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보건의료에서의 인공지능 적용과 관련된 법적 과제에 대한 개관 = Consideration of legal issu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 care
저자
이인영 (홍익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71(37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AI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in planning and resource allocation in health and social care services. Using AI to analyse clinical data, research publications, and professional guidelines could also help to inform decisions about treatment.
AI has applications in fields that are subject to regulation, such as data protection, research, and healthcare. However, AI is developing in a fast-moving and entrepreneurial manner that might challenge these established frameworks. The use of AI raises ethical and legal issues, including: the potential for AI to make erroneous decisions; the question of who is responsible when AI is used to support decision-making; inherent biases in the data used to train AI systems; ensuring the protection of potentially sensitive data; securing public trust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AI technologies.
AI applications in healthcare make use of data that many would consider to be sensitive and private. Using data that raise privacy concerns should go beyond compliance with the law to take account of people’s expectations about how their data will be used. Reliability and safety are key issues where AI is used to control equipment, deliver treatment, or make decisions in healthcare.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can also be particularly opaque because of the way they continuously tweak their own parameters and rules as they learn. This creates problems for validating the outputs of AI systems, and identifying errors or biases in the data. Further challenges include the need to ensure that the way AI in healthcare is developed and used is transparent, accountable, and compatible with public interest, and balanced with the desire to drive innovation.
미래에는 인공지능 시스템이 더욱 발전하여 사람의 개입이나 입력 없이 더 넓은 범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보건의료분야에 더욱 실현된다면 환자의 이익이나 보건정책에 이득을 가져올 수 있지만 수반되는 위험의 정도도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첨단 인공지능 시스템으로의 혁신이 진일보할수록 인공지능의 알고리즘이 법주체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은 계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보건의료에서 인공지능 시스템이 안전하고 윤리적인 이용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인지, 누가 이러한 윤리적 정의를 구현할 수 있도록 결정할 것인지 또는 인간에게 적용하는 어떠한 책무를 인공지능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거나 적용되어야 할 것인지 여부,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새로운 책임법리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계속적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결국 이러한 논의는 윤리적 과제이자 우리 사회가 당면한 법적 과제가 되는 것이다.
보건의료에의 인공지능의 적용한계로서 신뢰도와 오류 그리고 이에 따른 안전의 문제를 간과할 수 없다.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가 추천한 치료법과 의료진이 판단한 치료법간의 선택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환자에게 악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 시스템의 자동화된 의사결정에 책임이 있는 주체가 누구인지 여부와 부정확한 진단이나 처방결과로 인한 피해구제에 대한 손해배상 등의 법적 책임의 한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제작자, 인공지능이 탑재된 의료기기의 소유자 또는 이들의 운용자 등이 손해발생에 기여한 정도에 따라 책임을 부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데이터의 편향성을 통한 알고리즘 자체에 편향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를 증폭 · 강화하는 경향으로 진전될 수 있다. 알고리즘의 편향성으로 인해 직접·간접의 차별이 야기될 수 있고 그러한 차별로 인한 피해구제를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의 단계이기는 하지만, 알고리즘 자체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전통적인 책임법리만으로 책임소재를 규명하거나 책임문제를 해결하기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알고리즘 불투명성에 따른 차별적 결과에 대해서는 알고리즘의 책무개념을 검토할 수 있으며, 행위를 논의의 중점에 두고 과연 행위과정에서 의무준수에 대한 숙지, 누가 책무를 부담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전적으로 기술적, 법적, 제도적 관점에서 문제해결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 적용으로 인한 위험 대응방안으로 규제의 수단을 상정할 수 있지만, 우선적으로는 전문위원회 또는 협의체 기구의 상설을 통해 기술혁신과 안전과 윤리적 이용 사이의 갈등을 조정하고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 등의 인공지능 거버넌스 구축의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보인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3-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외국어명 : 미등록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5 | 1.15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3 | 1.16 | 1.561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