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하곡 정제두와 소론계 주자학자들의 양명학 논변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1-279(39쪽)
제공처
정제두와 소론계 주자학자들 사이에 전개된 양명학에 관한 논변은 조선사상사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본격적인 ‘양명학논변’이라는 점에서 일차적인 의의가 있다. 이 논변에 참여하는 양 진영의 입장은 분명하다. 소론계 주자학자들은 양명학을 이단으로 비판한다. 반면에 정제두는 양명학이 성학(聖學)의 바른 뜻을 얻었음을 확인하는 입장에서 양명학을 변호한다.
이 글에서는 ‘양명학논변’의 주요 쟁점과 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정제두의 양명학 변호의 특징과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특히 양명학 변호 과정에서 정제두의 양명학 이해가 심화·확대·특화되는 양상에 주목함으로써 그의 양명학관의 한국적 특성을 밝히고자 했다.
양명학논변을 통해 정제두는 크게 세 가지의 성과를 거둔다. 첫째는 양명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확대시켰다는 점이다. 주자학자들의 비판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양명학의 주요 이론에 관한 이해가 심화되었으며, 양명학이 성학임을 경전에 근거하여 논증하는 과정에서 양명학적 도통론을 수립하였다. 이것은 「학변(學辯)」으로 결실을 맺게 된다.
둘째는 조선성리학의 주요 개념과 이론을 활용하여 양명학의 주요 개념과 이론을 설명한 것이다. ‘생리(生理)’로 ‘양지’를 해석한 것, 그리고 ‘성체정용(性體情用)’론으로 ‘양지체용’론을 설명한 것이 대표적이다. ‘생리’로 ‘양지’를 설명함으로 해서 정제두는 ‘인(仁)’과 ‘양지’를 ‘생리’ 개념 가운데 융합시킨다. 이것은 그가 명도학과 양명학의 통합을 시도했다는 사상사적 의미를 지닌다.
셋째는 조선성리학의 주요 논제를 양명학에 입각하여 해명한 점이다. 정제두는 사단칠정론과 중화론을 양지체용론에 입각하여 새롭게 해명한다.
이것들은 중국양명학이나 일본양명학과도 구분되는 하곡학의 특징이자 공헌이라고 하겠다.
The debate on Yangming studies 陽明學 between Jeong Je-du and the Soron 小論 faction of neo-Confucian scholars holds primary significance as the first substantial debate on Yangming studies in the history of Joseon thought. The stances of both sides involved in this debate are clear: Soron scholars criticize Yangming studies as heretical, while Jeong Je-du defends Yangming studies asserting that it embodies the true meaning of Sage’s Learning 聖學.
This article examines the major issues and content of the debate on Yangming studies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Jeong Je-du’s defense of Yangming studies. In particular, by focusing on how Jeong Je-du’s understanding of Yangming studies deepened, expanded, and specialized in the process of his defense, it aims to elucidate Jeong’s unique understanding of Yangming studies that exhibits Korea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debate on Yangming studies, Jeong Je-du achieved three major achievements. First, he deepened and expanded his understanding of Yangming studies.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criticism from Zhuxi scholars, he gained a deeper understanding of Yangming studies’ main theories and established the doctrinal lineage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Yangming studies based on Confucian classics, culminating in his work, “Hakbyeon” 學辯.
Second, he explained the main concepts and theories of Yangming studies using the key concepts and theories of Joseon neo-Confucianism.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interpreting ‘innate knowledge’ 良知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inciple of life’ 生理 and explaining the theory of ‘innate knowledge itself and its function’ 良知體用 using the theory that ‘nature is substance and emotion is function’ 性體情用. By explaining ‘innate knowledge’ with the ‘principle of life’, Jeong Je-du merged ‘benevolence’ 仁 and ‘innate knowledge’ within the concept of the ‘principle of life.’ This effort signifies his attempt to integrate Mingdao studies 明道學 and Yangming studies, holding considerable historical importance.
Third, Jeong Je-du reinterpreted major topics of Joseon neo-Confucianism based on Yangming studies. He offered new explanations for the Four-Seven Debate 四端七情論 and the theory of Zhong-He 中和 based on the theory of ‘innate knowledge itself and its function. These efforts highlight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contributions of Hagok studies distinguishing it from Chinese and Japanese Yangming studi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