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는 종래의 성범죄와는 달리 물리력과 유형력을 수반하지 않고 온라인상 SNS, 다크웹, 메신저 앱 등 디지털 기술 및 온라인을 매개로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착취를 하는 범죄이다.
    최근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가 확대되고 그 폐해와 심각성이 더해감에 따라 정부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아동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청소년성보호법)을 일부 개정하여 온라인 그루밍 행위를 신종 성범죄로 규정하여 처벌할 수 있게 하였으며,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경찰의 신분비공개수사 · 신분위장수사 특례제도를 도입하였다. 또한 대법원 양형위원회는 디지털 성범죄 양형기준을 설정하는 등 처벌을 강화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정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범죄수법의 진화 및 폐쇄적 해외 플랫폼 사용 등 신종 성범죄에 대응하는데 한계가 나타났고 이에 따른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사각지대가 없도록 효율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특성으로 인터넷 공간의 특성에 따른 확산, 위계적 · 폐쇄적 구조속에서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통제 · 지배 관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현황을 통하여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가 채팅 앱 등과 같은 온라인 매체를 통한 온라인 그루밍을 이용하여 발생한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유형은 (1) 아동 청소년 성착취물의 제작 및 배포 등, (2) 아동 청소년의 성을 사는 행위, 매매행위, 강요행위 등, (3) 아동 청소년 대상 온라인 그루밍 성착취 목적의 대화 등으로 분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수사와 처벌 및 양형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아동 청소년 대상 온라인 그루밍 성범죄와 처벌, 온라인 그루밍 처벌과 예비 · 음모, 잠입수사와 온라인 그루밍의 (불능)미수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디지털 성범죄 관련 양형기준 · 양형인자 적정성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제2장과 제3장의 분석을 바탕으로 제4장에서는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효율적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디지털 성범죄 대응 거버넌스 개선 및 수사인력 전문성 제고를 제안하였다. 디지털 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확대 개편하여 삭제지원, 심리지원, 경제적 지원, 법률지원을 하는 디지털 성범죄 관련 규제 대응기관을 여성가족부에 신설하여 경찰청 · 법무부 · 외부기관 등과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공조 네트워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관련 규정개선에서는 위장수사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신분비공개수사 사후승인제도 마련, 아동 청소년 성착취물 직접 제작 · 유포 법률 근거 마련, 역외 자료수집 집행관할권 허용을 제시하였다. 셋째, 온라인 그루밍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청소년성보호법 제15조의2 개정 고려, 온라인 그루밍에 대한 양형기준을 제시하였다. 넷째, 양형인자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은 아동 청소년 성범죄 관련 양형기준 적용 재설정 등을 비롯하여, 디지털 성범죄 양형 현안 관련 국민적 정당성 회복을 제시하였다. 기타,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삭제 차단 강화 방안, 디지털포렌식 등 첨단기술 개발을 통한 수사역량 제고방안,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국제협약 가입 및 공조수사 확대 방안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The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is a type of crime committed against children and youth with the digital technology and online as the media, such as, online SNS, Dark Web, Messenger App, and others without accompanying the physical force and tangible for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sex crime.
    Following the recent expansion of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and its ill-effect and seriousness getting to be more serious, the government partially amended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Against Sex Offenses」 as a measure against the foregoing and the acts of online grooming are defined as a new type of sex offense to punish such acts, and has introduced the special case system for investigation without disclosing identity and investigation with disguised identity of the policy for preventing the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in advance. In addition, The Sentencing Commission of the Supreme Court placed various efforts to strengthen the punishment, such as, sex offense sentencing guidelines, etc. However, notwithstanding such an effort of the government,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to respond to the new types of sex crime, such as, progress of method of offense following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se of closed overseas platform and so forth and the problems thereof have been pointed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egoing problems to propose an efficient responsive plan not to have any blind spot on the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For the foregoing purpose, Chapter 2 clarifies the concept of the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and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as, dissipation follow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pace, and relationship of control and controlled between offender and victim under the hierarchical and enclosed structure. In addition, through the status of the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it has formulated that the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occurs by using online grooming through the online media, such as, chatting App and others. The types of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are classified into (1)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sexually exploited materials of children and youth and others, (2) any act of buying the sex of children and youth, act of trade, act of coercion, and so forth, and (3) dialogue and others with the purpose of sexual exploitation against children and youth in online grooming.
    In Chapter 3, the issues involving the investigation and punishment of the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as well as the sentencing issues. In particular, it takes a look at the issues involving online grooming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and punishment, online grooming punishment, preliminary and conspiracy, undercover operation, and attempted (incapable of) online grooming.
    Furthermore,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gital sex offense-related sentencing guidelines and sentencing factors is reviewed and presented the issues.
    On the foundation of analysis under Chapter 2 and Chapter 3, Chapter 4 proposes an efficient corresponding plan of the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First, it proposes the improvement of the digital sex offense responding governance and enhancement of specialized investigative personnel. By expanding and revising the Digital Sexual Crime Victim Support Center, a regulatory corresponding agency related to the digital sex offense with the deletion support, psychological support, economic support, and legal support within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o present the needs for systematic and integrated collaborating network with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Ministry of Justice, and other external agencies. Second, under the improvement of provisions related to the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as for the improvement plan on the issue of undercover investigation, it presents the preparation of the post-approval system of the investigation without disclosing identity, drafting of laws 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hildren and youth sexually exploitative materials, and permission of collection of overseas data and jurisdictional right on enforcement. Third, as an improvement plan on the issue of online grooming, it is presented to consider the revision of Article 15-2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Against Sex Offenses, and the sentencing guidelines on online grooming. And fourth, the improvement scheme on the issues of sentencing factors presents the restoration of national justification related to the digital sex offense sentencing issues including re-establishment to apply the sentencing guidelines related to the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and so forth. In addition, it has presented the plan to delete and disconnect the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plan to enhance the investigative competency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forensic and other cutting edge technology, plan to join in the international treaty on digital sex offense against children and youth and expansion of collaborated investigation, and others.

    더보기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 연구의 범위 4
    • 2. 연구의 방법 5
    • 제2장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특성과 현황 6
    • 제1절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개념 6
    • 1. 아동 청소년의 정의 6
    • 2. 디지털 성범죄의 정의 9
    • 3.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개념 도출 11
    • 제2절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특성과 현황 14
    • 1.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특성 14
    • 가. 인터넷 공간의 특성에 따른 확산 14
    • 나.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계적·폐쇄적 구조 및 통제·지배 관계 14
    • 다. 지속적인 2차 피해 16
    • 2.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현황 18
    • 가.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유형별 현황 18
    • 나.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연도별 현황 19
    • 다.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연령별 현황 21
    • 3. 온라인 그루밍을 활용한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발생 22
    • 제3절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유형 26
    • 1. 개관 26
    • 2. 디지털 성범죄 유형 27
    • 가. 기존 디지털 성범죄 27
    • 나. 디지털 성범죄 새로운 구분법 30
    • 3.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유형 32
    • 가. 아동 청소년 성착취물의 제작 및 배포 등 32
    • 나. 아동 청소년의 성을 사는 행위, 매매행위, 강요행위 등 36
    • 다. 아동 청소년 대상 온라인 그루밍 성착취 목적의 대화 등 42
    • 제3장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수사와 처벌 및 양형상의 문제점 47
    • 제1절 아동·청소년 대상 온라인 그루밍 처벌의 실현과 문제점 47
    • 1. 온라인 그루밍 성범죄의 개념과 특징 47
    • 가. 온라인 그루밍 성범죄 개념 47
    • 나. 온라인 그루밍 특징 49
    • 다. 온라인 그루밍 성범죄 단계 50
    • 2. 아동 청소년 대상 온라인 그루밍 처벌의 실현 과제 52
    • 가. 과거 그루밍 성범죄 처벌의 어려움 52
    • 나. 아동청소년 대상 그루밍 처벌의 실현 과제 54
    • 다. 온라인 그루밍 범죄와 성범죄 예비·음모죄의 관계 61
    • 라. 잠입수사와 온라인 그루밍의 (불능)미수의 문제 64
    • 제2절 신분비공개수사 및 신분위장수사 법률규정의 문제점 66
    • 1. 디지털 성범죄 잠입수사제도의 도입 66
    • 2. 신분비공개수사와 신분위장수사의 허용요건 검토 69
    • 가. 함정수사, 위장수사 등 모호성 개념 분석 69
    • 나. 위장수사의 절차적 허용요건 72
    • 다. 통제 및 제한규정 77
    • 라. 수사기관 특별 면책 규정 80
    • 제3절 양형기준 형량범위와 양형인자 적정성 평가 81
    • 1. 디지털 성범죄에 관한 양형기준 설정 81
    • 2. 양형기준 적정성 검토 및 평가 83
    • 가. 청소년성보호법 제11조(아동 청소년성착취물의 제작·배포 등 범죄) 83
    • 나. 성폭력처벌법 제14조(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 범죄) 88
    • 다. 성폭력처벌법 제14조의2 (허위영상물 등의 반포 등 범죄) 91
    • 라. 촬영물 등을 이용한 협박·강요 범죄 93
    • 마. 통신매체이용음란 범죄 95
    • 3. 양형인자 적정성 검토 및 평가 97
    • 가. 아동 청소년 성착취물 범죄 양형인자 97
    • 나. 카메라등이용촬영 범죄 양형인자 99
    • 다. 허위영상물 등의 반포 등 범죄 양형인자 101
    • 라. 촬영물 등을 이용한 협박·강요 범죄 양형인자 102
    • 마. 통신매체이용음란 범죄 양형인자 103
    • 제4장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효율적 대응방안 106
    • 제1절 디지털 성범죄 대응 거버넌스 개선 및 수사인력 전문성 제고 106
    • 1. 디지털 성범죄 관련 대응기관 신설 106
    • 2. 아동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수사인력 증원 및 전문성 제고 110
    • 제2절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관련 규정개선 111
    • 1. 위장수사 111
    • 가. 긴급 신분비공개수사 사후승인제도 마련 111
    • 나. 아동 청소년 성착취물 직접 제작·유포 법률 근거 마련 112
    • 다. 역외 자료수집 집행관할권 허용 113
    • 2. 온라인 그루밍 114
    • 가. 온라인 그루밍 불능미수 처벌규정 흠결 개정 고려 114
    • 나. 온라인 그루밍에 대한 양형인자 마련 116
    • 3. 양형기준 118
    • 가. 아동 청소년 성범죄 관련 양형기준의 적용 재설정 118
    • 나. 디지털 성범죄 양형기준의 정착 및 양형의 적정성 확보 119
    • 다. 양형기준의 목적 구체화 121
    • 라. 디지털 성범죄 양형현안 관련 국민적 정당성 회복 122
    • 제3절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삭제·차단 강화 124
    • 1. 사법경찰관리의 디지털 성범죄 응급조치 근거 신설 124
    • 2. 방송통신위원회의 조치의무사업자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126
    • 3. 디지털 성범죄 대응 관련 종사자에 대한 트라우마 센터 운영 127
    • 제4절 디지털포렌식 등 첨단기술 개발을 통한 수사역량 제고 130
    • 1. 모바일 메신처 프로그램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개발 130
    • 2. SNS 크롤링을 이용한 디지털 성범죄 증거수집 시스템 개발 132
    • 3. 형사사법정보시스템(KICS) 연계 위장수사지원시스템 개발 133
    • 제5절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국제협약 가입 및 공조수사 확대 135
    • 1. 유럽평의회 사이버범죄방지협약 가입 135
    • 2. 인터폴과 디지털 성범죄 국제협력 및 공조수사 확대 138
    • 3. 해외 법집행기관, 글로벌 IT 기업 등과의 협력 확대 140
    • 제5장 결론 142
    더보기
    • 1 한수웅, "헌법학(제11)", 법문사, 2021
    • 2 대검찰청, "2020 검찰연감", 검찰연감, 2020, 2020
    • 3 경찰청, "2020 경찰백서", 경찰백서, 2020, 2020
    • 4 이상돈, "형법각론(3판)", 박영사, 2020
    • 5 김성돈, "형법각론(6판)",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0
    • 6 홍정선, "행정법 원론 상", 행정법 원론 상, 2009
    • 7 박광민, 정성근, "형법각론(전정3판)",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9
    • 8 심영희, "위험사회와 성폭력", 나남출판, 1988
    • 9 Figley , C. R., "Treating compassionfatigue", 2002
    • 10 박주석, "경찰정보의 법적 고찰", 한국학술정보, 2010
    • 11 대검찰청, "대검찰청 범죄분석 2019", 대검찰청 범죄분석 , 2020, 2020
    • 12 국회입법조사처, "2020 국정감사 이슈 분석,", 국정감사 이슈 분석, 2020, 2020
    • 13 이성기, 한국형, "위장수사 제도 발전방안", (위장수사 발전방안 세미나) 디지털 성범 죄 위장수사 제도발전을 위한 과제와 목표, 2021
    • 14 양진옥, "아동권리 이슈포커스-17호-", 굿네이버스, 2019
    • 15 신용우, "유럽 사이버범죄 방지 협약", 체결 현황과 우리나라의 입법 정책적 대응 방향, 국제관계 동향과 분석 제77호, 국회입법조사처, 2021
    • 16 신동운, "간추린 신형사소송법, 제13판", 법문사, 2021
    • 17 김성언, 성폭력의, "실태와 원인에 관한 연구(Ⅱ)",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998
    • 18 Schneider, "Versuchesstrafbarkeit von Cybergrooming ?", 2020
    • 19 양형위원회, "2019 연간보고서(2019.4.27.~2020.4.26.)", 연간보고서(2019.4.27.~2020.4.26.), 2020, 2019
    • 20 김한균, "사이버범죄방지조약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1
    • 21 Tim Henkel, "`` Darknet-die dunkle Seite des Internets ? ``", 2020
    • 22 양형위원회, "디지털 성범죄 양형기준안 설명자료", 디지털 성범죄 양형기준안 설명자료, 2020
    • 23 신양균, "비밀수사의 합법화, 동아법학, 제43호",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 24 윤지영, "20대 국회의 형사입법평가 및 향후 과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고 서, 2020
    • 25 D.S.O, "디지털 성폭력의 구분과 실태 종합분석", 디지털 성폭력 근절을 위한 정책 마련 토론회 발표문, 2017
    • 26 김성천, "청소년의 성보호, 중앙법학 제7권 제3호", 중앙법학회, 2005
    • 27 조희진, "성폭력사건의 법적 처리 현황과 개선방안", ‘성폭력에 관한 서울 심포지엄 99’, 1999
    • 28 윤해성, "사이버테러의 동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 고서, 2012
    • 29 금봉수, "사이버범죄 방지를 위한 국제사법 공조 방안",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30 손철우, "‘우리나라에 적합한 양형기준제’ 토론자료", 양형위원회 운영지원단, 2008
    • 31 Holt , T. J., "Exploring the intersections of technology , crime , and terror", 24, 2012
    • 32 이영준, "정완 금봉수, 사이버범죄방지조약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 고서, 2001
    • 33 조규희, "n번방의 모태 다크웹, ‘조주빈들’과 피해자들", 신동아, , 2020
    • 34 김태은, "비밀수사관제도의 도입방안인권과 정의, 제401호", 대한변호사협회, 2010
    • 35 여성가족부, "아동 청소년 대상 성범죄 발생 추세와 동향 분석", 아동 청소년 대상 성범죄 발생 추세와 동향 분석, 2021
    • 36 하태훈, "양형의 합리화 방안, 비교형사법연구, 제6권 제2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4
    • 37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 2020 성범죄 백서-신상정보 등록대상자를 중심으로-", 성범죄 백서-신상정보 등록대상자를 중심으로-, 2020, 2020
    • 38 Merriman , J., "Enhancing counselor supervision through compassion fatigue educ ation", 93, 2015
    • 39 박희영, "사이버범죄방지조약의 발표와 한국 형법의 대응법규", 법무부, 2004
    • 40 김성규, 채팅앱, "매개 청소년 성착취 현황과 정책적 대안, 여성과 인권", 한국여성인 권진흥회, 2019
    • 41 김수아, 장다혜, "온라인 성폭력 범죄의 변화에 따른 처벌 및 규제 방안", 한국형사정 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
    • 42 김동욱, "한국 경찰 최초 여자 경무관은 독립운동가 황현숙 선생", 한국일보, ,, 2019
    • 43 이수정, "온라인 기반 청소년 성착취 체계 분석과 법 제도적 대응방안", 한국여성진흥 원 연구보고서, 2019
    • 44 윤덕경, "디지털 성범죄 관련 법 제도 현황과 개선과제, KWDI Brief 제55호", 한국여 성정책연구원, 2020
    • 45 이주원, "[실무논문] 양형기준의 적용실태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률신문", , 2012
    • 46 김성돈, 이얼, "성적 자기결정권의 형법적 의의와 기능, 법학논총, 제34권 제2호", 단국 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 47 임승범, "알페스와 딥페이크 논란…디지털 성범죄가 늘어나고 있는 이유", 서울신문, , 2021
    • 48 박웅신, 이경렬, "다크넷 범죄현상과 형사법적 대응방안, 형사법의 신동향, 제58호", 대 검찰청, 2018
    • 49 윤정숙, "그루밍 성범죄의 특성 및 처벌, 젠더법학 제12권 제1호(통권 제22호)", 한국 젠더법학회, 2020
    • 50 윤나경, "'사진 유포하겠다' 헤어진 연인 협박한 전 아역배우 '집행유예', KBS NEW S",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12987>, 2021
    • 51 김명식, "성적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에 대한 재고찰, 성균관법학 제5권 제5호", 성 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 52 김영환, "성폭력대책 관련법률(안)과 현행 형사법체계와의 관계, 형사정책 제7호", 한 국형사정책학회, 1995
    • 53 김희정, 박광민, "디지털 성범죄의 개념 유형 실태 및 개선방안, 성균관법학, 제32권 제4호",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 54 도중진, "범죄수사에 있어서 잠입수사관제도의 도입여부, 중앙법학, 제15집 제3호", 중 앙법학회, 2013
    • 55 A. Salter, "Transforming Trauma : A Guide to Understanding and Treating Adult Survivors of Child Sexual Abuse", 1995
    • 56 김한균, "사이버성범죄 디지털 성범죄 실태와 형사정책, 이화젠더법학, 제9권 제3호", 젠더법학연구소, 2017
    • 57 김현아,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처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화젠더법학 제9권 제2호", 젠더법학연구소, 2017
    • 58 신동욱, "코로나19로 봉쇄령 확대되자 아동 성학대 라이브 스트리밍 증가, 국제신 문", , 2020
    • 59 안대용, "코로나로 범죄 확 줄었는데...'통신 매체 이용 음란죄'는 급증, 헤럴드 경제", , 2021
    • 60 김기범, 이지수, 이연주, 모바일, "메신저에서 디지털성착취물 시청행위 포렌식 방안, 경착학연구 제20권 제4호", 경찰대학, 2020
    • 61 라광현, 윤해성, "유럽평의회 사이버범죄방지협약 가입의 효과 및 문제점에 대한 실증 적 연구", 법무부, 2019
    • 62 박성민, "개정형법상 성적자기결정권의 의미와 보호의 실제, 성균관법학, 제25권 제3 호",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 63 강광우, "'n번방 개설자' 문형욱 징역 34년, '박사방 2인자' 강훈 징역 15년 확정, 중 앙일보", , 2021
    • 64 남기천, 이윤호, "다크웹상 범죄에 대한 함정수사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 회보 제64호", 한국공안행적학회, 2016
    • 65 여인권, 이경렬, "양형인자의 통계적 분석을 통한 양형의 합리적 제고, 미국헌법연구 제25권 제3호", 미국헌법학회, 2014
    • 66 송영지, "디지털 성범죄의 양형인자와 양형기준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강원법학, 제62권",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1
    • 67 김성은, 이승현, 김한균, "사이버범죄방지를 위한 국제공조방안 연구-유럽사이버범죄방 지협약을 중심으로", 대검찰청, 2009
    • 68 박채영, "경찰 검찰 법원의 ‘2차 가해’...장벽에 부딪힌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들, 경향 신문", , 2021
    • 69 최준혁, "청소년성보호법 개정을 통한 그루밍처벌에서의 쟁점, 비교형사법연구 제23 권 제2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1
    • 70 강희영, "디지털 성범죄 피해의 복합성과 정책 과제, 이화젠더법학, 제12권 제12호(통 권 제29호)",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0
    • 71 안경옥, "독일 온라인 그루밍 처벌규정의 검토 및 우리 형법에의 시사점, 경희법학 제55권 제4호", 경희법학연구소, 2020
    • 72 박희영, "사이버그루밍(Cybergrooming) 미수 처벌에 관한 형법 개정 법률안 의결, 최신독일판례연구", 로앤비(www.lawb.com), 2020
    • 73 이근우, "아동 청소년 성범죄에서 함정수사 허용의 위험성,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제 12권 제2호",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0
    • 74 이성대, "채팅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성매매방지를 위한 법률적 규제방안, 형사정책, 제31권 제1호", 한국형사정책학휘, 2019
    • 75 성폭력, 이명숙,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법적 대응과 관련된 제문제, 여성에 대한 폭력 의 실태 및 대책세미나", 법무부, 1998
    • 76 김서현, "[무관심 먹고 자란 성착취(1)'n번방''새로운 박사'또 있다...'디지털 집단 성 폭력'도입, 여성신문", , 2020
    • 77 염영희, 이정민, "직무스트레스,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이 간호사의 소 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9권 제5호", 한국간호행정학회, 2013
    • 78 김기범, 진의현, 주지연, "디지털 성범죄 위장수사 허용 범위 및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디지털포렌식연구, 제15권 제12호",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21
    • 79 장응혁, "위장수사의 비교법적 연구-디지털 성범죄 근절대책과 입법안의 쟁점을 소 재로-, 형사법연구 제32권 제4호", 한국형사법학회, 2020
    • 80 윤덕경, "형사법상 성적 자기결정권 본질 및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증진을 위한 입법 과제 검토, 이화젠더법학 제4권 제1호",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6
    • 81 서승희, "사이버성폭력 피해의 특성과 근절을 위한 대응방안 비동의 유포 성적촬영 물을 중심으로, 이화젠더법학 제9권 제3호", 젠더법학연구소, 2017
    • 82 김영혜, "성범죄사건의 피해자조사에 대한 검토 –피해자진술조서를 중심으로-, 여성 에 대한 폭력의 실태 및 대책 세미나자료", 법무부, 1998
    • 83 경찰청, 보도자료, "경찰 ‘아동 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 총력 대응 체계 구축-청 소년성보호법 개정 후속 조치 및 국제공조 강화-’, 2021.3.19.", 경찰 ‘아동 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 총력 대응 체계 구축-청 소년성보호법 개정 후속 조치 및 국제공조 강화-’, 2021
    • 84 법무부 보도자료, 법무부 보도자료, "신속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 영상물 삭제·차단을 위한 ‘응급조치’ 신설 권고 -디지털 성범죄 전문위원회 제2차 권고 발표, 2021.10.28.", 신속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 영상물 삭제 차단을 위한 ‘응급조치’ 신설 권고 -디지털 성범죄 전문위원회 제2차 권고 발표, 2021
    • 85 신상현, "새로 도입된 신분비공개수사 및 신분위장수사 특례 규정에 대한 검토-아동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5조의2부터 제25조의9를 중심으로-, 형사 소송 이론과 실무, 제13권 제2호",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