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 유형별 브랜드 전략 가이드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플랫폼 레볼루션의 저자인 마셜 밴 앨스타인은 “플랫폼이 항상 제품을 이긴다.”라는 표현으로 최근의 변화하는 경제와 비즈니스의 흐름을 압축적으로 설명하였다. 패션산업도 예외 없이 플랫폼 산업의 영향으로 패션브랜드는 여러 영역에서 변화에 직면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패션 유통 경우 거대 플랫폼 기업의 성장으로 매출의 감소와 함께 도산하거나 합병 신청을 하게 되었다. 또한, 전통적 유통망에 의존하였던 크고 작은 패션브랜드들은 매출 하락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게 되면서, 기업 생존을 위해 사업을 축소하거나 매각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2010년 전후 중앙 집권적 대형 플랫폼 기업들 사이에서 중소 규모 패션브랜드의 성장이 나타났다. 2010년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창업한 안경 전문 브랜드인 와비파커는 구매 방법 개선과 합리적 가격 제안을 통해 2021년 상반기 매출은 동기간 대비 58% 신장한 2억7천만 달러를 기록하였고, 201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창업한 스티치픽스는 추천 알고리즘과 데이터 과학을 사용한 개인 맞춤 추천 서비스를 통해 2021년 1분기 매출은 지난해보다 10% 신장한 4억9천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들 소규모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들은 대기업과 같은 자본과 조직이 상대적으로 취약했음에도 불구하고, 차별화된 전략과 실행으로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었다.
      플랫폼 산업의 성장으로 나타난 패션산업과 패션브랜드의 영향에 관한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거대 플랫폼 기업과 전통적인 패션브랜드의 높은 시장 장벽을 극복한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브랜드 전략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산업은 타 산업과는 다른 산업적 배경을 가지고 발전되었기 때문에, 플랫폼 산업의 영향으로 나타난 패션브랜드의 전략적 변화의 분석이 요구된다. 둘째, 플랫폼 환경에서 성장한 패션브랜드의 분석은 타 산업과는 다른 배경과 특성으로 발전되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전략 유형에 맞게 특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플랫폼 산업의 영향으로 패션 창업환경의 변화가 나타났기 때문에,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 요소를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가이드로 제안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전통적 패션브랜드와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적 차이를 브랜드 전략 요소별로 알아보는 것이다. 둘째,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분석을 위한 프레임을 설계하고, 브랜드 전략의 유형별 특성을 체계화하는 것이다. 셋째,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유형별 브랜드 전략의 단계적 고려 요소를 분석하고, 유형별 브랜드 전략 가이드를 작성한 후 이를 전문가 평가를 통해 가이드 라인을 체계화하고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플랫폼 환경변화에 필요한 패션브랜드의 브랜드 전략을 체계화하고 활용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브랜드 전략의 세부 요소별 차별적 특성을 검토하고 이로부터 도출된 전략 유형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1단계는 전통적 패션브랜드와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적 차별점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진행하였다. 2단계는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브랜드 전략을 분석하고, 전략 유형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브랜드 전략 분석을 위해 분석 프레임을 설계한 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10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전략을 분석하였다. 3단계는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유형별 브랜드 전략의 단계적 가이드 라인을 체계화하기 위해 유형별 브랜드 전략을 단계별 활동 내용으로 정리하고, 단계별 고려 요소를 분석하였다. 가이드 라인의 대한 전문가 평가수행 및 가이드 라인을 보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 전략의 차별적 특징이 분석되었다. 플랫폼 산업의 영향으로 나타난 전략의 변화는 고객가치의 재정의와 독자적인 운영방식의 추구였다. 브랜드 전략의 세부 내용으로는 패션 구매의 편리성과 소비 니즈의 연결, 개인화 맞춤 서비스의 구축과 고부가가치 창출 그리고, 공유가치 기반 소비 니즈의 충족이었다. 이러한 전략에는 플랫폼 속성의 반영과 고객가치에 집중하는 전략적 태도가 반영되었다. 둘째,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유형화와 유형별 브랜드 전략이 분석되었다. 브랜드의 유형은 전통 개선형, 사회적 가치결합형, 개인 맞춤형, 커뮤니케이션형 등 4개로 각각의 유형을 소비자관점, 브랜드 관점, 비즈니스 관점으로 분석한 결과 유형별 특성이 나타났다. 전통 개선형은 전통 패션 소비에서 나타난 소비자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관점을 전환하여 운영방식의 편리성을 제안하였으며, 사회적 가치결합형은 사회적 공유가치를 패션의 감성과 결합한 독자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구축한 후 소비자와의 공감을 위한 상호작용의 관계를 지향하였다. 개인 맞춤형은 효과적인 운영방식을 통해 개인화된 패션 소비 니즈가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커뮤니케이션형은 목표 소비자와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설정한 후 독자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제안하고, 소비자와의 커뮤니티를 유지하는 내용이었다. 셋째, 브랜드 발전 단계별로 차별적 내용이 나타났다. 소비자 단계에서는 현황 진단과 부가가치에 대한 재정의가 있었으며, 브랜드 단계에서는 패션브랜드로서 업을 재정의하고 일관성을 유지하였으며, 마지막 비즈니스 단계에서는 독자적인 운영방식을 구축하였다.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 가이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브랜드 현황 파악 항목과 기준을 제공하는 단계로, 플랫폼 산업에서 나타난 패션브랜드의 속성인 혁신성, 전문성, 개인성,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브랜드에 맞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2단계는 전략 유형의 선택 기준과 방법으로 브랜드 속성에 기반하여 전략 유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전략 유형 선택 기준은 고객가치 영역과 운영방식의 차별적 내용으로 전통 개선형, 사회적 가치결합형, 개인 맞춤형, 커뮤니케이션형에 맞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3단계는 전략 요소와 방법으로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 요소인 전략적 환경분석, 비전과 미션, 포지셔닝,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적용되어야 할 세부 요소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략 요소가 작성된 후 4개 유형별 차별화된 고객가치 실행 방법과 운영방식 구축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4단계 프로세스에는 단계별 기준 제시와 기준에 맞춘 옵션을 선택하고 이에 따른 핵심 내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5단계는 전략의 효과성 검증 방법으로 고객가치와 운영방식을 대상으로 검증 항목을 만들었으며, 세부 항목과 내용을 통해 검증할 수 있도록 하였다. 6단계는 전략 효과에 따른 전략 유형 수정 방법으로 수정 방법 기준은 브랜드 전략의 일관성,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성, 그리고, 운영방식의 편리성의 기준으로 전략 유형을 수정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전략 가이드에 대한 전문가 평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관점 경우 세분된 전략 가이드 내용은 패션 소비 니즈 발견과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내용이 반영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브랜드 관점 경우 신진 또는 스몰 브랜드에 필요한 가이드로 평가하였다. 마지막 비즈니스 관점은 세분된 전략 제안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과 실무적으로 업무 효과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하였다. 신뢰성 검증을 위한 동료 그룹 평가에서는 가이드의 효과성과 활용성 관점으로 진행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긍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다만, 전략 가이드의 성과를 위해 진정성을 갖출 수 있는 내용과 유형별 사례 제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전통적 패션브랜드의 전략과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적 차이점의 비교를 통해 패션브랜드의 고유의 전략을 수행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안했다. 전략적 차이점은 플랫폼 속성이 반영된 패션브랜드 유형을 4개로 분류한 후 유형에 맞는 전략 내용의 도출이었다.
      둘째,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 가이드를 체계화하여 제안하였다. 6단계로 구성된 전략 가이드는 단계별로 사용자 관점으로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자가 체크 항목과 자가 질문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전략 가이드에는 전략을 검증하고 수정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환경변화에 맞게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전략 가이드는 실무적으로는 신진 또는 스몰 브랜드에게 필요한 전략적 내용이 포함될 수 있도록 작성하였다.
      셋째, 플랫폼 산업환경의 영향으로 나타난 패션브랜드의 전략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였다. 패션산업은 타 산업과 비교하여 고유한 특성이 있으므로, 플랫폼 산업의 영향으로 나타난 패션브랜드의 전략은 패션과 플랫폼의 속성이 반영된 관점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전략 연구는 산업의 라이프사이클 문제와 전략을 연구할 수 있는 기준과 내용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는 패션 플랫폼에 진출하고자 하는 패션브랜드를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학문적으로는 플랫폼 산업환경에서 나타난 패션브랜드의 전략적 분석 내용이 후속 연구를 통해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Marshall Van Alstyne, author of Platform Revolution, compressed the recent
      changing economic and business trends with the expression "Platforms always
      beat products." The fashion industry has also faced changes in many area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In the case of traditional fashion
      distribution, due to the growth of large platform companies, they went bankrupt or
      filed for merger with a decrease in sales. In addition, large and small fashion
      brands that relied on traditional distribution networks suffered from falling sales,
      leading to a situation where businesses were reduced or sold to survive. However,
      before and after 2010,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fashion brands
      appeared among large centralized platform companies. Warby Parker, a glasses
      brand founded in Pennsylvania in 2010, posted $270 million in sales in the first
      half of 2021, up 58% from the same period through improved purchase methods
      and reasonable price proposals, while Stichfix, founded in San Francisco in 2011,
      posted $490 million in sales in the first quarter of 2021. These small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have made meaningful achievements with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s, even though capital and organizations
      such as large companies were relatively weak.
      Various studies have also been conducted on the impact of the fashion industry
      and fashion brand on the growth of the platform industry. However, research on
      the brand strategy of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overcoming the high market
      barriers of platform giants and traditional fashion brand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ince the fashion
      industry has developed with an industrial background different from other
      industries, an analysis of the strategic changes in fashion brands caused by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is required. Second, since the analysis of fashion
      brands grown in the platform environment has developed into a different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from other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strategy. Third, since the change in the
      fashion start-up environment has emerg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it is necessary to propose the strategic elements of the platform-based
      fashion brand as a systematic and step-by-step guide.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to find out the strategic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fashion brands and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by
      brand strategy element. Second, it designs frames for the analysis of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and organiz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brand strategy. Third, it analyzes the elements of step-by-step consideration of
      brand strategies for each type of platform-based fashion brand, prepares a brand
      strategy guide for each type, and organizes and finally presents the guidelines
      through expert evaluation.
      As a research method, in order to systematize the brand strategy of the fashion
      brand necessary for the change in the platform environment and present a guide
      for use, the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s of each detailed element of the brand
      strategy were reviewed and the types of strategies derived were considered. In the
      first stage of the study, a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to derive strategic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fashion brands and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The second step was to analyze the brand strategy of a platform-based fashion
      brand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strategy. After
      designing an analysis frame for brand strategy analysis, strategies were analyzed
      for 10 brands selected as research targets. In step 3, in order to systematize the
      step-by-step guidelines of brand strategies for each type of platform-based
      fashion brand, brand strategies for each type were organized into step-by-step
      activity contents and factors considered were analyzed. Expert evaluation of the
      guidelines and guidelines were supplem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s
      of platform-based fashion brand strategies were analyzed. The change in strategy
      that emerg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was the redefinition of
      customer value and the pursuit of independent operating methods. Details of the
      brand strategy were the convenience of fashion purchase and the connection of
      consumption needs,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ized services and the creation of
      high value-added, and the satisfaction of shared value-based consumption needs.
      This strategy reflected the platform attributes and the strategic attitude of
      focusing on customer value. Second,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type. There are four types of brands: traditional
      improvement type, social value combination type, personalization type, and
      communication type,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type from a consumer
      perspective, a brand perspective, and a business perspective, characteristics by
      type were found. The traditional improvement type proposed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by changing perspective to solve consumer inconvenience in traditional
      fashion consumption, and the social value combination type aims to establish its
      own products and services that combine social value with fashion sensibility.
      Personalization made personalized fashion consumption convenient through an
      effective operation method, and the communication type was to set values that
      could be shared with target consumers, suggest them with their own products and
      services, and maintain a community with consumers. Third, discriminatory content
      appeared for each stage of brand development. At the consumer level, there was a
      status diagnosis and redefinition of added value, and at the brand level, the
      industry was redefined and consistent as a fashion brand, and at the last business
      stage, an independent operation method was established.
      The contents of the platform-based fashion brand strategy guide are as follows.
      The first step is to provide items and criteria fo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brand, and it is proposed that i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brand based
      on innovation, expertise, individuality, and interaction, which are the attributes of
      the fashion brand in the platform industry. Step 2 guided the selection criteria and
      methods of the strategy type so that the strategy type can be selected based on
      brand attributes of the br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strategy type are
      differentiated contents of the customer value area and operation method, so that i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improvement type, social value
      combination type, personalization type, and communication type. Step 3 presented
      detailed elements and methods to be applied to strategic environmental analysis,
      vision and mission, positioning, communication, and service, which are strategic
      elements of platform-based fashion brands as strategic elements and methods.
      After the strategic elements were prepared, the contents of the differentiated
      customer value execution method and operation method construction for each of
      the four types were presented. In the four-step process, the presentation of the
      criteria by step and the selection of options tailored to the criteria were guided to
      carry out the core contents accordingly. In step 5, verification items were created
      for customer value and operation method as a method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y, and verification could be performed through detailed
      items and contents. Step 6 proposes to modify the strategy type according to the
      strategy effect, and the method criteria to modify the strategy type to the criteria
      of brand strategy consistency, consumer interaction, and convenience of operation.
      Expert assessments of the strategy guide are as follows. First, from a consumer
      perspective, the detailed strategic guide content was evaluated as reflecting the
      discovery of fashion consumption needs and the content that can meet them. From
      a brand perspective, it was evaluated as a guide necessary for emerging or small
      brands. The last business perspective was evaluated that value-added creation
      through detailed strategic proposals and practical work effectiveness would be
      high. In the peer group evaluation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it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ffectiveness and usability of the guide, and the evaluation
      results were mainly positive. However, for the performance of the strategy guide,
      the necessity of presenting authentic content and cases by type was suggested.
      This study has three meanings. First, a theoretical framework was proposed to
      carry out the unique strategy of a fashion brand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strategies of a traditional fashion brand and the strategic differences of a
      platform-based fashion brand. The strategic difference was the derivation of
      strategic contents suitable for the type after classifying the fashion brand types
      reflecting the platform attributes into four.
      Second, a strategic guide for a platform-based fashion brand was systematized
      and proposed. The strategy guide consisting of six stages is configured to ask
      self-check items and self-questions to make it convenient to use from a user's
      perspective. The strategy guide includes methods for verifying and modifying
      strategies so that they can be used flexibly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In particular, the strategic guide was prepared to include strategic content
      necessary for emerging or small brands in practice.
      Third, the strategy of fashion brands that emerg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ial environment was academically systematized. Since the fashion
      industry has uniqu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 strategy of
      the fashion brand, which appear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required a perspective that reflected the attributes of fashion and platform. Such
      strategic research can be the criteria and content for studying industry lifecycle
      problems and strategies.
      Finally, this study hopes to be a practical guide for fashion brands that want to
      enter the fashion platform in practice, and academically, it is hoped that the
      strategic analysis of fashion brands in the platform industry environment can be
      developed through follow-up research.changes. In practice, the strategy guide
      guided young or small brands to be necessary strategic content.
      Third, the strategy of fashion brands that emerg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environment was academically systematized. Since the fashion
      industry has uniqu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 fashion
      brand's strategy, which appear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industry,
      was required to view the attributes of fashion and platform. Such strategic
      research can be the criteria and content for studying industry lifecycle problems
      and strategies.
      Finally, this study hopes to be a practical guide for fashion brands that want to
      enter the fashion platform in practice, and academically, it is hoped that the
      strategic analysis of fashion brands in the platform industry environment can be
      developed through follow-up research.

      더보기
      • 그림 차례
      • ․․․․․․․․․․․․․․․․․․․․․․․․․․․․․․․
      • iii
      • 표 차례
      • ․․․․․․․․․․․․․․․․․․․․․․․․․․․․․․․․
      • iv
      • 약기호표
      • ․․․․․․․․․․․․․․․․․․․․․․․․․․․․․․․
      • v
      • 국문 요약
      • ․․․․․․․․․․․․․․․․․․․․․․․․․․․․․․․
      • vi
      • 제1장 서론
      • ․․․․․․․․․․․․․․․․․․․․․․․․․․․․․․․
      • 1
      • 제2장 이론적 고찰
      • ․․․․․․․․․․․․․․․․․․․․․․․․․․․
      • 6
      • 2.1. 브랜드 전략과 브랜드 전략 요소
      • ․․․․․․․․․․․․․․․․․
      • 6
      • 2.1.1. 브랜드 전략
      • ․․․․․․․․․․․․․․․․․․․․․․․․․
      • 6
      • 2.1.2. 브랜드 전략의 요소
      • ․․․․․․․․․․․․․․․․․․․․․․
      • 9
      • 2.2. 플랫폼 산업과 패션
      • ․․․․․․․․․․․․․․․․․․․․․․․
      • 13
      • 2.2.1. 플랫폼 산업
      • ․․․․․․․․․․․․․․․․․․․․․․․․․
      • 13
      • 2.2.2. 플랫폼산업과 패션산업
      • ․․․․․․․․․․․․․․․․․․․․․
      • 18
      • 2.3.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전략과 유형
      • ․․․․․․․․․․․․․
      • 21
      • 2.3.1. 패션브랜드 전략
      • ․․․․․․․․․․․․․․․․․․․․․․․
      • 21
      • 2.3.2. 패션브랜드 전략 요소
      • ․․․․․․․․․․․․․․․․․․․․․․
      • 27
      • 2.3.3. 플랫폼 환경과 패션 브랜드 전략 요소별 특징
      • ․․․․․․․․
      • 32
      • 2.3.4.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유형
      • ․․․․․․․․․․․․․․․
      • 41
      • 제3장 연구 방법
      • ․․․․․․․․․․․․․․․․․․․․․․․․․․․
      • 46
      • 3.1. 브랜드 전략 분석 프레임과 분석 방법
      • ․․․․․․․․․․․․․․․
      • 46
      • 3.1.1. 브랜드 전략 분석 프레임 설계
      • ․․․․․․․․․․․․․․․․
      • 46
      • 3.1.2. 대상 브랜드 선정 기준 및 분석 방법
      • ․․․․․․․․․․․․․․
      • 48
      • 3.2.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유형화 분류 방법
      • ․․․․․․․․․․․․
      • 49
      • 3.3.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브랜드 전략 활용 가이드 라인 평가
      • ․․․․
      • 50
      • 3.3.1. 평가자 선정기준
      • ․․․․․․․․․․․․․․․․․․․․․․
      • 50
      • 3.3.2. 평가내용 검증
      • ․․․․․․․․․․․․․․․․․․․․․․․․
      • 51
      • 제4장 연구 결과
      • ․․․․․․․․․․․․․․․․․․․․․․․․․․․
      • 53
      • 4.1.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브랜드 전략의 차별적 특징
      • ․․․․
      • 53
      • 4.2.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유형화와 유형별 특성 분석
      • ․․․․․․․․
      • 93
      • 4.3.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단계별 특성
      • ․․․․․․․․․․․․
      • 108
      • 제5장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의 브랜드 전략 가이드
      • ․․․․․․․․․․․
      • 116
      • 5.1. 패션브랜드 전략 가이드 체계화
      • ․․․․․․․․․․․․․․․․․
      • 116
      • 5.2. 전문가 평가 및 피드백
      • ․․․․․․․․․․․․․․․․․․․․․․
      • 126
      • 5.3. 플랫폼 기반 패션브랜드를 위한 브랜드 전략 가이드 제안
      • ․․․․
      • 131
      • 제6장 결론
      • ․․․․․․․․․․․․․․․․․․․․․․․․․․․․․․
      • 138
      • 참고 문헌
      • ․․․․․․․․․․․․․․․․․․․․․․․․․․․․․․․
      • 141
      • 부록
      • ․․․․․․․․․․․․․․․․․․․․․․․․․․․․․․․․․
      • 149
      • 영문 요약
      • ․․․․․․․․․․․․․․․․․․․․․․․․․․․․․․․
      • 156
      더보기
      • 1 백욱인, "정보자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2 심용운, "스마트생태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 3 서성무, 홍병숙, 진병호, "패션비즈니스", 서울: 형설출판사, 2020
      • 4 Micheal E. Porter, Mark R. Kramer, "Creating Shared Value", 323-346, 2019
      • 5 노상규, "오가닉 비즈니스", 서울: 오가닉미디어랩, 2020
      • 6 이호정, 이호정, 김문영, "패션산업과 정보", 서울: 교학사, 2008
      • 7 임양택, 임채숙, "브랜드 경영 이론", 서울: 국제북스, 2007
      • 8 Gezinus J. Hidding, Jeff Williams, John J. Sviokla, "How platform leaders win", 32(2), 29-37, 2011
      • 9 최진봉, "기업의 사회적 책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10 김문기, "디자인 기획과 전략",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11 조선비즈, "우리 옷 사지 마세요", 블프' 대목에 문 닫고 가격 올린 회사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1/27/2020112701936.html(검 색일 2021년 11월 20일), 2020
      • 12 노규성,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13 최원주,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14 강석원, 구자원, "LG프라다폰의 성공사례", Korean Business Review, 16(3), 1-29, 2012
      • 15 김영찬, "고객가치와 시장세분화", 경영학연구, 33(6), 1,757-1,779, 2004
      • 16 유지선, 이호정, "패션비즈니스 시스템론", 서울: 교학연구사, 2008
      • 17 David R. Bell, Santiago Gallino, Antonio Moreno, "How to Winin an Omnichannel World", 56(1), 44-53, 2014
      • 18 백욱인, "디지털 데이터 정보 지식",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19 Marc Rysman, "The Economics of Two-Sided Markets", 23(3), 125-143, 2009
      • 20 Uché Okonkwo, "The luxury brand strategy challenge", 16, 287-289, 2009
      • 21 박종경, 임성준, 양옥빈, "샤오미(Xiaomi): 좁쌀의 반란", Korean Business Review, 19(3), 83-118, 2015
      • 22 라준영, "사회적 기업의 비즈니스모델", 기업가정신 벤처연구, 13(4), 129-161, 2010
      • 23 김유나, "브랜드 유니버스 플랫폼 전략", 서울: 학지사, 2021
      • 24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스티치픽스 CEO", 개인의 스타일을 대중에게 파는 법, 2018
      • 25 이정재, 이진희, "패션디자인 플랫폼 활용 전략", 글로벌경영학회지, 17(6), 97-111, 2020
      • 26 김병규, "노 브랜드 시대의 브랜드 전략", 서울: 미래의 창, 2020
      • 27 김주호, "브랜딩, 창조적 브랜드 전략론", 서울: 두남, 2008
      • 28 이정현, "사회적 가치 실현 방안의 모색", 인사조직연구, 28(1), 11-57, 2020
      • 29 이코노미, "조선 똑같은 제품은 매력 없어", 개별화로 승부하는 제조업계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2/20/2017122001587.html(검 색일 2021년 11월 10일), 2017
      • 30 유수진, "뉴 패션 플랫폼 –기술과 연결-", 패션정보와 기술, 12(0), 80-88, 2015
      • 31 양경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마케팅", 서울: 비전코리아, 2021
      • 32 김재생, "빅데이터 분석 기술과 활용사례", 한국콘텐츠학회지, 12(1), 14-20, 2014
      • 33 인사이트, "코리아 왕종미 플리츠마마 대표", 버리는 페트병에 패션을 입히다 http://www.insigh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624(검색일 2021년11월 20일), 2021
      • 34 고은주, 이미영, 이미아, "“패션브랜드와 커뮤니케이션”", 파주: 교문사, 2012
      • 35 김소라, "현대 패션에 나타난 컨셔스 패션", 조형디자인연구, 23(1), 11-32, 2020
      • 36 Annabelle Gawer, Michael A. Cusumano, "Industry Platforms and Ecosystems Innovation", 31(4), 417-433, 2013
      • 37 Y. Datta, "Market segmentation: an integration framework", 29(6), 797-811, 1996
      • 38 예민희, 임은혁, "패션 디자이너의 페르소나 마케팅", 한국의류학회지, 39(3), 446-456, 2015
      • 39 심용운,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 바라 본 IoT", Telecommunications Review, 25(1), 40-51, 2015
      • 40 Sharon J. Hepburn, "In Patagonia (Clothing): A Complicated Greenness", 17(5), 623-645, 2015
      • 41 김장현, 이유림, "Z세대의 패션 명품 소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학회논문지, 22(12), 124-134, 2021
      • 42 김종선, 하지수, "패션을 통해 발현되는 페르소나 분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7(1), 55-70, 2017
      • 43 김병규, "플랫폼 제국의 탄생과 브랜드의 미래", 서울: 미래의 창, 2021
      • 44 김도훈, "플랫폼서비스 생태계의 개념적 유형화", 한국IT서비스학회지, 15(1), 299-319, 2016
      • 45 Michael L. Katz, Carl Shapiro, "Network Externalities, Competition, and Compatibility", 75(3), 424-440, 1985
      • 46 고민수, 유지상, 송혁,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패션 분석 기술", 한국방송미디어 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51-552, 2020
      • 47 오희선, "의류제품 공유 플랫폼의 접근성과 사용성", 한국일러스트아트학회, 15(1), 141-151, 2022
      • 48 위미경, 최현숙, "패션산업에 나타난 컨버전스에 관한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2), 369-387, 2013
      • 49 Uggla, Henrik & Fillipsson Daniel, "Business and Brand Strategy: A Framework for Integration", 6(2), 27-42, 2009
      • 50 Violeta Radulescu & Luliana Cetina, "Customer Analysis, Defining Component of Marketing Audit", 62, 308-312, 2012
      • 51 이상은, "브랜딩을 위한 참여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조형미디어학, 20(2), 129-137, 2017
      • 52 정영훈, "구독경제에서의 소비자문제 개선방안 연구",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 서, 19(17), 1-105, 2019
      • 53 김성은, "현대 패션 시스템과 패션 트렌드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8
      • 54 박문수,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과 관광산업 구조변화", 한국관광정책, 82, 16-21, 2020
      • 55 강석정, "브랜드자산 강화요인의 영향성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5, 145-170, 2000
      • 56 김병규, "플라스틱은 어떻게 브랜드의 무기가 되는가", 서울: 미래의 창, 2021
      • 57 윤을요, "국내 패션업계의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고찰",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50(0), 191-200, 2017
      • 58 박용태, 서용윤, "모바일 플랫폼과 모바일 제품-서비스 시스템", 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468-475, 2018
      • 59 권기림, "버버리의 추구가치에 따른 패션 이미지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1
      • 60 고민수, 조충상, 유지상, 송혁, "인공지능 기능을 활용한 패션 산업 활용방안", 2020년도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1026-1027, 2020
      • 61 오정석, 장경영, "주식회사 카카오의 플랫폼 전략에 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8(4), 49-56, 2013
      • 62 Nina Tura, Antero Kutvonen, Paavo Ritala, "Platform design framework: conceptualisation and application", 30(8), 881-894, 2018
      • 63 이승영, "국내 롱런 브랜드의 일관성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4), 411-423, 2010
      • 64 김은미, 정인식, "글로벌 시장의 브랜드 전략에 대한 실증 연구", 국제경영리뷰, 15(1), 99-123, 2011
      • 65 설진아 , 최은경, "GAFA의 플랫폼 전략과 네트워크 효과 유형 분석", 방송통신연 구 2018년봄호, 102, 104-140, 2018
      • 66 여준상, "e 소비자행동 이해하면 e 브랜드 성공이 보인다", LG 주간경제, 2000
      • 67 정현, "뉴노멀 시대의 국내 패션산업 메가트렌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9(4), 391-404, 2018
      • 68 윤소정, "패션 스타트업 브랜드의 창업특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7
      • 69 김미숙, 최주영, 임성민, "패션사이클 가속화에 따른 의류소비 행태 연구", 한국의 류학회지, 32(7), 1137-1148, 2008
      • 70 신현주, 이규혜, "뉴 미디어 시대 패션소비자의 정보 탐색과 공유", 복식문화연구, 26(2), 251-263, 2018
      • 71 권지현, "패션 공유 플랫폼의 성공 요인과 국내 성장 방안",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지, 18(3), 153-173, 2018
      • 72 송영호, "디지털 패션 공정기술의 효과성에 대한 사례연구", 부경대학교 기술경영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73 강지현, 이상호, "스키용품 브랜드 선택속성에 따른 포지셔닝 전략", 한국체육학회 지, 24(3), 993-1007, 2015
      • 74 변재웅, "SPA 브랜드 자라(ZARA)의 국제마케팅 성공 전략 연구", 경영경제, 46(1), 229-248, 2013
      • 75 이민혜, 주문일, 정동명, 정기수, "스마트 의류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2016년도 대한전자공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 1054-1057, 2016
      • 76 박병진, 유승권, "파타고니아, 비즈니스 가치사슬과 CSR 의 결합사례", 기업경영연 구, 24(4), 31-57, 2017
      • 77 오희선, 이호정, "패션 렌탈서비스 속성과 소비자 경험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 연구, 21(1), 471-482, 2020
      • 78 구동모, "할인점 고객 단골의도에 관한 근본적인 이유 탐색", 한국산업경영학회, 21(1), 283-316, 2006
      • 79 김형택, 이승준, "D2C시대, 디지털 네이티브브랜드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e비 즈북스, 2020
      • 80 고은주, 윤선영, 권준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객세분화 및 e-CRM 전략제안", 한국의류학회지, 29(6), 847-858, 2005
      • 81 장은영, "성공적인 패션비즈니스를 위한 패션유통과 마케팅", 서울: 교학사, 2018
      • 82 김형숙, 이현동, 이종혁, "인공지능 기반 개인 맞춤형 의류 추천 서비스 개발", 스 마트미디어저널, 10(1), 116-123, 2021
      • 83 우승걸, 정재윤, "지속가능한 디자인요소를 적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한국디자인 문화학회지, 21(3), 433-444, 2015
      • 84 박혜신, "패션 명품의 브랜드 차별화 전략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 회지, 16(2), 252-262, 2010
      • 85 김계수, 정성택, "비전플랫폼경영, 고객만족, 고객성과간의 인과관계", 고객만족경 영연구, 16(4), 109-122, 2014
      • 86 박옥미, 이운영, "해외 글로벌 패션기업의 디지털전환 전략 동향 분석", 한국디자 인문학학회지, 25(4), 223-239, 2019
      • 87 문인호, "브랜드 팬덤 연구-애플 브랜드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커뮤 니케이션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88 엄경희, 최유미,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유형별 콜라보레이션 사례연구", 디지털디 자인학연구, 12(1), 133-144, 2012
      • 89 구유리, 장동련, 김재범, "감성경험을 통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한국디자인학회, 22(3), 309-319, 2009
      • 90 안정희, 이수진,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 행동 유형에 따른 시장 세분 화", 65(7), 101-117, 2015
      • 91 김수정, 최우희, "커스터마이징 디자인에 나타난 가치소비 트렌드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62(0), 198-213, 2008
      • 92 박소현, "패션 브랜드 에버레인의 스토리스케이핑 차별화 연구",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19(4), 153-166, 2019
      • 93 여미현, 이길형, "브랜드경영 시대의 브랜드 리인벤팅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 자인학회, 22(5), 309-324, 2009
      • 94 김지은, 이진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 패션산업의 동 향", 한국의류 학회지, 42(1), 148-158, 2018
      • 95 김경희, "온라인 쇼핑몰 브랜드 개성에 따른 포지셔닝전략 수립",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8), 334-347, 2013
      • 96 서종희, 정영훈, 이금노, "온라인플랫폼 기반 소비자거래에서의 소비자문제 연구", 한국소비자원, 16(3), 1-298, 2016
      • 97 김성은, 하지수, "현대 패션 트렌드 시스템의 변화 양상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 의류학회지, 42(4), 708-725, 2018
      • 98 Christopher M. Moore, Grete Birtwistle, "The Burberry business model: creating an international luxury fashion brand", 32(8), 412-422, 2004
      • 99 강현철, 한효녕, 이은서, 손지연, 배희철, 박준희, 김현, "개인맞춤생산을 위한 loT 기반 개방형 제조서비스 플랫폼", 정보와 통신, 33(1), 42-47, 2015
      • 100 송균석,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가 브랜드 친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24(2), 123-149, 2006
      • 101 한은경, 홍수경,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와 영향요인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 광고홍보학회, 5(2), 69-115, 2003
      • 102 이코노미, "조선 패션계 넷플릭스 렌트 더 런웨이 성장비결 https://biz", 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4/05/2019040502158.html (검색일 2021년11월20일), 2019
      • 103 권혁인, 박종석, 나윤빈, "플랫폼 기반 서비스 생태계 구축을 위한 주요 속성 연 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2(4), 461-472, 2013
      • 104 이현정, 장용식, "ICT 융합 의료서비스 플랫폼에서의 가치 창출에 관한 연구", 2016년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0-31, 2016
      • 105 김상훈, 이은영, 박현정, "“소비자의 브랜드 진정성 지각과 관 련된 브랜드 속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398-410, 2014
      • 106 정재우, "국내 디자이너 패션산업의 제조 및 유통에 따른 특성 연구", 한국패션디 자인학회지, 16(2), 87-98, 2016
      • 107 전범수, 최믿음, "웹툰 이용동기 및 구성 요소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방 송문화연구, 26(2), 93-120, 2014
      • 108 손미영, 최미영, "패션정보기획의 체계화를 위한 국내 패션정보산업의 고찰", 한국 의류산업학회지, 10(6), 926-935, 2008
      • 109 권혁인, 박종석, 나윤빈,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생태계 구축을 위한 주요 속성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2(4), 461-472, 2013
      • 110 김태연, 조아라, 이윤정, "남성 편집매장 소비자의 의복구매동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8(5), 743-754, 2014
      • 111 신동태, "의류패션산업의 위탁기업과 수탁기업 간 협력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112 허진영, "큐비즘의 조형 요소를 응용한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디자인", 기초조형학 연구, 22(6), 531-542, 2021
      • 113 노규성, 장정훈, 이광형, "플랫폼비즈니스 성공요소의 경쟁력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4(3), 243-250, 2016
      • 114 Bernard M. Bass, "From transactional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to share the vision", 18(3), 19-31, 1990
      • 115 왕지현, "감성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 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116 고은주, 조오순, "인터넷 패션산업의 환경분석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 마 케팅과학연구, 9, 203-219, 2002
      • 117 김선영, "브랜드 헤리티지와 융합된 몽클레르 패션커뮤니케이션 연구", 한국과학 예술포럼, 29, 35-71, 2017
      • 118 이동대, "브랜드 경영 효율성이 기업 수익성과 주주가치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 연구, 39(5), 1253-1275, 2010
      • 119 이동영, "브랜드 경영 효율성이 기업 수익성과 주주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 영학회, 39(5), 1253-1275, 2010
      • 120 김내은, 김미숙, "패션 소셜미디어 품질, 정보 이용행동, 구매의도 간 관계 연구", 산경연구논집, 9(11), 25-38, 2018
      • 121 우성미, 장동련, "“트랜스미디어 환경의 메타버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연구,”", 브랜 드디자인학연구, 19(2), 29-48, 2021
      • 122 김도훈, "양면시장형 산업생태계에서 플랫폼 경쟁에 관한 진화게임 모형", 한국경 영과학회 2010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39-69, 2010
      • 123 TF Kao & YC Tu, "Effect of green consumption values on behavior: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attitude", 8(8), 119-130, 2015
      • 124 김현주, 전성찬, 윤지영, "‘국내외 패션 플랫폼 비즈니스 성공 사례 및 성 장 요인 분석’", 기초조형학연구, 20(4), 455-474, 2019
      • 125 김찬숙, 나건, "금융기업의 브랜드자산 가치 구축을 위한 브랜드경영 모델 연구", 경영과학, 28(1), 61-74, 2012
      • 126 권수희, 안효선, 박민정, "인공지능에 의한 개인 맞춤 패션 스타일 추 천 서비스 사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43(3), 349-360, 2019
      • 127 이은옥, "한국과 이태리의 국가 및 지역 기반 섬유.패션 브랜드 전략 비교", 복식 문화연구, 16(1), 22-32, 2008
      • 128 박재환, 전혜진,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설계 도구-소셜벤처 사례를 중심으 로", 벤처창업연구, 14(1), 187-198, 2019
      • 129 이현학, "패션 플랫폼(fashion Platform) : 정부 및 지자체의 디자이너 지원정책", 패션정보와 기술, 12(0), 2-9, 2015
      • 130 김현진, 정연승, "“국내 온라인 쇼핑 유형 및 경쟁 분석: 네이버쇼핑을 중심으로”", 유통경영학회지, 22(1), 35-46, 2019
      • 131 빈창현, 전병준, "전자상거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플랫폼과 물류혁신: 아마존 사 례", 전자무역연구, 17(4), 1-22, 2019
      • 132 윤리적, 장남경, "패션디자인을 위한 상품개발 프로세스 공정무역 시스템 관점에 서", 복식, 63(1), 16-26, 2020
      • 133 박수일, 전상권, 신동필,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 적합한 다중 플랫폼 융합 콘텐 츠 육성 전략",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제16권 제2호, 197-202, 2009
      • 134 이코노미, "조선 AI가 취향껏 옷 골라줘… 4조4800억원 가치 美패션기업 https://biz", 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09/2017110901841.html(검 색일 2021년11월2일), 2017
      • 135 박영진, 이영재, "컨버전스와 디버전스 특성에 관한 연구 -패션마켓 사례를 중심 으로", 패션비즈니스, 22(5), 64-82, 2018
      • 136 윤리적, 장남경, "패션디자인을 위한 상품개발 프로세스 - 공정무역 시스템 관점 에서", 복식, 63(1), 16-26, 2013
      • 137 박준상, "사회적 임팩트 경영시대의 기업 디자이너의 관점 및 역할 전환(轉換)",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 138 김미현, 김세현, "인공지능(AI) 패션 스타일링 서비스 스티치 픽스의 융합 콘텐 츠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8(1), 13-24, 2020
      • 139 이코노미, "조선 디자인부터 제작까지 2주 英아소스의 이유있는 성공 http://economy", 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1&t_num=13373 (검색일2021년 11월 10일), 2018
      • 140 나성민, 이지연, 이윤아, "패션브랜드 인스타그램 사용자 특성에 따른 이용현황 및 소비자태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4), 201-217, 2015
      • 141 남중구, 허문구, "국내외 패스트패션 브랜드의 경쟁전략 분석-활동체계도를 중심 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22(3), 381-396, 2015
      • 142 황윤정, "샤오미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 연구-애플 브랜드와 비교를 중심으로-", 브랜드 디자인 연구, 17(2), 169-178, 2019
      • 143 박선민, 조하경,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기반 패션제품의 브랜드 가치요인 및 수 요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2(1), 157-168, 2014
      • 144 박도형, 홍지형, "네트워크 효과에 따른 모바일 컨텐츠 플랫폼의 경쟁 전략에 관 한 연구", e-비즈니스 연구, 14(5), 113-130, 2013
      • 145 강명애, "사회적기업의 가치 포지셔닝과 메시지 유형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33(8), 1363-1385, 2020
      • 146 김미현, "윤리적 패션으로서 국내 업사이클링 브랜드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56, 1-12, 2011
      • 147 김도연,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의한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148 배성주, 이성호, "조직 생태학 관점에서 본 플랫폼 이해관계자들의간의 상호작용 및 전략", 기술혁신학회지, 22(2), 220-241, 2019
      • 149 이도형,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통한 창업기업들의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6(1), 206-223, 2019
      • 150 이미영, 장남경, "국내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업종 네트워크의 성장을 위한 정책 과제 수립",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2(1), 1-18, 2022
      • 151 박해용, "기업의 사회적책임(CSR)과 소비자의 CSR인식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152 유영선, 음정선, "고부가가치 패션제품 개발을 위한 명품브랜드 테일러드 재킷 디자인분석", 복식, 66(5), 99-112, 2016
      • 153 유승은, 황진숙, "라이프스타일이 글로벌 SPA 브랜드 태도,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포럼, 32(0), 107-120, 2011
      • 154 이코노미, "조선 버려진 트럭 방수포에 생명을 줬더니 마니아층이 따라왔다 https://biz", chosun.com/distribution/fashion-beauty/2022/03/02/JFCKM2F4UFHMVP5ZRDW7MKL33U/(검색 일 2022년3월10일), 2022
      • 155 선준호, 이규혜, 윤지현, "패션쇼핑 과정에서 큐레이션 서비스의 역할 – 만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 복식, 71(5), 1-19, 2021
      • 156 서광규, 전한구, "한-미 FTA 체제하에서 로봇 청소기 시장의 환경 분석 및 경쟁 력 향상 전략", 디지털융복합연구, 10(10), 13-18, 2012
      • 157 고애란, 조윤정,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추구 혜택 특성", 소비자학연구, 12(3), 171-190, 2001
      • 158 김시월, 박혜령, 박배진,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품별 구매횟수 관계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2), 184-194, 2004
      • 159 김선숙, "패션 주기 이론 구성을 위한 팬츠 스타일 트렌드 분석-1967~2012년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7(6), 786-798, 2013
      • 160 송은영,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패션 플랫폼과 패션 스마트팩도리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3(6), 799-809, 2021
      • 161 곽유진, "패션 렌탈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태도 연구: 여성 패션렌탈서비스를 중 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162 송은영,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패션 플랫폼과 패션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인 식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3(6), 799-809, 2021
      • 163 박나리, 박재옥, "국내 패션 기업과 협력업체와의 관계에서 신뢰와 몰입의 선행 변인과 결과변인", 한국의류학회지, 36(1), 56-67, 2012
      • 164 나윤규, 오완근, "라이프스타일과 브랜드 유형에 따른 패션점포속성 및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0(3), 97-114, 2010
      • 165 배수정, 백정현, "지속가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디지털 패션 커뮤니케이 션의 확장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7(3), 243-253, 2021
      • 166 김송미, 박선양, 김하연, "패션브랜드가 비밀을 밝힐 때 –패션 브랜드의 CSR 정 보 투명성과 소비자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44(3), 385-399, 2020
      • 167 김덕용, "브랜드 전략의 관점에서 본 국내 대기업(그룹)의 CI 시스템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4), 43-55, 2007
      • 168 서지훈, 최진탁, 이윤주, "SNS 텍스트 콘텐츠를 활용한 오피니언마이닝 기반의 패션트랜드 마케팅 예측 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2(12), 163-170, 2014
      • 169 원지성, "지배확률과 생존확률이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 론적 연구", 상품학연구, 29(4), 19-32, 2011
      • 170 R. K. Srivastava, "Measuring brand strategy: can brand equity and brand score be a tool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strategy?", 17(6), 487-497, 2009
      • 171 김서영, 이진화, 김은혜, "패션 큐레이션의 서비스 품질이 사용자 만족, 신뢰, 지 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2(6), 762-776, 2020
      • 172 김민경, 유지헌, "패션 라이프스타일 숍의 체험마케팅 만족도가 구매 의도 및 충 성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27(2), 109-122, 2019
      • 173 Anil Bilgihan, Cheng Peng, Jay Kandampully, "Generation Y's dining information seeking and sharing behavior on social networking sites: An exploratory study", 26(3), 349-366, 2014
      • 174 김창완, 정남주, "패션 크라우드펀딩 성공에 미치는 영향 요인 : 사회적 가치와 제품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창업학회지, 15(3), 1-29, 2020
      • 175 이은석, "인터넷 사이트의 브랜드 커뮤니티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요인분석 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22(0), 93-108, 2009
      • 176 최설매, "쇼핑관광객의 감성적 소비성향과 명품 브랜드 추구혜택, 애착 및 애호 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177 김은영, 황진숙, "온라인에서의 양면적 쇼핑가치가 패션제품의 온라인 구전과 구 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학술논문발표집 2010권0호, 121-121, 2012
      • 178 최수형, 한상필,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특성과 자기결정성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13(1), 41-62, 2012
      • 179 양정아, 황선진,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의 정보특성이 관계품질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0권 0호, 130-130, 2010
      • 180 김주한, 최병삼, "플랫폼의 일반적 정의가 기업의 경제적․전략적 의 사결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25(3), 157-176, 2011
      • 181 차서영, 최원석, 최세정, "인지된 개인화와 종결 욕구가 소비자의 큐레이션 쇼핑 서비스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119, 89-122, 2008
      • 182 전재훈, 허예은, 하지수, "패션 필름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 –Chanel, Prada, Kenzo, Alexander Wang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0(2), 315-329, 2016
      • 183 신동희, "SNS 의존도가 SNS 특성에 따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익명성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융복합학회, 37(3), 225-241, 2019
      • 184 고은주, 김경훈, 권준희, "패션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라이프스타일 집단 간 비교", 마케팅과학연구, 16(3), 87-106, 2006
      • 185 지혜경, "패션브랜드의 표적시장 남녀 소비자 특성에 관한 연구 - 브랜드 컨셉과 타깃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9(1), 71-90, 2017
      • 186 김지형, "공유경제 도입에 따른 패션 공유 플랫폼의 사례 분석 - 제품-서비스 시 스템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8(4), 93-115, 2018
      • 187 김준환, 이항, "구독서비스에서 개인화 서비스 vs. 맞춤화 서비스가 고객만족 및 구 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9(1), 17-28, 2021
      • 188 Karolina Janiszewkwa, Andrea Insch, "The strategic importance of brand positioningin the place brand concept: elements, structure and application capabilities", 5(1), 9-19, 2012
      • 189 김길성, "디지털 마케팅 시대 시장세분화전략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패션의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22(4), 313-331, 2020
      • 190 김개천, 신혜정,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해외명품 패션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5(6), 295-309, 2014
      • 191 이용건, 주형철, "아웃도어웨어 브랜드의 4Cs전략과 브랜드태도, 브랜드신뢰 그리 고 미래행도의도 간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5(1), 43-57, 2020
      • 192 마진주, "패션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패션 인스톨레이션 -젠틀 몬스터 퀀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복식, 69(3), 33-46, 2019
      • 193 염미선, 이홍, "국내 디지털 패션 테크 플랫폼 UI/UX 디자인 개발 - 무신사 플 랫폼의 반응형 웹 디자인 제안 -", 2021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 집, 187-187, 2021
      • 194 양은경, 이지현, "패션 비즈니스 플랫폼의 지능화 특성 유형화와 전략적 방향 - 국내외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 55-72, 2020
      • 195 Steven J. Grennland, Lester Johnson, Shahla Seifi, "Tobaco manufacturer brand strategy following plain packagingin Australia: implications for social responsibility and policy", 12(2), 2016
      • 196 고은주, 장정현, "글로벌 소비자의 패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대한 종적연구 – 미국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패션비즈니스, 16(1), 26-40, 2012
      • 197 김문태, 이종호, "순수온라인 브랜드 자산 및 충성도 구축에 있어 콘텐츠 특성지 각을 통한 브랜드 경험의 영향", 경영학 연구, 34(5), 1585-1611, 2005
      • 198 배현진, 이혜린, 이상우, "온라인 쇼핑 플랫폼 및 간편결제서비스 선택 시 판매자 가 고려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5), 443-454, 2019
      • 199 이은경,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의 프로세스 혁신에 관한 연구 - Zara의 알 고리즘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3), 641-651, 2011
      • 200 이유경, "패션 구독 서비스 유형에 따른 국내외 기업 사례 연구 : ERIST 모형의 성공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
      • 201 강명수, "온라인 커뮤니티 형성과 유지에 관한 연구 -규범적 몰입과 감성적 몰입 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18(1), 67-87, 2005
      • 202 주보림, "해외 진출 한국 패션브랜드의 기업 마케팅 전략에 관한 조사-진출 유형 별 SWOT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3(1), 107-128, 2013
      • 203 이주영, "국내 패션시장의 변화에 따른 맞춤형 소비자 중심 디자인 경영전략: 중 저가 SPA브랜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204 정병규, 정성희, "차 산업혁명시대의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비교 연구 –야놀자, 배달의 민족, 카카오 T를 중심으로-", 물류학회지, 29(4), 71-72, 2019
      • 205 임재훈,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의 경험 디자인 경영에 관한 고찰 – 프라이탁 (Freitag) 브랜드를 중심으로 -",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60, 205-215, 2020
      • 206 서종호, "소비가치구조와 기업환경 변화에서의 플랫폼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디자인적 사고 플랫폼 전략", 디자인지식저널, 23, 201-212, 2012
      • 207 변상운, "유튜브의 속성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콘텐츠 몰입과 채 널지속사용의도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208 이병호, "수익 창출 측면에서의 유튜브 역사 분석-유튜브와 크리에이티브 영상미 디어 채널의 수익 증진 현황", 예술과 미디어, 15(3), 117-146, 2016
      • 209 조현주, 최선형,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매스티지명품 브랜드자산 평가와 마 케팅 전략 제안-패션잡화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32(0), 51-60, 2011
      • 210 주보림, "고부가가치 패션 산업으로의 한국적 컬렉션 연구 - 국내외 주요 컬렉션 현황 및 특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4), 520-531, 2009
      • 211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교 연구: 싸이월드, 페이스북, 트위 터 간의 이용동기와 만족 비교", 언론과학연구, 13(1), 5-32, 2013
      • 212 김하연, "패션제품 개인화 서비스가 소비자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커 스터마이제이션과 큐레이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213 김장현, 이지연, "한국 어패럴 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한 변수 요인의 통시적 연 결구조분석 -패션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2), 551-564, 2020
      • 214 강은미, 이신영, "‘패션 공유 플랫폼 확산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과 중 국의 패션 공유 플랫폼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5(1), 1-14, 2019
      • 215 박지연, 신종국, "브랜드 충성도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커뮤니티 내 커 뮤니케이션 차원들 간 관계구조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논총, 60, 165-190, 2010
      • 216 이진영, 이채은, "소셜플랫폼을 활용한 호텔 고객의 소비가치, 소셜커머스 특성, 호텔 신뢰, 고객충성도 간의 구조관계 분석", 외식경영연구 18(3), 47-66, 2015
      • 217 고은주, 윤선영, "고객관계관리관점의 패션머천다이징프로세스 비교분석 –남성 복, 여성복, 캐주얼, 스포츠의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5권, 104-104, 2005
      • 218 김서원, "기후 변화에 따른 통합 디자인 예측 프로그램 개발 전략 연구: 패션 산 업에 있어서의 기후 변화 대응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3
      • 219 김영삼, 정혜정, 오경화, 김지우,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자의 쇼핑성향, 이용 동기 및 선호 이미지 유형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지, 41(5), 796-808, 2017
      • 220 강죽형, 성윤영, "정보기술 발전에 따른 패션산업 프로세스 혁신과 경쟁력 강화 에 관한 연구-ZARA의 패스트 패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4(1), 1-13, 2010
      • 221 권승경, "브랜드 트랜스-액션 경험의 참여정도에 따른 소비자-브랜드 관계적 효 과: 브랜드 동일시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19(3), 3-14, 2016
      • 222 김라경, 안예지,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장애인 고용 플랫폼 개밸: 무인 비즈 니스 유지관리 기업 에스에스모빌리티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33(11), 1985-2011, 2020
      • 223 장지혜, 조규화,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戰略)에 관(關)한 사례(事例) 연구(硏究) -브릿지 라인 수입(輸入) 핸드백 브랜드를 중심(中心)으로", 패션비즈니 스, 9(5), 96-113, 2005
      • 224 박나리, "국내 패션기업과 협력업체와의 관계에서 신뢰와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관계 기간 및 기업 규모의 조절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1
      • 225 이희정, 차문경, "택적 소비절제(작은 사치) 경향이 명품공유서비스에 대한 효용 인식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명품브랜드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 소 비문화연구, 23(2), 243-263, 2020
      • 226 조소영, "패션 플랫폼(fashion Platform) : 글로벌 마켓 진출을 위한 플랫폼으로 서 협회의 역할 -(사)대한패션디자이너협회 주관사업을 중심으로-", 패션정보와 기술, 12(0), 10-19, 2015
      • 227 김미옥, 이진렬, "가치중심의 브랜드디자인개발을 위한 포괄적 정보가치맵작성프 로세스 제안 연구-자유연상법기법에 근거한 자료수집기법을 중심으로-", 기초조 형학연구, 12(6), 51-61, 2011
      • 228 유성신, 최용주, "브랜드 SNS에서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 치는 영 향: 브랜드 진정성과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123, 68-109, 2019
      • 229 박미현, "인터넷 쇼핑몰 서비스 품질이 인터넷 쇼핑몰 경험적 가치, 소비자-인터 넷 브랜드 관계, 인터넷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