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의 심미성이 선호도, 감성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침구 디자인 유형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과 라이프스타일디자인전공 , 2025. 2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DDC
746.97 판사항(23)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The Impact of Aesthetics in Bedding Textile Design on Preferences, Emotiona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 Focusing on Bedding Design Types
형태사항
viii, 126 p.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윤수인
UCI식별코드
I804:11015-200000847101
소장기관
집 안에서 생활하는 홈루덴스족의 증가와 동시에 개인의 선호를 반영한 실내 인테리어가 중요시되는 추세이다. 이와 함께 침실 공간에서의 침구 또한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화 되어가면서 인테리어 업계에서는 침구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침구 디자인 산업에서의 전략은 기획 및 마케팅적 측면에서 주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침구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미적 요구를 통해 선호와 감성적 반응을 분석하여 소비자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의 요소를 파악하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침구 디자인의 유형화를 중심으로 하여,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의 심미성이 소비자의 선호도, 감성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파악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침구의 정의 및 구성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침구 디자인 기획 및 마케팅 분야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 또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정의 및 분류를 통해 연구 기틀을 구성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문제에서는 문헌자료 및 선행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설을 설계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은 20~30대 소비자 21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4년 6월 04일부터 6월 11일까지 7일의 기간 동안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통계(SPSS Statistcs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설문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 진행 시, 소비자들의 시각적 이해를 돕기 위해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의 유형별 이미지를 자극물로 제시하고자 이미지를 수집 및 분류하여 자극물을 선정하였다. 이미지 수집 방법은 제23~25차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 K-BPI 홈패션 부문1~3위인 이브자리, 알레르망, 세사리빙의 공식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2024년 3월 29일부터 4월 23일까지 각 브랜드 온라인 사이트의 차렵이불세트 카테고리의 신상품 중 텍스타일 디자인이 들어간 침구를 대상으로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이미지는 텍스타일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토대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3개의 자극물을 선정하였으며, 각각 ‘사실적 유형’, ‘약화적 유형’, ‘추상적 유형’으로 명명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에 앞서 측정항목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 유형별 심미성, 선호도, 감성만족, 행동의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 유형별 심미성, 선호도, 감성만족, 행동의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의 심미성이 선호도와 감성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선호도와 감성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의 사실적 유형과 추상적 유형은 ‘선호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20~30대 소비자는 자연물 모티브에 사실적 표현 기법이 적용된 디자인보다 기하물 모티브에 추상적 표현 기법이 적용된 침구 디자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의 사실적 유형은 ‘선호도’에서 ‘결혼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보다 기혼의 소비자가 자연물 모티브에 사실적 표현 기법이 적용된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에 대한 ‘심미성’은 ‘선호도’와 ‘감성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의 심미적인 요인이 선호와 감성적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와 ‘감성만족’은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의 선호 여부와 감성적 요인은 침구 제품의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결정요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자연물 모티브에 사실적 표현 기법이 적용된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은 20~30대 소비자에게 선호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미혼보다 기혼의 소비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기획 및 마케팅 시 기혼의 소비자에게 감성 가치를 강조하여 선호를 유도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자연물 모티브에 약화적 표현 기법이 적용된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선호도’에서 사실적 유형보다 약화적 유형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20~30대 소비자는 사실적 표현 기법보다 약화적 표현 기법을 사용한 자연물 모티브의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20~3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자연물 모티브의 침구 디자인 기획 시 모티브의 형태를 간략하게 약식화하여 표현한 디자인을 중심으로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기하물 모티브에 추상적 표현 기법이 적용된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은 20~30대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디자인으로 나타났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인한 기호의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는 베이직한 디자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카테고리의 제품군을 다양화하고, 넓은 소비자층을 포용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침구 텍스타일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미성이 선호도, 감성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수도권 중심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조사 지역 확대와 표본 수의 증가가 필요하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소비자에게 적합한 디자인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Personalized interior desig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more people spend more time at home. At the same time, consumers' needs for bedding in the bedroom are diversifying, and the home furnishings industry is paying attention to the bedding market. Therefore, strategies in the bedding design industry need to be monitored in terms of planning and marketing, and in particular, a strategic approach is required to identify elements of bedding textile design that can positively influence consumer behavior by analyzing preferences and emotional responses through consumers' aesthetic needs for bedding design.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lassification of bedding design and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esthetics of bedding textile design on preference, emotiona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 theoretical review, the definition and organization of bedding through previous studies were discussed, and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bedding design planning and marketing were reviewed. In addition, the definition and categorization of textile design laid the foundation for organizing the research framework.
Next, the research hypothesis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 used data collected from 210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r 7 days from June 4 to June 11, 2024, and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Statistics 21).
The survey questions were organi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the measurement tools. In order to present images of each type of bedding textile design as stimuli to help consumers' visual understanding, image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to select stimuli. The image collection method was based on the official websites of Evezari, Allerman, and Sesa Living, which were ranked 1-3 in the home fashion category of the 23rd-25th Korea Industry Brand Power Home Fashion Awards, and collected images of bedding with textile designs among the new products in the comforter set category on each brand's online website from March 29 to April 23, 2024. The collected images were categorized based on textile design components, and three stimuli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as realistic, attenuated, and abstract.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nd differences in aesthetics, preference, emotiona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y type of bedding textile design were analyzed. Differences in aesthetics, preference, emotiona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y type of bedding textile desig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Correlational analysis was then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determine the influence of bedding textile design aesthetics on preference and emotional satisfaction, and measure the impact of preference and emotional satisfaction on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preference" between "abstract" and "realistic" types of bedding designs.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preferred bedding designs with abstract geometric motifs over designs with realistic natural motifs.
Second, the "realistic type" of bedding design differed in "preference" between "married" and "single" consumers. This suggests that married consumers prefer bedding textile designs with 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of natural motifs over unmarried consumers, confirming the need for marketing strategies that emphasize the emotional value of the target audience.
Third, the “aesthetics” of bedding textile design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preference” and “emotional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the aesthetic factors of bedding textile design influence preference and emotional satisfaction.
Fourth, "preference" and "emotional satisfaction" of bedding textile desig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direct determinant of which bedding textile designs are preferred and emotional factors lead to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bedding produc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bedding textile designs with 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applied to natural object motifs are less preferred by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and are preferred by married people more than single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emotional value of bedding textile designs to promote preference among married consumers in planning and market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bedding textile designs with attenuated natural motifs, but the average valu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realistic type. This suggests that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prefer bedding designs with natural object motifs using attenuated expression techniques over 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bedding designs with natural object motifs targeting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cusing on designs that express the shape of the motif in a simplified manner.
Finally, bedding with geometric motifs and abstract expressions is highly preferred by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indicating that this is a basic design with less pronounced differences in preferences across demographic groups. Meeting this demand will require strategic expansion to diversify the category's product offering and an efficient approach to reach a broad consumer bas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esthetics on consumers' preferences, emotiona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bedding textile designs and provided suggestions. However, the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is limited by the fact that the survey was conducted main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rvey area and increase the number of samples in further research. Subsequent studies are expect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signs and marketing strategies suitable for consumer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