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비자(韓非子)의 도가사상(道家思想) 수용방식 고찰 = Han Fei"s Way of Understanding Taoist Though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주제어
KDC
15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5-253(29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Han Fei"s thought as compiling the previous Legalists thought have been expressed seemingly contradictory in various ways by many scholars. It might be caused by the amalgamative characteristics of his idea. This paper aims at finding the consistent way of interpretation of Han Fei"s idea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with Xun Zi"s concept of "rule of rituals" and Lao Zi"s ‘affirmation of paradox’. Xun Zi"s concept of "rituals" emphasizes the control or the regulation. It means that rituals is not originated from an inner human nature. To Xun Zi, rituals is a simple product of human reasoning for surviving in outer harsh environment or for adjusting the conflicts stemmed from human desire. The value of this kind of rituals that Xun Zi tried to maintain can be easily disproved by the people who advocate a moral relativism. As the disciple of Xun Zi, Han Fei established the theory of "rule of law" for make up for weak aspects of his teacher"s idea by replacing the concept of rituals with that of law. In addition, Han Fei utilized the Taoist idea for articulating the arts of rulership as the skill of manipulating the law. The reason that he chose the Taoist idea is that he thought it is good for explaining the world dynamically changing. It is clear that he fully understood the final goal of Taoist philosophy in terms of his criticism on the people staying blindly on the simple status of no-action. He requested that we should attain to the status of ‘never acting yet nothing being left undone". These show that Han Fei utilizes the Xun Zi"s idea to establish a ruler centered theory of "rule of law" and applies Taoist idea to the ruler"s skill to control retainers and populace.
더보기법가(法家) 사상의 집대성자인 한비자(韓非子) 철학의 특성에 대한 논의는 그 사상의 융합적 성격으로 인해 상호 모순되어 보이는 주장들이 대립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순자(荀子)의 예치(禮治) 사상과 노자의 모순긍정(矛盾肯定)적 사유방식이 한비자에게 준 영향을 중심으로 그의 논의의 일관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순자의 예(禮) 개념은 유가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나 그 내용이 외(外)에서 내(內)로 향하는 규제 규율의 타율적 성격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외재의존(外在依存)적 성격의 예(禮)는 외적 변화에의 적응을 강조하는 가치 상대주의적 철학에 의해 그것의 현실적 가치가 부정 비판 될 수 있는 취약점을 지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순자의 제자로써의 한비자는 그와 같은 타율적 성격의 예(禮)를 군주(君主) 중심의 정치 도구적 법(法)으로 전환시켜 법치(法治) 사상을 정립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비자는 이러한 법을 어떻게 운용하여 국가를 안정시킬 것인가 하는 법술(法術)의 방법론에 있어서는 도가적 사유를 적극 활용하게 되는데, 이것은 도가철학이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세계를 전제로 한 인간 이해에 있어 뛰어난 안목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한비자는 특히 무위(無爲)를 궁극의 경계로 삼는 무술자(無術者)들을 도가의 목표를 잘못 이해한 자로 비판하고 무위이무불위(無爲而無不爲)의 경지 도달을 요청하며, 그러한 경지에 도달한 자를 황로(黃老)의 본의를 이해한 자로 평가하는 뛰어난 철학적 통찰력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 한비자는 순자의 예치 사상을 이어 발전시킨 나름의 군주 중심 법치 이론을 정립하고, 그 실천방법론에는 도가적 사유방식을 도입하여 자신의 이론의 내적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한 뛰어난 사상가임을 이 논문은 밝히고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5-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Asian Philosphy in Korea : SAPK | KCI등재 |
2007-01-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9 | 1.246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