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屠寄의 蒙兀兒史記 편찬과 전환기의 역사 인식 = Compilation of Tu Ji's Mengwuershiji in the early Republic of China and the Perception of History in the Transitional Period
저자
조원 (부산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05-338(34쪽)
제공처
소장기관
몽올아사기는 청말 민국 초기 관료였던 도기가 집필한 역사서이다. 이 책은 몽골제국사를 다루고 있는 거작으로 명청대 진행된 원사 연구의 흐름을 잇고 있다. 원사는 당대부터 후대에 이르기까지 오류와 내용의 누락으로 학자들의 비판을 받아왔고, 명대에서부터 청대에 이르기까지 원사에 대한 補正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청말에 이르러서는 청의 고증학적 전통에 변경의 위기가 더해져 몽원사지학이라는 학문적 흐름을 이룰 정도로 활발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도기는 이러한 문제의식의 연속선상에서 몽올아사기를 집필했다. 그러나 몽올아사기는 명청대 원사의 補正 차원에서 집필된 전대의 저작들과는 몇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차별성을 지닌다.
도기는 몽올아사기 몽골적 관점을 담아내고자 했다. 또한 그는 몽골제국의 역사상 복원을 시도했다. 그는 한족 사가들이 집필한 원사와 그 개찬본에서 누락되어 있는 몽골부족 초기 역사, 칭기스칸의 서정에 관한 내용, 유라시아를 정복한 칭기스칸의 각 후예들의 계보와 사적들에 관한 내용을 보완했다. 그는 몽골 부족의 기원과 칭기스칸의 초기 역사 및 사적을 상세하게 기술하여 몽골의 형성 과정을 상세하게 소개하고자 했다. 다음으로 몽골의 통치 집단의 규모와 실상을 상세히 드러내고자 했다. 그는 원사에서 소략한 서아시아의 세력과 몽골의 정복 과정을 소상하게 기술함으로써 몽골의 유라시아 팽창 과정의 진상을 밝히고 몽골제국 역사상의 복원을 시도했다.
도기가 몽올아사기를 통해 몽골제국의 진상에 접근할 수 있었던 것은 18세기 이후로 활발히 이루어졌던 몽원사지학의 성과들과 서구 학계의 몽골사 연구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들을 소개했던 자들은 유럽에 외교관으로 파견되었던 인물이나 유학생들이었다. 대표적으로 러시아,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4국의 대사로 파견되었던 홍균은 서구의 몽골사 연구성과를 접했고, 이를 바탕으로 원사역문증보를 집필했는데, 이는 도기의 몽올아사기 의 구성과 내용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이 저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몽올아사기가 편찬된 시점의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해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1911년 신해 혁명으로 결국 청제국은 무너졌고, 청제국의 판도에 있었던 외몽골이 독립을 선포했다. 도기는 제국의 몰락과 국민 국가의 탄생이라는 전환기에 몽골제국사를 집필해 전념하기 시작했다. 그러한 점에서 몽올아사기에는 도기 개인이 맞닥뜨린 제국 붕괴의 위기와 새로운 국가 탄생이라는 시대적 상황 속의 역사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e Mengwuershiji(蒙兀兒史記) is a historiography written by Tu Ji, a bureaucrat and historian during the late Qing and early Republic of China. This book, a monumental work covering th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 continues the trend of Yuanshi studies conducted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Yuanshi(元史) had been criticized by scholars from its time to later periods for its errors and omissions. Consequently, from the Mi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efforts to correct and supplement the Yuanshi were continually published. By the late Qing period, the confluence of the Qing's evidential scholarship tradition and the crisis at the frontier led to a flourishing of research that formed the academic stream known as 'Mongol-Yuan Studies.' Tu Ji wrote the Mengwuershiji in this context of ongoing scholarly critique and correction. However, the Mengwuershiji differs significantly in several aspects from earlier works written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at aimed to correct the Yuanshi.
Tu Ji aimed to incorporate the Mongolian perspective in the Mengwuershiji. He also attempted to restore the historical narrative of the Mongol Empire. He supplemented the gaps found in the Yuanshi and its revised editions, which were written by Han Chinese historians, by including the early history of the Mongol tribes, the campaigns of Genghis Khan, and the genealogies and records of the various descendants of Genghis Khan who conquered Eurasia. Tu Ji meticulously detailed the origins of the Mongol tribes and the early history and achievements of Genghis Khan to thoroughly introduc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Mongol Empire. Furthermore, he sought to reveal the scale and realities of the ruling group of the Mongols in detail. By elaborately describing the forces in Western Asia and the Mongol conquests, which were briefly covered in the 'History of Yuan,' he aimed to clarify the process of Mongol expansion across Eurasia and to attempt a restoration of the historical narrative of the Mongol Empire.
Tu Ji's ability to approach the true nature of the Mongol Empire through the Mengwuershiji was made possible by the achievements of Mongol-Yuan studies that had been actively conducted since the 18th century and the Mongolian studies of Western academia. The individuals who introduced these studies were diplomats dispatched to Europe or students studying abroad. Notably, Hong Jun, who was dispatched as an ambassador to Russia, Germany, Austria, and the Netherlands, encountered Western research on Mongolian history and, based on this, wrote the Yuanshiyiwenzhengbu(元史譯文証補),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u Ji's Mengwuershiji. To understand this work,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when the Mengwuershiji was compiled. In 1911, the Xinhai Revolution ultimately led to the fall of the Qing Empire, and Outer Mongolia, which was under the domain of the Qing Empire, declared its independence. Tu Ji began to devote himself to writing th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 during this transitional period of the fall of an empire and the birth of nation-states. In this regard, the Mengwuershiji reflects the historical awareness of the era's circumstances, including Tu Ji's personal encounter with the crisis of imperial collapse and the birth of a new na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