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연평답문(延平答問)의 지향점과 퇴계 이황의 철학 = The Orientation of “Yan Ping Da Wen (延平答問)” and the Philosophy of Toegye Yi Hwa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5-114(4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글은 주희(朱熹:1130∼1200)와 그의 스승 이동(李侗:1093∼1163)이 주고받고 받은 서신으로 이루어진 연평답문을 분석한다. 이 책이 신유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에서 어떤 의미와 지향점을 가졌는지 검토한다. 나아가 퇴계 이황(退溪 李滉:1502∼1571)의 연평답문에 대한 독해와 문제의식을 통해 16세기 조선 유학의 중요한 쟁점이 무엇이었는지 살펴본다. 연평답문에서 이동은 주희에게 미발 기상 체인(未發 氣象 體認)이라는 철학적 질문을 던졌다. 또한 이동은 제자에게 항상 일용처(日用處)에서 존양(存養)할 것을 요구했다. 일용처에서 이루어지는 도리 체인(道理 體認)의 공부는 뒷날 이황의 철학적 문제의식을 자극한다. 이황은 주자학자이면서 동시에 이동의 정좌구중설(靜坐求中說)을 중시한 독특한 인물이다. 이황의 사유에는 이동에게서 주희에게 전수된 미발 기상의 체인, 일용처의 함양 공부 그리고 주희가 주목한 독서궁리(讀書窮理)에 기반한 도리 체인의 문제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주희는 정좌와 격물 공부를 반반 공부로 강조하는 한편 격물궁리를 통한 활연관통과 심(心)의 전체대용을 밝히는 공부를 중시했다. 이에 비해 이황은 수양론에서 주희의 관점을 기본적으로 공유하지만, 성학십도「대학도」 등에서 보이듯이 격물보다는 오히려 경(敬) 공부를 중시했고 나아가 이동이 강조한 주정법(主靜法)의 효험을 인정했다. 뿐만 아니라 도리가 일상에서 명백히 드러나는 지점을 체인하도록 권고한 이동의 가르침은 이(理)의 발현과 활동성에 관한 이황의 사유를 자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6세기 조선 유학자 이황의 개성적 사유는, 이동과 주희 사상에 대한 철학적 성찰, 명대의 심학 전통에 대한 비판적 탐색, 동시대 조선 유학자들-화담 문인-과의 치열한 논변을 통해 이루어졌다. 당시 중국과 조선을 가로지르며 전개된 활발한 지적 탐색의 중심에 주희가 엮은 연평답문 그리고 이 책에 대한 이황의 깊은 관심과 비평이 있었다.
더보기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Yan Ping Da Wen 延平答問”, a collection of correspondence between Zhu Xi (朱熹: 1130∼1200) and his teacher Yan Ping Li Tong (延平 李侗: 1093∼1163). I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orientation this book had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Moreover, I investigated the philosophical concerns that Yi Hwang (李滉: 1501–1570, pen name: Toegye), a Confucian scholar of Joseon, had when engaging with 'Yan Ping Da Wen,' thereby elucidating one of the crucial issues within 16th-century Joseon Confucianism.
"In a letter from 'Yan Ping Da Wen,' the teacher Li Tong posed an important philosophical question to his disciple Zhu Xi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state before emotions are aroused (未發 氣象的 體認).' Furthermore, Li Tong instructed his disciple to always engage in 'cultivation in daily life (日用處)' and 'nourishing and preserving the mind's true nature (存養).' This study of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the Dao (道理) in everyday life later stimulated the philosophical concerns of the Joseon scholar Yi Hwang." Yi Hwang, fundamentally a Neo-Confucian scholar grounded in the teachings of Zhu Xi, was also a unique figure who placed great emphasis on Li Tong's 'Theory of Seeking the Mean through Tranquil Sitting (靜坐求中說).' Yi Hwang's thought organically integrated several key elements: the issue of 'recognizing the state before emotions are aroused,' transmitted from Li Dong to his disciple Zhu Xi; the practice of 'nourishing and preserving the mind's true nature in daily life'; and the task of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the Dao' based on 'studying the classics to grasp the underlying principles (讀書窮理)' - a focus of Zhu Xi himself.
Zhu Xi emphasized the study of 'tranquil sitting (靜坐)' and 'attaining knowledge by investigating things (格物致知)' as equally important,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chieving understanding and enlightenment through 'investigating things and exploring principles (格物窮理)' and the study of the 'mind's entirety and its great function.' In contrast, while Yi Hwang fundamentally shared Zhu Xi's perspective on self-cultivation, he placed greater emphasis on the practice of 'reverence (敬)' rather than the efforts of 'attaining knowledge by investigating things,' as demonstrated in his own work,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聖學十圖)”, particularly in the 'Diagram of the Great Learning (大學圖).' Furthermore, Yi Hwang more actively recognized the efficacy of Li Tong's method of 'maintaining tranquility (主靜法)' than Zhu Xi did.
The teachings of Li Tong, which advocated grasping points where the principles (道理) clearly manifest in daily life, are presumed to have stimulated Yi Hwang's reflections on the manifestation and dynamism of principles (理). Yi Hwang's distinctive thoughts in 16th-century Joseon evolved through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the ideas of Li Tong and Zhu Xi, critical exploration of Ming Dynasty's Neo-Confucianism of the Mind, and vigorous debates with contemporary Joseon Confucian scholars. Central to the vigorous intellectual exploration spanning China and Joseon at the time was the compilation “Yan Ping Da Wen” by Zhu Xi. Confucian scholar Yi Hwang critically explored the significance of this book and creatively reinterpreted it within the context of 16th-century Jose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