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US
KCI등재
Retinoblastom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0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SCOPUS,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9-176(8쪽)
제공처
소장기관
1980년 3월부터 1987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 치료방사선과에서 망막아세포종으로 방사선 치료를 23예의 치료 성적을 보고한다.
20예의 편측성 종양에서, 13예는 안구적출수술후 방사선치료를, 2예는 방사선치료만, 5예는 안구적출후 동측 재발종양의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재발성 종양을 제외한 15예의 병기는 St. Jude Children's Research Hospital의 병기분류 기준에 의한 Ⅰ기(retinal)는 없고, Ⅱ기(gloval) 5예, Ⅲ기(orbital) 8예, Ⅳ(cranial or metastatic) 2예였다. 양측성 종양 3예는 생후 1개월 이내에 증상이 나타났고, 진행된 종양측은 안구적출술을 시행했으며 조기 종양측은(3예 모두 Ⅰ기)방사선 치료를 하였다. 시신경 절단부 또는 뇌척수액에서 종양 세포가 확인된 경우에는 항암화학치료를 병용하였다.
수술후 계획대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12예의 5년 생존율은 82.2%이며, 국소재발 또는 원격전이는 없었으나, 2환아(Ⅲ기)의 진단시 무병상태였던 반대측 망막에서 종양이 속발하였다. 일차적 방사선 치료를 계획대로 받는 1예의 반대측 망막에서 종양이 속발하였다. 따라서 양측성 종양의 전반적 빈도는 33%였다. 재발성종양 5예의 치료성적은 매우 불량하여 생존율 20%였다. 양측선 종양 3예중 2예가 무병상태로 생존하고 있다. 방사선 치료후의 변화로는 안와 연조직 위축이 관찰되었다.
방사선 치료성적은 조기 병기 또는 종양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양호하여 조기 치료가 중요하며 진단후 치료가 지연되지 않도록 함이 중요하다.
Radiotherapy result was analyzed in 23 children with retinoblastoma treat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80 to 1987. Three (17%) had bilateral tumor at diagnosis. Among 20 children with unilateral retinoblastoma 13 children got radiotherapy after enucleation, 2 were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and 5 were delivered with radiotherapy after relapse. Of 15 non-recurrent unilateral tumors, there were 5 stage Ⅱ children, 8 stage Ⅲ, and 2 stage Ⅳ by staging system proposed by St. Jude Children's Research Hospital. Chemotherapy was combined when resection margin of the optic nerve was positive or when malignant cell was found in CSF. Of 12 children who completed radiotherapy, local or distant failure was not found but 2 cases of relapse at the contralateral retina were observed. Their 5 year survival rate was 82.2%. Another case of contralateral relapse was detected in children who was treated with radiotherapy alone. Thus overall frequency of the bilateral disease was 33%. Prognosis of recurrent tumors were so poor that no cases of CR was obtained and that 3 year survival rate was 20%. Two of 3 bilateral cases at diagnosis were in NED status. Complication were sunken orbit only. Result of radiotherapy was so good in early stage or small bulk tumor that treatment delay after diagnosis must not be allow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