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ㆍ지원 조직 및 예산운영의 개선방안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58(30쪽)
KCI 피인용횟수
5
제공처
2015년 경찰이 ‘피해자보호원년’을 선언하면서 기존 다소 소극적이었던 경찰의 피해자 보호·지원 사업이 더욱 확대·발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이 연구는 피해자 보호·지원을 위한 경찰정책이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또한 조직, 인사와 예산 문제와 같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실효적인 정책 대안이 무엇인가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조직운영과 관련하여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정책방향의 불명확성, 중앙부처와의 정책 중복, 피해자 전담조직의 체계성 미흡 등이 문제로 확인되었다. 예산운영과 관련해서는 범죄피해자보호기금 운용에 현장성과 긴급성 경시, 피해자 지원사업 예산의 중복배정, 예산배정의 비합리성, 경직성 경비의 과다상계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상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전략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장기적으로 경찰의 피해자 보호・지원 정책의 피해자 개념은 범죄적 피해자에서 인본중심의 피해자개념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둘째, 경찰의 독자적 피해자서비스 발굴을 통해 예산확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대표적인 예로 ‘위기개입 초기상담’이나 ‘강력범죄 피해영향평가제도’,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 등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셋째, 범죄피해자보호기금의 합리적 운용을 위해 관련 법규 개정과 기금운용심의위원회의 인적구성 개선, 범죄현실을 반영한 예산배정을 제안한다. 끝으로, 경찰의 피해자보호・지원 조직의 중장기 발전방안으로 경찰청, 지방경찰청, 경찰서 단위의 역할구분과 분산된 피해자 보호업무의 통합 조정이 필요하다.
더보기While the police declared 2015 “The First Year of Protection for Crime Victims Protection”, the police’s protection and support program for victim it is expected to be further develop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police policy of protecting and supporting victims of crime. It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police organization and budget management for crime victims, and effective policy alternatives for building infrastructure, such as the dir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police and budget policies. First, much problems were identified as ambiguity of policy direction of protection and support of crime victims, duplication of victim program policy to central government, lack of systemicity of organizations with regard to the organization's operations. With regard to budget management in the Crime Victims Protection Fund, including the issue of negligence of urgency and present sense, duplicate assignments of the victim support project budget, the budget allocation irrationality, excessive assign of uncontrollable expenditures were not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strategy to solve the further problem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oncept of victim in police victim support policies should be extended from criminal victims to humanistic victims. Second, it shall establish a funding strategy through the independent police victim services excavation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sider initial crisis intervention counseling, crime victim impact assessment, providing information system building. Third, we suggest to revise related laws and to improve human configure of Fund Management Committee, budget allocations reflect the real crime in the Crime Victims Protection Fund. Finally, as a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police protection of victims and support organizations require coordination of the National Police, Local Police, police units. And, there is a need for coordination of victim protection tasks distributed among individual department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7-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 KCI후보 |
2009-03-1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0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0.99 | 1.04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