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학교상담 20년과 위(Wee)프로젝트: 쟁점과 과제 = 20 Years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Wee Project: Issues and Tasks
저자
우지향 (선사고등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47-368(2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국가시책으로 출발한 ‘위(Wee)프로젝트’는 한국의 학교상담 체제와 불가분의 관계이다.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심리․정서 발달을 돕는 활동은 학교 교육에서 그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위(Wee)프로젝트 관련 법령, 정책보고서, 통계, 학술자료 등의 문헌자료를 토대로 학교상담 20년의 현황과 쟁점을 개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학교상담 체계 구축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상담 전담 행정관리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학교상담 표준화 모형에 대한 공론화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학교상담 전(全)학교-이원화 모델’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교상담의 협업과 연계의 집행 전략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학교상담자의 정체성 확립과 소진에 관한 대응책을 강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교상담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에 관한 현장 실행연구의 축적이 절실하다. 본 논의를 통해 한국의 학교상담이 시책(時策)사업으로 출발했던 프로젝트에서 보편적 예방․발달 중심의 한국형 학교상담 제도로 확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The “Wee Project,” initiated as a national policy, is inseparable from school counseling in South Korea. Activities that support student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context of school education. In this paper,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20 years of school counseling based on literature such as laws, policy reports, statistics, and academic materials related to the Wee project. By analyzing the status and issues over the past two decades, this study seeks to provide insights for building a school counseling system that fosters students’ healthy growth. First,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 dedicated administrative management system for school counseling. Second, mentioned the need for public discussion regarding a standardized model for school counseling and proposed the ‘School-wide Dual-track Model’ as an alternative. Third, a review of strategies for implementing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within school counseling is required. Fourth, measures must be devis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school counselors and address burnout. Fifth, it is essential to accumulate field-based research o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school counseling programs. Through this discussion, it is hoped that school counseling in Korea can evolve from a policy-driven project into a Korean-style school counseling system focused on universal prevention and developmental approach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