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시민과 시민권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49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75(71쪽)
제공처
우리가 영어의 ‘citizen’이 단순히 도시의 거주민만이 아니라 우리말의 ‘국민’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다. 유럽인들의 역사적 경험이 우리와 달랐으며, 다른 경험에서 생성된 용어의 의미가 달랐고 그로 인하여 사회생활을 지배하는 개념체계가 달랐기 때문이다.
‘시민’만이 아니라 ‘인민’, ‘공민’, ‘국민’이라는 용어도 그 의미를 구별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citizen’, ‘people’ 그리고 ‘nation’이라는 용어를 한국어나 일본어로 번역하기도 어렵고 이것을 다시 영어로 번역하는 경우에 혼란이 야기된다. 원래 영어의 각 용어 자체가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다른 용어가 같은 것을 지칭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people’과 ‘citizen’이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이와 연관되는 용어들의 의미상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사전에서 찾아본다. 특히 이 두 용어가 한국어와 일본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는지를 검토한다. 이 두 용어를 중심에 두는 이유는 ‘people’이 ‘city’를 만들고 ‘citizenship’을 얻듯이 ‘people’이 국가를 만들고 국민이 되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people’을 국가 설립을 위한 계약단계에서 사용하고 ‘citizen’은 국가 성립 이후에 사용하였는지를 역사적 문서를 통하여 검토한다. 그 결과 인민주권설로 인하여 두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의 구분이 흐려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논문의 궁극적 목적은 유럽에서 ‘city’와 ‘citizenship’이 어떻게 성장하였으며, 그것이 근대 시민사회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17세기까지 생성된 유럽 도시의 ‘citizenship’이 근대 국가의 수립에 기여한 역사적 실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It took a long time for us to realize that the English word ‘citizen’ does not simply mean a resident of a city, but also refers to the Korean word ‘kookmin’.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Europeans were different from ours, and the meanings of the terms generated from different experiences were different, resulting in different conceptual systems that dominate social and political live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meanings of the terms ‘inmin’, ‘gongmin’, and ‘kookmin’ as well as ‘citizen’, ‘people’, and ‘nation’ in Korean and confusion arises when translating them back and forth between English and Korean. This is because the English terms themselves have diverse meanings, and different terms can refer to the same thing.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 in meaning among the terms related to ‘people’ and ‘citizen’ by looking them up in dictionaries. Particularly, it investigates the difficulties in translating these two terms into Korea and Japanese. The reason for focusing on these two terms is that ‘people’ can be seen as establishing a state and becoming a citizen, just as ‘people’ establish a city and obtain citizenship.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whether ‘people’ was used during the contractual stage of establishing a state, and ‘citizen’ was used after establishment of the state, by reviewing historical documents. As a result, it is discovere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usage of these two terms has become blurred due to the theory of poplular sovereignty.
The ultimate goal of this p aper i s to r eveal h ow ‘city’ and ‘citizenship’ have grown in Europe and how they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modern civil society. The historical reality that the ‘citizenship’ of European cities created until the 17th century is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modern nation-stat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