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김구의 대몽 외교활동에 관한 두 가지 문제 = Two Matters Regarding Kim-Gu's Diplomatic Activities with Mongol
저자
고명수 (충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3-192(30쪽)
제공처
As for the two matters that were not examined enough about Kim-Gu(金坵)'s diplomatic activities with Mongol in the paper, an explanation was tried. First, his activities as an ambassador with Mongol were investigated in many aspect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He was dispatched to Mongol as an envoy in April in the 27th year of King Gojong(高宗)'s reign, by which the third invasion into Goryeo by Mongol had ended and when the two countries were seeking diplomatic compromise, met with Ögedei Qa’an at a temporary palace near Karakorum, and returned to Gangdo(江都) in December or in January next year(1241). The ambassador group negotiated with the Mongol ruling class, and partly contributed to the diplomatic outcome of replacing the demand audience of Goryeo king with the dispatch of turqaq(禿魯花). Next, the letters that Kim-Gu sent to Janghaksa(張學士) and Wanghaksa(王學士) of Mongol were analyzed. As a result Janghaksa was believed to be Jang-Mungyum(張文謙), who consistently did his best to politically practice Confucian teachings while closely serving Qubilai before and after the accession. And it was proved that the descriptions in Jipojip(止浦集) regarding Wanghaksa as Wang-Ak(王鶚) corresponded with the fact.
더보기13세기 고려는 초강대국 몽골을 상대로 왕조 체제와 정치·문화적 자주성을 보전하기 위해 뛰어난 외교 역량을 필요로 했다. 김구는 원종대 활발한 문한외교를 통해 몽골과 화친을 맺고 우호관계를 유지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 따라서 그의 외교활동은 고려의 외교적 역량, 성과를 올바르게 규명하는 데 중요한 연구주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국내외에서 관련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작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 고종대 그의 대몽 사행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그는 몽골의 3차 고려 침입이 종료되고 양국이 외교적 타협점을 모색하던 고종 27년(1240) 4월 서장관 신분으로 몽골에 파견되어 카라코룸 근처 행궁에서 우구데이를 접견하고 12월이나 이듬해(1241) 1월 강도로 귀환했다. 사신단은 몽골 지배층과 교섭하여 고려에 대한 국왕 친조 요구를 투르칵 파견으로 대체하는 외교적 성과를 거두는 데 일정 부분 기여했다. 다음 그가 몽골의 장학사, 왕학사에게 보낸 서한을 분석하여 장학사를 즉위 전후 쿠빌라이 측근에서 일관되게 유학적 가르침의 정치적 실천에 진력한 장문겸으로 추정하고, 왕학사를 왕악으로 간주한 지포집의 서술이 사실에 부합함을 논증했다. 본고가 김구의 외교활동을 제대로 복원하고 그 성과, 의미를 정당하게 평가하는 데 도움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