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 유형별 브랜드 전략 가이드 연구
플랫폼 레볼루션의 저자인 마셜 밴 앨스타인은 “플랫폼이 항상 제품을 이긴다.”라는 표현으로 최근의 변화하는 경제와 비즈니스의 흐름을 압축적으로 설명하였다. 패션산업도 예외 없이 플랫폼 산업의 영향으로 패션브랜드는 여러 영역에서 변화에 직면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패션 유통 경우 거대 플랫폼 기업의 성장으로 매출의 감소와 함께 도산하거나 합병 신청을 하게 되었다. 또한, 전통적 유통망에 의존하였던 크고 작은 패션브랜드들은 매출 하락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게 되면서, 기업 생존을 위해 사업을 축소하거나 매각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2010년 전후 중앙 집권적 대형 플랫폼 기업들 사이에서 중소 규모 패션브랜드의 성장이 나타났다. 2010년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창업한 안경 전문 브랜드인 와비파커는 구매 방법 개선과 합리적 가격 제안을 통해 2021년 상반기 매출은 동기간 대비 58% 신장한 2억7천만 달러를 기록하였고, 201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업한 스티치픽스는 추천 알고리즘과 데이터 과학을 사용한 개인 맞춤 추천 서비스를 통해 2021년 1분기 매출은 지난해보다 10% 신장한 4억9천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들 소규모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들은 대기업과 같은 자본과 조직이 상대적으로 취약했음에도 불구하고, 차별화된 전략과 실행으로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었다.
플랫폼 산업의 성장으로 나타난 패션산업과 패션브랜드의 영향에 관한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거대 플랫폼 기업과 전통적인 패션브랜드의 높은 시장 장벽을 극복한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브랜드 전략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산업은 타 산업과는 다른 산업적 배경을 가지고 발전되었기 때문에, 플랫폼 산업의 영향으로 나타난 패션브랜드의 전략적 변화의 분석이 요구된다. 둘째, 플랫폼 환경에서 성장한 패션브랜드의 분석은 타 산업과는 다른 배경과 특성으로 발전되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전략 유형에 맞게 특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플랫폼 산업의 영향으로 패션 창업환경의 변화가 나타났기 때문에,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 요소를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가이드로 제안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전통적 패션브랜드와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적 차이를 브랜드 전략 요소별로 알아보는 것이다. 둘째,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분석을 위한 프레임을 설계하고, 브랜드 전략의 유형별 특성을 체계화하는 것이다. 셋째,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유형별 브랜드 전략의 단계적 고려 요소를 분석하고, 유형별 브랜드 전략 가이드를 작성한 후 이를 전문가 평가를 통해 가이드 라인을 체계화하고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플랫폼 환경변화에 필요한 패션브랜드의 브랜드 전략을 체계화하고 활용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브랜드 전략의 세부 요소별 차별적 특성을 검토하고 이로부터 도출된 전략 유형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1단계는 전통적 패션브랜드와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적 차별점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진행하였다. 2단계는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브랜드 전략을 분석하고, 전략 유형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브랜드 전략 분석을 위해 분석 프레임을 설계한 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10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전략을 분석하였다. 3단계는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유형별 브랜드 전략의 단계적 가이드 라인을 체계화하기 위해 유형별 브랜드 전략을 단계별 활동 내용으로 정리하고, 단계별 고려 요소를 분석하였다. 가이드 라인의 대한 전문가 평가수행 및 가이드 라인을 보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 전략의 차별적 특징이 분석되었다. 플랫폼 산업의 영향으로 나타난 전략의 변화는 고객가치의 재정의와 독자적인 운영방식의 추구였다. 브랜드 전략의 세부 내용으로는 패션 구매의 편리성과 소비 니즈의 연결, 개인화 맞춤 서비스의 구축과 고부가가치 창출 그리고, 공유가치 기반 소비 니즈의 충족이었다. 이러한 전략에는 플랫폼 속성의 반영과 고객가치에 집중하는 전략적 태도가 반영되었다. 둘째,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유형화와 유형별 브랜드 전략이 분석되었다. 브랜드의 유형은 전통 개선형, 사회적 가치결합형, 개인 맞춤형, 커뮤니케이션형 등 4개로 각각의 유형을 소비자관점, 브랜드 관점, 비즈니스 관점으로 분석한 결과 유형별 특성이 나타났다. 전통 개선형은 전통 패션 소비에서 나타난 소비자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관점을 전환하여 운영방식의 편리성을 제안하였으며, 사회적 가치결합형은 사회적 공유가치를 패션의 감성과 결합한 독자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구축한 후 소비자와의 공감을 위한 상호작용의 관계를 지향하였다. 개인 맞춤형은 효과적인 운영방식을 통해 개인화된 패션 소비 니즈가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커뮤니케이션형은 목표 소비자와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설정한 후 독자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제안하고, 소비자와의 커뮤니티를 유지하는 내용이었다. 셋째, 브랜드 발전 단계별로 차별적 내용이 나타났다. 소비자 단계에서는 현황 진단과 부가가치에 대한 재정의가 있었으며, 브랜드 단계에서는 패션브랜드로서 업을 재정의하고 일관성을 유지하였으며, 마지막 비즈니스 단계에서는 독자적인 운영방식을 구축하였다.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 가이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브랜드 현황 파악 항목과 기준을 제공하는 단계로, 플랫폼 산업에서 나타난 패션브랜드의 속성인 혁신성, 전문성, 개인성,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브랜드에 맞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2단계는 전략 유형의 선택 기준과 방법으로 브랜드 속성에 기반하여 전략 유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전략 유형 선택 기준은 고객가치 영역과 운영방식의 차별적 내용으로 전통 개선형, 사회적 가치결합형, 개인 맞춤형, 커뮤니케이션형에 맞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3단계는 전략 요소와 방법으로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 요소인 전략적 환경분석, 비전과 미션, 포지셔닝,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적용되어야 할 세부 요소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략 요소가 작성된 후 4개 유형별 차별화된 고객가치 실행 방법과 운영방식 구축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4단계 프로세스에는 단계별 기준 제시와 기준에 맞춘 옵션을 선택하고 이에 따른 핵심 내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5단계는 전략의 효과성 검증 방법으로 고객가치와 운영방식을 대상으로 검증 항목을 만들었으며, 세부 항목과 내용을 통해 검증할 수 있도록 하였다. 6단계는 전략 효과에 따른 전략 유형 수정 방법으로 수정 방법 기준은 브랜드 전략의 일관성,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성, 그리고, 운영방식의 편리성의 기준으로 전략 유형을 수정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전략 가이드에 대한 전문가 평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관점 경우 세분된 전략 가이드 내용은 패션 소비 니즈 발견과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내용이 반영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브랜드 관점 경우 신진 또는 스몰 브랜드에 필요한 가이드로 평가하였다. 마지막 비즈니스 관점은 세분된 전략 제안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과 실무적으로 업무 효과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하였다. 신뢰성 검증을 위한 동료 그룹 평가에서는 가이드의 효과성과 활용성 관점으로 진행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긍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다만, 전략 가이드의 성과를 위해 진정성을 갖출 수 있는 내용과 유형별 사례 제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전통적 패션브랜드의 전략과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적 차이점의 비교를 통해 패션브랜드의 고유의 전략을 수행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안했다. 전략적 차이점은 플랫폼 속성이 반영된 패션브랜드 유형을 4개로 분류한 후 유형에 맞는 전략 내용의 도출이었다.
둘째,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 가이드를 체계화하여 제안하였다. 6단계로 구성된 전략 가이드는 단계별로 사용자 관점으로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자가 체크 항목과 자가 질문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전략 가이드에는 전략을 검증하고 수정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환경변화에 맞게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전략 가이드는 실무적으로는 신진 또는 스몰 브랜드에게 필요한 전략적 내용이 포함될 수 있도록 작성하였다.
셋째, 플랫폼 산업환경의 영향으로 나타난 패션브랜드의 전략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였다. 패션산업은 타 산업과 비교하여 고유한 특성이 있으므로, 플랫폼 산업의 영향으로 나타난 패션브랜드의 전략은 패션과 플랫폼의 속성이 반영된 관점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전략 연구는 산업의 라이프사이클 문제와 전략을 연구할 수 있는 기준과 내용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는 패션 플랫폼에 진출하고자 하는 패션브랜드를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학문적으로는 플랫폼 산업환경에서 나타난 패션브랜드의 전략적 분석 내용이 후속 연구를 통해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arshall Van Alstyne, author of Platform Revolution, compressed the recent
changing economic and business trends with the expression "Platforms always
beat products." The fashion industry has also faced changes in many area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In the case of traditional fashion
distribution, due to the growth of large platform companies, they went bankrupt or
filed for merger with a decrease in sales. In addition, large and small fashion
brands that relied on traditional distribution networks suffered from falling sales,
leading to a situation where businesses were reduced or sold to survive. However,
before and after 2010,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fashion brands
appeared among large centralized platform companies. Warby Parker, a glasses
brand founded in Pennsylvania in 2010, posted $270 million in sales in the first
half of 2021, up 58% from the same period through improved purchase methods
and reasonable price proposals, while Stichfix, founded in San Francisco in 2011,
posted $490 million in sales in the first quarter of 2021. These small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have made meaningful achievements with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s, even though capital and organizations
such as large companies were relatively weak.
Various studies have also been conducted on the impact of the fashion industry
and fashion brand on the growth of the platform industry. However, research on
the brand strategy of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overcoming the high market
barriers of platform giants and traditional fashion brand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ince the fashion
industry has developed with an industrial background different from other
industries, an analysis of the strategic changes in fashion brands caused by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is required. Second, since the analysis of fashion
brands grown in the platform environment has developed into a different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from other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strategy. Third, since the change in the
fashion start-up environment has emerg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it is necessary to propose the strategic elements of the platform-based
fashion brand as a systematic and step-by-step guide.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to find out the strategic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fashion brands and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by
brand strategy element. Second, it designs frames for the analysis of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and organiz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brand strategy. Third, it analyzes the elements of step-by-step consideration of
brand strategies for each type of platform-based fashion brand, prepares a brand
strategy guide for each type, and organizes and finally presents the guidelines
through expert evaluation.
As a research method, in order to systematize the brand strategy of the fashion
brand necessary for the change in the platform environment and present a guide
for use, the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s of each detailed element of the brand
strategy were reviewed and the types of strategies derived were considered. In the
first stage of the study, a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to derive strategic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fashion brands and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The second step was to analyze the brand strategy of a platform-based fashion
brand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strategy. After
designing an analysis frame for brand strategy analysis, strategies were analyzed
for 10 brands selected as research targets. In step 3, in order to systematize the
step-by-step guidelines of brand strategies for each type of platform-based
fashion brand, brand strategies for each type were organized into step-by-step
activity contents and factors considered were analyzed. Expert evaluation of the
guidelines and guidelines were supplem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s
of platform-based fashion brand strategies were analyzed. The change in strategy
that emerg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was the redefinition of
customer value and the pursuit of independent operating methods. Details of the
brand strategy were the convenience of fashion purchase and the connection of
consumption needs,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ized services and the creation of
high value-added, and the satisfaction of shared value-based consumption needs.
This strategy reflected the platform attributes and the strategic attitude of
focusing on customer value. Second,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type. There are four types of brands: traditional
improvement type, social value combination type, personalization type, and
communication type,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type from a consumer
perspective, a brand perspective, and a business perspective, characteristics by
type were found. The traditional improvement type proposed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by changing perspective to solve consumer inconvenience in traditional
fashion consumption, and the social value combination type aims to establish its
own products and services that combine social value with fashion sensibility.
Personalization made personalized fashion consumption convenient through an
effective operation method, and the communication type was to set values that
could be shared with target consumers, suggest them with their own products and
services, and maintain a community with consumers. Third, discriminatory content
appeared for each stage of brand development. At the consumer level, there was a
status diagnosis and redefinition of added value, and at the brand level, the
industry was redefined and consistent as a fashion brand, and at the last business
stage, an independent operation method was established.
The contents of the platform-based fashion brand strategy guide are as follows.
The first step is to provide items and criteria fo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brand, and it is proposed that i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brand based
on innovation, expertise, individuality, and interaction, which are the attributes of
the fashion brand in the platform industry. Step 2 guided the selection criteria and
methods of the strategy type so that the strategy type can be selected based on
brand attributes of the br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strategy type are
differentiated contents of the customer value area and operation method, so that i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improvement type, social value
combination type, personalization type, and communication type. Step 3 presented
detailed elements and methods to be applied to strategic environmental analysis,
vision and mission, positioning, communication, and service, which are strategic
elements of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as strategic elements and methods.
After the strategic elements were prepared, the contents of the differentiated
customer value execution method and operation method construction for each of
the four types were presented. In the four-step process, the presentation of the
criteria by step and the selection of options tailored to the criteria were guided to
carry out the core contents accordingly. In step 5, verification items were created
for customer value and operation method as a method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y, and verification could be performed through detailed
items and contents. Step 6 proposes to modify the strategy type according to the
strategy effect, and the method criteria to modify the strategy type to the criteria
of brand strategy consistency, consumer interaction, and convenience of operation.
Expert assessments of the strategy guide are as follows. First, from a consumer
perspective, the detailed strategic guide content was evaluated as reflecting the
discovery of fashion consumption needs and the content that can meet them. From
a brand perspective, it was evaluated as a guide necessary for emerging or small
brands. The last business perspective was evaluated that value-added creation
through detailed strategic proposals and practical work effectiveness would be
high. In the peer group evaluation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it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ffectiveness and usability of the guide, and the evaluation
results were mainly positive. However, for the performance of the strategy guide,
the necessity of presenting authentic content and cases by type was suggested.
This study has three meanings. First, a theoretical framework was proposed to
carry out the unique strategy of a fashion brand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strategies of a traditional fashion brand and the strategic differences of a
platform-based fashion brand. The strategic difference was the derivation of
strategic contents suitable for the type after classifying the fashion brand types
reflecting the platform attributes into four.
Second, a strategic guide for a platform-based fashion brand was systematized
and proposed. The strategy guide consisting of six stages is configured to ask
self-check items and self-questions to make it convenient to use from a user's
perspective. The strategy guide includes methods for verifying and modifying
strategies so that they can be used flexibly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In particular, the strategic guide was prepared to include strategic content
necessary for emerging or small brands in practice.
Third, the strategy of fashion brands that emerg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ial environment was academically systematized. Since the fashion
industry has uniqu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 strategy of
the fashion brand, which appear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required a perspective that reflected the attributes of fashion and platform. Such
strategic research can be the criteria and content for studying industry lifecycle
problems and strategies.
Finally, this study hopes to be a practical guide for fashion brands that want to
enter the fashion platform in practice, and academically, it is hoped that the
strategic analysis of fashion brands in the platform industry environment can be
developed through follow-up research.changes. In practice, the strategy guide
guided young or small brands to be necessary strategic content.
Third, the strategy of fashion brands that emerg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environment was academically systematized. Since the fashion
industry has uniqu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 fashion
brand's strategy, which appear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was required to view the attributes of fashion and platform. Such strategic
research can be the criteria and content for studying industry lifecycle problems
and strategies.
Finally, this study hopes to be a practical guide for fashion brands that want to
enter the fashion platform in practice, and academically, it is hoped that the
strategic analysis of fashion brands in the platform industry environment can be
developed through follow-up research.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