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재무비율과 주가수익 비율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 섬유의복, 제1차금속 , 음식료, 화학, 건설업종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Industry of Textile, Metal, food, Chemical and Construction =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Ratio and Price Earning Ratio
저자
김상기 (동덕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학과)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5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7-282(26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논문은 주식투자시 투자기준으로 종래부터 이용되어온 재무비율과 주가수익비율 양자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7개의 재무비율을 선정하고 각 재무비율의 특성에 따라 수익성, 자본구조, 유동성, 활동성, 성장성등 5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분석대상기업으로는 섬유, 의복, 제 1차금속, 음식료, 화학, 건설등 5개업종 총88개 표본기업을 선정하고 분석기간은 1990년부터 1993년까지 4년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가지고 재무비율과 주가수익비율간에 Pearson상관계수와 Spearman순위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실증분석을 하였는데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익성관련비율 대부분과 성장성관련비율 중 일부비율은 주가수익비율과의 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자본구조관련비율, 유동성관련비율, 활동성관련비율은 모두 주가수익비율과 관련성이 희박한것으로 나타났다.
3. 위와같은 결과는 분석 대상기간 전기간에 걸쳐 동일하여 기간별로 변화추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모든 분석대상산업에서도 거의 동일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주가수익비율이 주식투자시 유용한 기준이라고 가정할때 우리는 앞에서와 같은 분석결과로 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종합적으로 볼때 재무비율이 주식투자분석시 별로 유용하지 못한 기준이다.
둘째, 총자본순이익율, 총자본경상이익율, 자기자본이익율, 자본금순이익율, 매출액순이익율, 매출액영업이익율, 자기자본증가율, 순이익증가율등 8개 비율만이 주식투자분석시 의미있는 비율이며 나머지 19개 비율은 별의미가 없는 비율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ratio and price earning ratio, which are traditionally used by many investors when they invest in stocks.
For this purpose, I selected 27 financial ratios and divided those ratios into 5 categories, namely, ratios for profit, capital strucuture, liquidity, turnover and growth.
I selected 88 sample companies from 5 industries : textile, metal, food, chemical and construction, and tested for 4 years from 1990 to 1993.
With these data, I calculated Pearson Correlation Cofficient and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t the same time and found such a results as below.
1.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high in most financial ratios for profitability and only a few financial ratios for growth shows high.
2.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very low in most financial ratios of capital structure, liguidity and turnover.
3. Above results are same in all the years of testing period as well as all the industries tested.
If we assume that Price Earning Ratio is powerful criterion for investing in stocks, we may derive such conclusions as below.
Firstly, generally we may say that financial ratio is not good a criterion in stock investment. Secondly, among 27 financial ratios, only 8 financial ratios (Income/Total Assets, Operating Income/Total Assets, Net Income/Equity, Net income/Paid in capita, Net Income/Sales, Operating Income/sales, Equity Growth/Net Income Growth)are useful, But the other 19 financial ratios are not useful.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