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퇴계와 율곡에 대한 재해석 : 율곡의 퇴계 비판을 중심으로 = A Reinterpretation on Neo-Confucianism of Toegye and Yulgok : Focusing on the Critical Comments of Yulgok
저자
金璟鎬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15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1-162(32쪽)
KCI 피인용횟수
6
제공처
소장기관
본 논문은 퇴계철학의 영향 하에서 성립한 율곡철학의 차이점을 조명한 것이다. 율곡철학은 퇴계철학에 관한 근본적인 성찰을 전제하기 때문에 명확히 이해하기에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른다.
퇴계와 율곡의 철학은 리기심성에 대한 이론적 논거를 바탕으로 성립되었다. 리기 심성에 대한 논의는 그것이 이미 인간의 행위를 포함하는 한에 있어서 사변적인 이론의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것은 도덕과 윤리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행위실천을 지시하는 마음의 수양공부까지 함축한다. 그러므로 퇴계와 율곡과 같은 성리학자들에게 있어서 리기심성과 같은 사변적 논의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선한 본성을 일상적 삶의 세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보존하면서 확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론의 모색이라고 할 수 있다. 성리학에서 리기심성론을 지속적으로 거론하는 이유도 이것이 인간의 도덕법칙과 윤리적 행위를 담보하는 심성의 문제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이기 때문이다.
퇴계와 율곡의 철학체계에서 리기심성론은 경험적인 우주 자연의 변화 · 운동을 규명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제기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중요한 점은 인간의 심리현상 에 대하여 보다 논리적이고 정합적인 설명을 위한 준거틀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성립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율곡은 우주와 존재의 근원을 탐구하는 리기에 대하여 적확한 식견을 갖지 못한다면 다양한 인간의 심리현상을 다루는 심성의 문제에 대해서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율곡철학에서 존재에 대한 근본적 이해라고 할 수 있는 리기심성론은 퇴계철학의 연장선에 있다. 즉 퇴계의 리기심성론에 대한 수용과 비판이라는 재해석을 통하여 율곡 리기섬성론의 체계가 마련된다. 이러한 점에서 논자는 리기호발 · 주리주기의 문제를 포함한 퇴계철학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재해석을 통해서 율곡의 철학적 입장을 구 명하고자 한다. 이는 결국 퇴계의 철학에 대한 해명을 통해서 율곡철학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This paper is to explicate the modes of differentiation of Yulgok's philosophy based on the differential process of Toegye's philosoph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Yulgok's philosophy for it presupposes the radical reflection on the essence of Toegye's philosophy.
Toegye and Yulgok's philosophies was constitut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argument on the theory of Liqixinxing. As far as the discourse of the Liqixinxing, it is not limited to the part of the speculative theory. It implies propriety practice that refers the concrete practice for realization of moral and ethics and mind study. Therefore, As for Neo-Confucians such as Toegye and Yulgok, all speculative remarks are like methodological search that how can human beings realize it in the real world without destroying the nature of morality endowed from the heaven. In Neo-Confucianism, theory of Liqixinxing is mentioned repeatedly for it is the methodology for explaining the human nature and mind.
In Toegye and Yulgok's philosophical system, the theory of Liqixinxing was raised as a methodological theory for the elucidation of the change and movement of the experiential universe and nature. More importantly, the theory was also organized in the course of groping the criterion for a better theoretical and appropriate explanation about human psychological phenomenon. Especially, Yulgok points out that if human beings do not possess an accurate view on the theory of Liqi that search for the source of the universe and existence, they can not gain right comprehension on the matter of human nature(Xinxing) that deals with various psychological phenomenon of human beings as well.
The theory of Liqixinxing, fundamental understanding on existence from the point of Yulgok's philosophy, lies on the extensional line about Toegye. In other words, such reinterpretation as acceptance and criticism on Toegye's theory of Liquxinxing provides Yulgok's theory of Liqixinxing ststem.
Accordingly I endeavors to manifest Yulgok's philosophical standpoint by means of critical analysis and reinterpretation on Toegye's theory(including Liqihyfa, Zhulizhuqi). In its effect, this effort can be viewed as an attempt to understand Yulgok from the Toegye's philosoph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7-01-23 | 통합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2-2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퇴계학과 한국문화 -> 퇴계학과 유교문화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8-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퇴계학과 학국문화 -> 퇴계학과 한국문화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