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베트남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의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양상 연구 = A Study on Machine Translation Post-Editing Patterns of Learners Majoring in Korean at Vietnamese Univers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3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15-831(1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목적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습자들의 베한 포스트에디팅 수정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베트남 대학의 한국어 전공 학습자 25명이 베한 기계번역을 실시한 후 이에 대한 포스트에디팅을 통해 텍스트를 수정하였으며, 이때 수정한 이유를 함께 기술하였다. 그 후 학습자들이 작성한 192건의 수정 사항을 분석하고 오류의 유형을 8가지로 분류하여 학습자들이 무엇을 오류로 인식하고 어떻게 수정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형태적 정확성 오류보다 의미적 오류에 대한 수정 비율이 더 높았고, 의미적 오류 중에서는 명확성 오류를 수정하는 시도가 가장 많았으며 유창성, 기능성, 결속성, 간결성, 중의성, 일관성 순의 빈도로 오류 수정이 이루어졌다. 수정 양상을 살펴보면 전문 번역가가 아닌 학습자들의 수정은 의도에 맞는 경우도 있었으나 수정된 텍스트에 또 다른 오류가 존재하는 등 오류 수정에 실패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결론 그러므로 학습자가 텍스트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세부적, 단계적으로 포스트에디팅 교육을 해야 한다. 또한 기계번역의 오류는 한 가지 측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수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위한 수정 방식과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ification patterns of post-editing(PE) in Vietnamese-to-Korean machine translation(MT) by Korean language learners at Vietnamese universities.
Methods Twenty-five Korean majors at Vietnamese universities performed PE on a Vietnamese text and recorded their reasons for modifications. The 192 modifications made by the learners were analyzed based on eight error categories to identify their error recognition and correction intention.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rners prioritized correcting semantic errors over morphological errors in the machine-translated texts and among semantic errors, attempts to correct clarity errors were the most common. However, some corrections deviated from the intended meaning, or introduced new errors during the correction process.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learners need education to consider various aspects beyond simply replacing awkward or incorrect expressions when recognizing and correcting errors. Furthermore, machine translation er-rors frequently necessitate more comprehensive revisions than merely addressing individual asp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detailed and step-by-step education by providing post-editing guidelines so that learn-ers can improve by considering various aspect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