내 신앙의 아버지요, 스승이신 최원초 목사님(박희천 목사) = 212
    • 3. 어릴적 저의 은사 목사님(길자연 목사) = 216
    • 부록
    • 1. 최원초 목사 약력 = 221
    • 2. 각주 = 224
    • 제1장 그의 가계와 집안의 전설 = 239
    • 1. 대암 마을 금령 김씨 장손으로 태어나 = 241
    • 2. 집안에 얽힌 ‘생금집’전설 = 243
    • 제2장 양친의 타계와 기독교 入信 = 249
    • 1. 1904년 어머니를 여의고 = 251
    • 2. 서울 영신학당 입학과 결혼 = 253
    • 3. 아버지의 중환으로 믿음의 길을 가고 = 256
    • 4. 1912년 아버지 타계 후 피어선 성경학교에 들어가 = 259
    • 5. 문중의 핍박이 드디어 폭발되고 = 263
    • 제3장 협성신학교 입학과 전도자의 길 = 267
    • 1. 3·1만세 시위 주동과 협성신학교 입학 = 269
    • 2. 죽율리교회 속장과 전도사로 = 274
    • 3. 그 때 전한 설교 2편 = 278
    • 4. 신유의 은사가 내리고 = 284
    • 제4장 그의 세 가지 민족운동의 지표 = 287
    • 1. 기독교만이 이 민족의 등불이다 = 289
    • 2. 아는 것이 힘이다 = 292
    • 3. 소비조합을 만듭시다. = 296
    • 제5장 독립 자금 후원과 천국 건설 참여 = 299
    • 1. 장녀 갑순을 평양 성경학교에 보내고 = 301
    • 2. 만주에 독립 자금을 계속 후원하며 = 305
    • 3. 경찰의 요시찰 인물로 감시에 시달려 = 309
    • 4. 장남 종성을 협성신학교에 넣었으나 = 314
    • 5. 1938년 거모리교회 신축과 장로 장립 = 318
    • 제6장 조국 광복과 새 삶의 터전 = 321
    • 1. 일제 말 사업차 인천 소래로 이사를 가 = 323
    • 2. 미군정하 논현리 초대 동장으로 추대되어 = 326
    • 3. 논현교회 설립에 나서고 = 329
    • 4. 차남 태선을 감리교 신학교에 입학시켜 = 332
    • 제7장 6·25 민족상잔과 최후의 십자가 = 335
    • 1. 피난의 와중에서 = 337
    • 2. 피난에서 돌아와 내무서원에 의해 연행되어 = 341
    • 3. 무릎 꿇고 기도하는 모습으로 총 맞아 = 345
    • 제8장 자녀들은 그 후 신앙의 유지를 받아 = 349
    • 1. 대를 이어 가는 차남 김태선 장로의 내리 신앙 = 351
    • 2. 현재 12명의 목사를 배출한 순교의 열매가 = 355
    • 3. 순교의 추모는 영원히 = 358
    • 제9장 김규흥 장로로부터 도움 받은 사람들 = 363
    • 1. 김청환 장로 주께로 인도함 받고 = 365
    • 2. 유영신 목사가 신학교에 가기까지 = 368
    • 3. 월남하여 신앙적인 도움받은 강석균 장로 = 371
    • 4. 기타 사람들 = 373
    • 부록
    • 1. 김규홍 장로 약력 = 377
    • 2. 각주 = 380
    • [Volume. 8]----------
    • 목차
    • 제1장 출생·이별·결혼 = 17
    • 1. 의사인 아버지 따라 황해도 봉산으로 = 19
    • 2. 주경야독의 피나는 학구열 = 22
    • 3. 성경학교 졸업 후 오경득 양과 결혼하고 = 25
    • 제2장 만세·옥고·소명 = 29
    • 1. 황해도 사리원 2차 만세 운동 주도 = 31
    • 2. 1년 6월 복역 중 소명받아 = 36
    • 3. 평양신학교 입학과 10년의 수학 = 39
    • 4. 빈궁하게 살지라도 = 43
    • 제3장 목회·탄압·배척 = 47
    • 1. 일제의 끈질긴 감시와 억압 = 49
    • 2. 환난 만난 주의 종을 배척하는 제직들 = 52
    • 3. 처가에서 농토를 마련해 주고 = 55
    • 제4장 해방·납치·순교 = 59
    • 1. 해방과 공산당의 학정 = 61
    • 2. 6·25 민족 상잔과 최후의 새벽 총성 = 64
    • 3. 황해노회장으로 장례를 치르고 = 69
    • 4. 그의 유족들은 지금 어디에 = 74
    • 부록
    • 1. 진학철 목사의 설교 1편 = 81
    • 2. 약력 = 85
    • 제1장 아브라함의 축복 = 99
    • 1. 두대동에 불어 닥친 복음의 돌풍 = 101
    • 2. 4대 독자 집안에 예수 믿고 자녀 복 터져 = 104
    • 제2장 향학열과 고향의 3·1만세 운동 주도 = 107
    • 1. 어린 시절, 봉은사립학교를 다니고 = 109
    • 2. 숭실 졸업 당시 고향의 3·1운동 주도하다가 = 114
    • 제3장 북간도 도피와 귀국 후 옥고 2년 = 119
    • 1. 형제가 북간도 용정으로 도피 끝에 = 121
    • 2. 귀국 후 숭실에서 시무하다 옥고 2년을 = 126
    • 제4장 평신 입학과 후배 박형룡 교수 = 131
    • 1. 1926년 신학교 문을 두드린 것은 = 133
    • 2. 후배 박형룡 교수로부터 배우는 겸손이 = 137
    • 제5장 일제 말기, 투옥과 휴직 = 141
    • 1. 고향에 돌아와 대정리교회 시무 = 143
    • 2. 1938년 봄 김금화 여 전도사와 재혼 = 148
    • 3. 1942년, 천황 불경죄로 2년의 옥고를 = 151
    • 4. 겸이포 대동병원 원목으로 일제 말기를 = 156
    • 제6장 치안 부재와 공산당 만행 = 161
    • 1. 해방된 조국에 원수풀이가 자행되고 = 163
    • 2. 곡산읍교회 시무와 주일 선거 불참의 후유증 = 170
    • 3. 폭도들의 마음을 돌린 하늘의 기적이 = 176
    • 제7장 기 목사 납치 소동과 가족들의 피난 = 183
    • 1. 6·25 아침, 납치극이 연출되고 = 185
    • 2. 가족들의 긴 피난의 여정이 시작되고 = 190
    • 3. 부산에서 전도사의 길로 = 195
    • 제8장 추모의 글 = 201
    • 1. 두 번 만난 기주복 목사(임택진 목사) = 203
    • 2. 모세와 같이, 바울과 같이 충성하신 목사님(박철웅 장로) = 207
    • 3. 애국애족의 정신이 영원히 우리곁에 있기를(이인한 장로) = 210
    • 4. 은사님의 강의 말씀을 되새기며(이영창 장로) = 213
    • 부록
    • 1. 기주복 목사 설교 1편 = 217
    • 2. 약력 = 220
    • 3. 각주 = 224
    • 제1장 개구장이 어린 시절과 入信의 시련 = 237
    • 1. 철없는 망나니 짓만 = 239
    • 2. 선교사가 준 성경에 매료되어 = 243
    • 3. 신앙이냐? 재산이냐? = 248
    • 제2장 일본 땅에 펼쳐본 무지개의 꿈 = 253
    • 1. 분가는 되었으나 일본으로 건너가 = 255
    • 2. 오사카 鮮江전수고교에 수학하고 = 258
    • 3. 가족을 일본으로 데려왔으나 = 261
    • 제3장 아내의 죽음과 소명의 언저리 = 265
    • 1. 귀국 후 아내는 분만 중에 돌아가고 = 267
    • 2. 절망의 심연에서 선교사의 권유가 = 270
    • 3. 이름을 泰龍에서 鍾漢으로 바꾸고 = 274
    • 4. 피어선기념 성경학원 입학 = 277
    • 제4장 조선신학교 입학과 목회의 길 = 281
    • 1. 청량리 중앙교회 전도사 부임과 재혼 = 283
    • 2. 조선신학교에 들어가서 = 287
    • 3. 일제말기 어려웠던 목회 = 290
    • 4. 해방 후 김제 성경학교에서 가르치고 = 293
    • 제5장 6·25를 맞은 만경교회 = 297
    • 1. 인민군의 만경읍 입성 = 299
    • 2. 전란 중에 드린 수요 예배 = 302
    • 3. 곽영욱 장로의 영향으로 교회가 유지되었으나 = 306
    • 제6장 붉은 마수와 성도들의 시련 = 313
    • 1. 지역 빨갱이들의 횡포가 드디어 시작되고 = 315
    • 2. 교회 청년들 중심의 반공 단체 결성 = 318
    • 3. 김 목사와 14인의 성도가 체포되어 = 323
    • 4. 만경들판에 쏟아진 아침 햇살 = 328
    • 제7장 최후의 집단 순교와 추모의 염 = 331
    • 1. 우물 속에서 순교자들의 시신이 = 333
    • 2. 합동 추도 예배로 눈물 바다가 = 337
    • 3. 순교 현황을 수록한 당시의 당회록 = 340
    • 부록
    • 아버지의 대를 이은 십자가의 길(차녀 김봉연) = 349
    • 김종한 목사 약력 = 380
    • [Volume. 10]----------
    • 목차
    • 제1장 가세 몰락과 새로운 도전 = 19
    • 1. 끼니가 어려워 13세 때 객지로 나가 = 21
    • 2. 전란을 겪고 결혼의 신접살림을 = 25
    • 제2장 마펫 선교사 해후와 믿음의 거듭난 생활 = 29
    • 1. 협객이 되어 마펫 선교사 전도 방해하고 = 31
    • 2. 1905년, 예수 믿어 거듭난 생활로 = 36
    • 3. 대동강 나룻터에서 상업을 시작하여 = 42
    • 제3장 중국 무역과 조국애의 발로 = 45
    • 1. 중국 무역개설과 해외 망명객 후원 = 47
    • 2. 3·1만세 운동에 참여한 큰 아들 피신시켜 = 51
    • 3. 평남 경찰부 폭파한 김예진을 도피시키고 = 55
    • 제4장 숭인재단 이사와 임정의 독립신문 보급책 = 61
    • 1. 1920년 이후 숭인학교 재단 이사로 활약 = 63
    • 2. 큰아들의 가출 계획과 독립 운동 자금 = 67
    • 3. 상해 임정의「독립신문」평남 보급책으로 = 72
    • 제5장 가세 회복과 교계 입지 확보 = 77
    • 1. 옛날의 가세를 회복시켜 다시 대지주로 = 79
    • 2. 큰아들 결혼 주선과 세브란스의전에 넣고 = 83
    • 3. 1934년 평양 양노원 원장에 취임하여 = 87
    • 제6장 주기철 목사 청빙과 시련 속의 산정현교회 = 89
    • 1. 1936년 주기철 목사 청빙과 예배당 신축 = 91
    • 2. 신사 불참배로 구속된 주 목사의 옥바라지 = 97
    • 3. 산정현교회 삼총사 = 100
    • 4. 시련 속의 산정현교회와 주 목사 면직의 통한 = 105
    • 제7장 창씨 개명 반대와 주 목사 가족 돕기 = 111
    • 1. 창씨 개명에 불참한 고집과 그 시련 = 113
    • 2. 산정현교회당 매각에 적극 반대하고 = 118
    • 3. 주 목사의 가족 돕기와 일경의 감시 = 121
    • 제8장 해방 후 교회의 분열과 환난 대비 = 125
    • 1. 해방후 산정현교회의 분열을 맛보고 = 127
    • 2. 가족들을 먼저 월남시키면서 = 132
    • 3. 납치 당한 김철훈 목사 가족을 돌보고 = 135
    • 제9장 최후의 십자가와 뿌린 씨앗들 = 139
    • 1. 6·25 전날 정치보위부원에 납치되어, 순교의 반열로 = 141
    • 2. 그가 뿌린 씨앗의 열매들 = 147
    • 부록
    • 1. 유계준 장로 어록 = 153
    • 2. 약력 = 155
    • 3. 각주 = 159
    • 제1장 꿈과 바람이 많았던 학창 시절 = 173
    • 1. 한국판「마사다」의 고장, 정주에서 태어나 = 175
    • 2. 꿈이 소박했던 소년 시절 = 179
    • 3. 「105인 사건」으로 아버지가 잡혀가자 = 171
    • 4. 신성중학교에서 서울 YMCA학교로 = 185
    • 5. 용천의 김신채를 신부로 맞아 = 189
    • 제2장 33인 민족 대표와 가족들의 3·1만세 운동 = 191
    • 1. 아버지 이명룡 장로 33인 민족대표로 = 193
    • 2. 아들 이경선은 파고다 공원에서 만세를 부르다가 = 197
    • 3. 부인 김신채는 정주에서 만세 대열 선두에 서서 = 201
    • 4. 중국 상해로 도피하여 금릉대학 입학 = 207
    • 제3장 장로 장립과 흥사단 가입 = 211
    • 1. 귀국 후 29세의 젊은 나이에 장로 장립 받고 = 213
    • 2. 안창호 선생의 권유로 흥사단에 들어가 = 216
    • 3. 낙원같은 과수원에서 풍요로운 삶을 = 219
    • 제4장 일제 예비 검속과 해방 후 반공 투쟁 지휘 = 223
    • 1. 손 대접과 신사 참배 피신자 숨겨주고 = 225
    • 2. 예비 검속에 순순히 응해 = 230
    • 3. 광복 후 주일에 치른 총선에 반기를 들고 = 234
    • 4. 정주학생의거 미수 사건의 배후 인물로 잡혀가 = 237
    • 제5장 월남한 가족들의 활동과 교계 봉사 = 243
    • 1. 아버지 이명룡 장로의 월남과 개척 교회 설립 = 245
    • 2. 부인 김신채 권사의 신앙 투혼 = 251
    • 3. 차남 이대영 장로의 교계 봉사 = 254
    • 4. 33인 민족대표 이명룡 장로 가계 = 257
    • 제6장 이 장로로부터 영향받은 인사들의 글 = 259
    • 1. 李敬善장로님을 추모하여(지명관 교수) = 261
    • 2. 이 시대의 올바른 지도자상을 읽으며(안형일 교수) = 265
    • 3. 이경선 장로님과 새벽송(선우양국) = 267
    • 4. 李敬善장로님을 추모하여(선우휘 선생) = 272
    • 부록
    • 1. 이명룡 장로 3·1운동사건 재판기록 초 = 283
    • 2. 아들 이대영 장로의 글 = 285
    • 3. 이경선 장로 약사 = 289
    • 4. 각주 = 291
    • 제1장 출생과 조혼 = 305
    • 1. 황해도 송화에서 태어나 = 307
    • 2. 열두 살 때 장가 들고 = 310
    • 제2장 입신과 소명 = 313
    • 1. 열네 살에 홀로 예수를 영접하고 = 315
    • 2. 열다섯 살에 소년으로 참가한 3·1만세 운동 = 318
    • 3. 소명받아 성경학교 입학 = 321
    • 제3장 목회와 만학 = 325
    • 1. 태탄교회에서 시작한 목회의 첫발 = 327
    • 2. ‘동포여 잠을 깨시오’ = 330
    • 3. 평신에 들어가 만학의 불꽃을 = 333
    • 제4장 시련과 요양 = 337
    • 1. 찬송 열창으로 은혜를 끼쳐 = 339
    • 2. 평화를 상징하는 창씨 개명으로 = 343
    • 3. 신경통·관절염으로 수 년간 고향에서 요양하고 = 346
    • 제5장 해방과 순교 = 349
    • 1. 해방은 또 다른 질곡으로 치닫고 = 351
    • 2. 1948년 16년 만에 졸업한 신학교 = 354
    • 3. 후퇴하는 인민군에 의해 순교 = 358
    • 제6장 바톤을 이은 그의 후예들 = 363
    • 1. 할머니와 어머니의 기도가 = 365
    • 2. 장남 조의택 목사(74세) = 367
    • 3. 차남 조인택 목사(65세) = 370
    • 4. 3남 조영택 목사(57세) = 372
    • 5. 4남 조유택 목사(52세) = 373
    • 6. 장녀·차녀는 목사 부인으로, 막내는 전도사로 = 374
    • 7. 여동생 조순복 권사와 그 아들 정복원 목사 = 375
    • 8. 조석훈 목사님을 추모하면서(배명준 목사) = 377
    • 부록
    • 1. 조석훈 목사 약력 = 381
    • [Volume. 11]----------
    • 목차
    • 제1장 출생과 동학의 거센 바람
    • 1. 3대 독자와 할아버지의 고민 = 19
    • 2. 동학도가 된 할아버지의 열렬한 신앙 = 23
    • 3. 동학혁명의 태풍에 패가망신을 하고 = 28
    • 제2장 강서에 뿌려진 최초의 복음
    • 1. 전삼덕 여인의 열렬한 전도가 = 35
    • 2. 아버지는 서당 훈장으로 가족의 생계를 꾸려가고 = 40
    • 3. 동학과 서학의 자리바꿈이 일어나고 = 44
    • 제3장 결혼의 축복과 평양 유학의 길
    • 1. 사달학교에서 신학문과 복음을 접하고 = 51
    • 2. 22세에 늦 장가를 간 것은 = 54
    • 3. 장대재교회 대부흥회에서 주의 종 되기를 서원 = 58
    • 4. 청운의 뜻을 품고 숭실학교에 입학 = 62
    • 제4장 소명받아 협성신학교 입학
    • 1. 서울로 올라가 신학교 문을 두드려 = 69
    • 2. 독립을 염원한 동료 신학생들 = 73
    • 3. 재학중, 집사 목사 안수례를 치르고 = 77
    • 4. 교사 화재로 수라장이 된 졸업식 날 아침 = 82
    • 제5장 평양 남산현교회 부임과 주일학교 교육
    • 1. 평양역에서 성도들의 뜨거운 환영을 받고 = 89
    • 2. 남산현 언덕에 목회의 나래를 펴고 = 93
    • 3. 주일학교 교육의 혁신과 그의 정렬적인 헌신 = 98
    • 제6장 3·1만세 운동과 옥고의 열매
    • 1. 만세 전야 동지들의 활약 = 105
    • 2. 3·1만세 시위 그 날의 함성 = 111
    • 3. 시위 군중의 무자비한 검거 선풍 = 116
    • 4. 옥고를 치르다 복막염으로 생을 마감하고 = 120
    • 제7장 그의 후예들은 지금 어디에
    • 1. 6명의 목사 가족이 된 장남 화준 = 129
    • 2. 연세대 문과대학장을 역임한 차남 영준 = 135
    • 3. 3명의 목사를 낸 3남 상준 = 142
    • 4. 4남 김도준, 이북 체류 = 148
    • 5. 3목사, 3장로를 배출한 세 여형제 = 149
    • 제8장 유족들 추모의 글
    • 1. 조카딸 김진실 = 155
    • 2. 손자 박승일 목사 = 158
    • 부록
    • 1. 박석훈 목사 약사 = 163
    • 2. 각주 = 166
    • 제1장 복음으로 함께한 가족
    • 1. 기장읍 월전리 최씨 가문의 장손으로 태어나 = 185
    • 2. 서당문 밖에서 귀동냥으로 배운 공부가 드디어 = 188
    • 3. 노총각의 서러움 끝에 결혼에 골인하고 = 193
    • 4. 면장이 선물한 성경을 읽고 읍교회 출석 = 198
    • 5. 월전교회 설립과 세부 측량기사로 취직 = 206
    • 제2장 왕대선 선교사의 후원과 조사 특채
    • 1. 기장읍교회 및 월전교회 조사로 임명받아 = 213
    • 2. 경남노회 조사 시취 후 통영교회로 청빙되다 = 216
    • 3. 소명 받아 평양장로회신학교 입학 = 223
    • 4. 1919년 고성읍교회 부임과 확장목회의 시동 = 230
    • 5. 장로 장립과 예배당 신축 = 236
    • 제3장 평신 졸업과 노회 임원 활약
    • 1. 1925년 동래읍교회 부임과 총회 총대로 = 245
    • 2. 축호전도의 성황과 가정의 시험이 겹치고 = 251
    • 3. 평양장로회신학교를 9년 만에 졸업 = 256
    • 4. 동래 일신여학교 교목 부임과 학원 복음화에 = 260
    • 5. 마산교회 교역자 배척사건 조사위원으로 = 263
    • 6. 7년의 동래읍교회 사역을 마감한 이유는 = 269
    • 제4장 남해 4개처 교회 부임과 지역복음화 전력
    • 1. 남해 고도의 영혼들을 사랑하여 = 275
    • 2. 8개 면을 돌면서 전도 집회를 인도하고 = 281
    • 3. 남해 4교회 최 목사 청빙과 그의 부임 설교 = 286
    • 4. 사도 바울의 자립정신 본받아 손수 집도 짓고 = 291
    • 5. 최 목사의 실물 목회와 영향받은 사람들 = 295
    • 제5장 경남노회장 피선과 신사불참 투쟁
    • 1. 한국교회 신사참배로 시험대 위에 서다 = 303
    • 2. 신사참배에 대한 호주선교부의 갈등과 그 타협 = 308
    • 3. 노회장 피선과 3인 당국교섭위원 선임 = 311
    • 4. 제41회 경남노회 신사참배 부결시키다 = 316
    • 5. 경남 동지들의 신사불참배 운동 = 323
    • 제6장 5년의 옥고와 순교의 골고다 길
    • 1. 1940년 6월말 경찰에 체포되어 = 331
    • 2. 부산 남부경찰서에서 평양경찰서로 이송되다 = 336
    • 3. 1941년 8월 25일 드디어 평양형무소 입성 = 342
    • 4. 5년의 긴 옥고를 치르며 = 347
    • 5. 병보석 1주일 만에 의문의 죽음이 = 352
    • 제7장 유족들과 유물 그리고 순교기념비
    • 1. 큰아들 최일구 목사와 재건교단의 외로운 길 = 359
    • 2. 큰딸 복음의 아버지 생각 = 363
    • 3. 11자녀들의 프로필 = 366
    • 4. 유물과 순교기념비 = 368
    • 제8장 영적 제자들의 추모사
    • 1. 수세자 묵해 김용옥 장로 = 373
    • 2. 손주 사위 박성제 = 377
    • 3. 남해 자애원 원장 이상철 장로 = 379
    • 4. 남해읍교회 김선일 원로 장로 = 381
    • 부록
    • 1. 최상림 목사 연표 = 385
    • 2. 각주 = 390
    • 3. 참고문헌 = 396
    • [Volume. 12]----------
    • 목차
    • 제1장 아버지의 효행과 엄한 자녀교육
    • 1. 효행의 묘상에서 = 19
    • 2. 아버지의 엄한 교육을 받으며 = 23
    • 3. 13세에 비로소 소학을 통해 참 사람의 길 배워 = 26
    • 제2장 아버지의 타계와 절망의 심연
    • 1. 15세에 아버지를 여읜 후 방탕의 길로 = 33
    • 2. 결혼·가정 교사·귀향 = 37
    • 3. 정신적인 방황과 사망 신고 = 42
    • 4. 어느 날 유혹과의 싸움에서 승리를 = 47
    • 5. 4개 월 방황한 뒤에 안식할 곳 찾아 = 51
    • 제3장 종교 논쟁과 유교에의 성찰
    • 1. 친구 김진우를 만나 그의 전도를 받았으나 = 57
    • 2. 너는 죄가 없느냐? = 61
    • 3. 그날 밤 꿈에 나타난 「보혈」= 65
    • 4. 자기가 믿은 유교에 대한 깊은 성찰 = 68
    • 제4장 복음의 수용과 전도자의 길
    • 1. 의료 선교사 리이드의 어학 선생으로 들어가 = 75
    • 2. 의사보다는 전도자의 길을 택하고 = 80
    • 3. 천당과 영혼 구원에 대한 확고한 신앙이 아직도 = 85
    • 4. 중생 후에 일어난 심적 갈등과 중병으로 = 89
    • 5. 북부 교회 담임자가 된 것은 = 94
    • 제5장 각 지방 파송과 그의 충성된 사역
    • 1. 강원도 홍천 구역장으로 파송받아 = 99
    • 2. 홍천에서 보낸「교회 통신」= 106
    • 3. 인제 구역 파송 불복하고 시험을 겪다 = 109
    • 4. 가평 구역장으로 발령을 받아 = 113
    • 5. 춘천지방 부흥사로 그리고 집사 목사 장립 = 116
    • 제6장 3·1독립 운동과 민족 대표 참가
    • 1. 서울 수표교교회로 부임하여 = 123
    • 2. 3·1운동에 민족 대표로 참가한 것은 = 126
    • 3. 태화관의 독립선언과 그 선언서 내용 = 131
    • 4. 파고다 공원의 만세 함성과 지방마다 시위가 = 138
    • 5. 경찰·검찰의 취조와 그 내용 = 143
    • 6. 옥고 중에 꾸었던 꿈과 생의 성찰 = 162
    • 7. 감옥에서 집으로 부친 詩 = 168
    • 제7장 출옥 후의 성숙된 목회와 장로 목사 안수
    • 1. 출옥의 점묘와 원산 상리교회로 파송되고 = 183
    • 2. 협성신학교를 8회로 졸업하다 = 189
    • 3. 가난 속에서 큰며느리를 맞이하고 = 193
    • 4. 고성·춘천·가평·서울 등지에 1년씩 파송받아 = 198
    • 5. 황해도 한포지역 담임과 이안지방 감리사 = 203
    • 6. 감리교 신학교 부흥 집회 인도 낙수 = 207
    • 제8장 신사참배 반대운동과 한국교회의 시련
    • 1. 천안교회 목회와 항일의 진실 = 213
    • 2. 신사참배 반대로 예비검속 당해 = 218
    • 3. 나환자와 거지들에게 사랑을 베풀어 = 222
    • 4. 감리사로서 본인 파송에 제동을 걸고 = 226
    • 5. 성역 30년 기념식과 사은회 = 230
    • 6. 신 목사의 청빈생활과 그 언저리 = 234
    • 7. 친구 정춘수 목사의 친일우회에 통탄하고 = 238
    • 8. 진남포지방 사역 중 용강경찰서에서 광복을 = 242
    • 제9장 조국 광복과 이북 목회의 시련
    • 1. 정년이 넘었으나 많은 교회로부터 청빙이 쇄도하고 = 251
    • 2. 3·1절 기념식날 전후에 일어난 세 사건 = 256
    • 3. 「인민정권」수립을 찬성하는 감상문 강요 = 261
    • 4. 초대 서부연회장 피선과 그의 희생적 단안 = 264
    • 5. 1949년에 일어난 소위「진남포 4·19사건」이란? = 270
    • 6. 법정 공박과 10년 언도를 받고 = 275
    • 7. 복역 중 6.25때 순교의 길로 = 279
    • 8. 그의 유품과 훈장·동상 = 283
    • 9. 유족은 지금 어디에 = 289
    • 제10장 남은 자들이 보내는 추모의 글
    • 1. 세상의 빛, 세상의 소금 / 전감신대학장 변선환 목사 = 293
    • 2. 申錫九 牧師님 / 전감독 윤춘병 목사 = 296
    • 3. 성실한 믿음의 향기 신석구 목사 / 마경일 목사 = 300
    • 4. 그리스도의 삶을 보이신 신석구 목사 / 노종해 목사 = 306
    • 부록
    • 1. 신석구 목사 연보 = 315
    • 2. 각주 = 319
    • 제1장 출생과 고향 안악군
    • 1. 피난지에서 태어난 어린시절은 = 341
    • 2. 고향이 된 안악군이란 곳은 = 345
    • 1) 사상·문화운동의 요람지 海西 = 348
    • 2) 안명근 사건과 해서교육총회 = 351
    • 3. 안악읍교회 정일선 목사
    • 제2장 숭실 입학과 가계 계승
    • 1. 숭실학교 입학과 아버지의 사업 실패 = 357
    • 2. 가업 계승과 결혼을 하고 = 360
    • 3. 구제활동이 생활화되어 = 362
    • 4. 초기 사업의 어려움과 교육열 = 365
    • 제3장 3·1만세 시위와 8월의 옥고
    • 1. 3·1만세 시위에 연루, 구속되고 = 371
    • 2. 김구 선생을 만나 망명 계획을 = 374
    • 제4장 사업의 번창과 일제말기의 수난
    • 1. 사업은 번창되었으나 일제의 압박이 = 379
    • 2. 신사참배 강요로 교회쪽은 = 382
    • 제5장 해방과 순국·순교의 길
    • 1. 해방 후 장로 장립 받고 기독교동우회 창립 = 389
    • 2. 순국과 순교의 쓴 잔을 마시고 = 393
    • 3. 유족들은 그 후 어디로 = 396
    • [Volume. 13]----------
    • 목차
    • 제1장 방탕생활
    • 1. 청일 전쟁으로 재산을 잃고 = 19
    • 2. 방탕하다가 중병을 앓아 = 21
    • 3. 병석의 남편에게 바친 피와 살 = 25
    • 제2장 회심, 새출발
    • 1. 향락의 벼랑에서 만난 선교사 = 31
    • 2. 하늘의 음성을 듣고 = 35
    • 3. 의사와 전도사를 겸하여 = 39
    • 제3장 하나님 손에 붙잡힌 사람
    • 1. 개천읍교회에서 장로 장립을 받고 = 45
    • 2. 십자군 소집 영장이 날아들다 = 50
    • 3. 신사참배의 부당성을 항의하러 = 53
    • 제4장 신사참배 강요와 총회의 변절
    • 1. 평북노회의 신사참배 결의 = 59
    • 2. 드디어 미나미 총독에게 첫 충고문을 보내다 = 64
    • 3. 감옥에서 총회의 변절 소식 듣고 = 70
    • 제5장 계속 발송한 미나미 총독 충고문
    • 1. 충고문 제2탄 = 77
    • 2. 계속 보낸 총독 충고문 = 81
    • 3. 미나미 총고을 면회, 충고하다 = 86
    • 제6장 도일하여 신사참배 반대운동
    • 1. 아들 영창을 일본에 유학보내고 = 91
    • 2. 일본에서 신사불참배 투쟁 = 95
    • 3. 각계 지도자들에게 협조를 요청 = 101
    • 제7장 난장판이 된 일본 국회의사당
    • 1.‘여호와 하나님의 대사명이다’ = 109
    • 2. 제74회 일본제국의회 중의원에 투하한 선언문(1) = 113
    • 3. 중의원에 투하한 선언문(2) = 117
    • 4. 중의원에 투하한 선언문(3) = 121
    • 5. 중의원에 투하한 선언문(4) = 125
    • 제8장 동경 경시청 취조
    • 1. 3인이 연행되어가 취조를 받다 = 131
    • 2. 형사들의 강제압송으로 귀국길에 = 143
    • 3. 고향으로 돌아가다 = 146
    • 4. 아들, 영창을 결혼시키고 = 149
    • 제9장 평양형무소 옥고와 영광의 순교
    • 1. 옥중에 뿌려진 하나님의 말씀 = 155
    • 2. 자나 깨나 기도에 힘쓰고 = 159
    • 3. 순교의 길만이 그의 소원 = 163
    • 4. 하늘가는 밝은… 길을 부르며 장엄한 순교의 최후 = 167
    • 5. 그후 유족은 어디로 = 172
    • 부록
    • 약사·육필·추모시·추모회 취지서 = 175
    • 제1장 전주에서 나래를 편 어린시절
    • 1. 개화파 아버지는 비누 제조를 시작하고 = 209
    • 2. 학창시절의 꿈이 컸으나 = 213
    • 3. 방황의 긴 세월이 흐르고 = 217
    • 제2장 제2의 고향 김제, 백구면
    • 1. 마산리로 옮겨 생활의 터전을 닦으며 = 225
    • 2. 난산교회 봉사와 트럼펫에 시름을 달래고 = 229
    • 3. 김길례와 드디어 중신으로 가정을 이루다 = 233
    • 제3장 해방과 민족의 갈등
    • 1. 좌·우익의 충돌이 극심했던 백구면 = 241
    • 2. 대동청년단에 가입하고 = 245
    • 3. 장인따라 공덕면으로 이사가다 = 249
    • 제4장 6.25동란과 순교의 길
    • 1. 적치하가 된 백구면에 살기가 돌고 = 255
    • 2. 조령마을에 사는 김성기를 잡으러 가고 = 259
    • 3. 영산유치원 건물에 갇힌 우익 인사들 = 265
    • 4. 가그막재에서 최후의 총탄을 맞아 = 270
    • 제5장 유족들은 그후 어떻게
    • 1. 외아들 은식은 좌절 끝에 성역의 길로 = 277
    • 2. 부인 김길례 권사의 思夫曲 = 286
    • 제6장 남은 자들의 추모사
    • 1. 한국교회를 순교자의 정신으로(이은익 목사) = 291
    • 2. 하늘 나라에서 만납시다(강만원 목사) = 294
    • 3. 교회 행사 때마다 연주를 하며(김병욱 장로) = 297
    • 4. 집사님과 함께 봉사했던 기억이(김종선 목사) = 299
    • 부록
    • 1. 김성기 집사 약사 = 303
    • 2. 각주 = 305
    • 제1장 당나라 정치 망명객의 후손과 그 기개
    • 1. 가문과 친척들의 행적은 = 323
    • 2. 고학으로 시작된 중학교 시절 = 327
    • 3. 만능 선수의 재질이 만 가지 일에 충실하고 = 330
    • 제2장 향학의 열의와 고학의 길
    • 1. 진학이냐, 취직이냐? = 337
    • 2. 1929년, 성경구락부의 창립 교사로 = 339
    • 3. 1930년, 평양 학생사건의 연락책으로 = 344
    • 4. 요시찰 인물이 된 전문학생 = 348
    • 5. 배민수가 이끈 농우회의 회원이 되어 = 350
    • 6. 평양신학교 입학과 그의 동기생들 = 354
    • 제3장 산정현교회 부목사 부임과 농우회 사건
    • 1. 三登敎會 시무 중 산정현교회 부목사로 청빙받고 = 361
    • 2. 의성농우회 사건으로 9개월의 옥고를 = 365
    • 3. 그후 일본 유학길에 오르고 = 372
    • 제4장 조국의 광복과 공산당의 핍박
    • 1. 해방 후 농촌목회에 정열을 = 377
    • 2. 비석리교회와 공산당의 음모사건 = 385
    • 3. 마의 그물에서 순교의 제물로 = 390
    • 제5장 유족은 그후 어디에
    • 1. 그의 형제들은 지금 어디에 = 3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