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성이성의 현대적 스토리텔링 연구 = Contemporary Storytelling about Sung Yi-sung (成以性): Focusing on the Web Novel Tiger Mask-eosa(御史), Shake the Jose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8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3-208(36쪽)
제공처
이 연구는 봉화의 역사적 인물인 성이성을 스토리텔링의 소재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그동안 발표된 자료를 통하여 성이성의 문화콘텐츠로서의 특징과 그간의 경과를 정리하고 웹 소설 『호랑이 어사 조선을 뒤흔들다』에 나타난 성이성의 스트리텔링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문학, 역사, 지역의 측면에서 콘텐츠로서 성이성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연구의 최종 목표이다.
그간 성이성 콘텐츠는 관과 학계, 개인에 이르는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문학적, 역사적, 지역적 콘텐츠를 아우르며 생산되어 왔다. 그러나 지역 내에서 그 지역을 대변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인다. 또한 디지털 시대를 고려한 확장력의 차원에서 창조적 상상력에 기초한 엔터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웹 소설 『호랑이 어사 조선을 뒤흔들다』는 성이성 스토리텔링의 좋은 사례가 된다. 그의 암행에 대한 실제적 기록들을 바탕으로 성이성을 조선의 대표적인 암행어사로 형상화한 점, 고전소설 <춘향전>의 결말과 거리를 두며 신분의 차이가 있는 남녀의 사랑 이야기를 구현한 점, 성이성을 역사적으로 의미화하려는 작가 의식에 따라 기록의 공백을 역사적 상상력으로 채우고 있는 점에서 특히 그러하다. 이러한 사례는 성이성 콘텐츠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기대하게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ways in which the story of Sung Yi-sung, a historical figure from Bonghwa County, has been tol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ng Yi-sung as a cultural content, the available historical data were explored and compared with aspects of Sung Yi-sung’s storytelling in the web novel Tiger Mask-eosa(御史), Shake the Joseon. Finally, it aims to increase the value of Sung Yi-sung as literary content, historical content, and regional content. Sung Yi-sung content has been created by numerous authors in a variety of media, but common to all of them is that Sung Yi-sung content is not famous and not interesting. In particular, the web novel Tiger Mask-eosa((御史), Shake the Joseon was chosen as a good example of Sung Yi-sung storytelling because,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Amhaeng-eosa(暗行御史), Sung Yi-sung was shaped as the representative Amhaeng-eosa of Joseon. Unlike the ending of the classic novel Chunhyangjeon, the love story between a man and a woman with a difference in social status is embodied. In order to signify Sung Yi-sung, the blank space in the record is filled by the author’s historical imagination, leading us to expect a positive outlook for Sung Yi-sung content.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