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websites are excellent resources for younger people to gain information related to breastfeeding. So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breastfeeding knowledge of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the currently available website information on breastfeeding. Among the criteria, the six most important evaluation categories for the breastfeeding information on websites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The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the modified Williams and Hammer's tool, in order to evaluate their breastfeeding knowledge. An additional tool took into consideration the website breastfeeding information criteria, to evaluate the Korean websites. This 34 item tool was categorized into milk supply, comfort during breastfeeding, health of the baby and mother, social support, presentation of message, and products or financial motivation. Thirty-seven websites related to breastfeeding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were then discussed by nursing students. The students in this study were not knowledgeable on breastfeeding management with regard to the expression and storage of breast milk, the prevention and care of sore nipples, or use of breastfeeding aids. The breastfeeding information found on the Korean websites received positive evaluations for milk supply, comfort during breastfeeding, and health of the baby and mother. However, the educational content on social support, the message presentation, and the product areas on websites were rare or required additional information from breastfeeding specialists. In conclusion, based on our empirical survey, we need to design websites and evaluation tools for accurate website information regarding the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of breastfeeding, so that Korean women are better motivated to breastfeed by the information they obtain through the Internet.
더보기및 결론건강교육자들과 소비자들의 인터넷을 활용하고자하는 요구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맞춰, 비의료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모유수유 교육에서는 모유의 저장과 유두 동통의 예방과 관리, 의료계통 학생들에게는 모유수유 보조기구의 사용과 유두 동통의 예방과 관리에 대해 좀 더 중점적으로 웹상에서의 건강교육이 이루어져야 된다는 사실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낮은 정답률을 통해 대학생들이 그동안 일관성있고 정확한 모유수유 지식과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학습 기회가 제공되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웹사이트 평가 결과도 정보의 부정확성보다는 필요한 관련 교육정보 웹사이트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국내에서 모유수유 빈도가 감소하는 현상과 관련하여 국민 건강의 기초가 되는 모자보건의 차원에서 정부와 건강관리 체계를 중심으로 모유수유 증진을 위한 정책의 수립과 교육적인 중재의 노력이 요청되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 보건의 건강 관리 체계 내에서 모유수유에 대한 건강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체계적인 웹사이트의 개발 및 그 효과를 평가하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대학생들의 개인적, 사회적 환경에 맞추어 개별적 교육이 효과적이므로, 모유수유를 포함한 건강교육에 대한 문제 중심 접근법의 인터넷상에서의 웹 교육의 활성화를 권유하는 바이다. 본 연구 결과에서 우리나라 모유수유 웹사이트에서는 수유의 장점이나 질병으로부터의 방어 등의 건강상의 범주에 대해서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사회적인 지지 영역과 경제적인 측면에 대한 교육정보 내용이 부족하여 실제적인 모유수유 기간이 짧은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러한 영역에 대한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6 | 1.104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