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원격교육체제의 도입을 위한 접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와의 협력 = Connecting points for the introduction of distance education system in DRC: Cooperations with KNOU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7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7-102(26쪽)
제공처
본 연구는 ‘교육을 매개로 한 국가 간 협력 가능성’을 주제로 원격교육 분야에서 한 국방송통신대학교의 선진적인 경험에 콩고민주공화국이 접속하는 가능성을 현지에서 직접 확인하고 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직접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장기연수를 진행하면서 킨샤사대학과 개방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콩고민주공화국은 원격교육의 경험이 전무하다. 국민들은 광활한 국토에서 경제적으로 어렵게 살아가며, 절대적으로 부족한 교통수단과 교수수의 부족으로 배움에 대한 갈망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복지차원에서 고등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원격교육체제의 도입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수의 분교를 가지고 있고, 수많은 조교를 활용하고, 저렴한 등록금 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라디오와 TV 방송국을 활용할 수 있고 휴대폰과 같은 기기의 보급률이 높다는 점에서 원격교육체제의 도입여건이 전혀 주어져 있지 않은 것은 아니므로 방송대는 교수요원 및 행정요원에 대한 연수, 교무 및 학생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자문, 교육 프로그램의 협력적 개발을 통한 조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ried for identifying directly the possibilities for DRC to connect to advanced experiences of KNOU in the field of distance education and proposing the strategies related to connection under the theme of 'possibility of cooperation mediated by education between n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related to the cases of Kinshasa University and Open University, undertaking my long-term research study in DRC.
DRC has no experiences of distance education. People live with economically difficulty in the enormous territory, can't fulfil the desire of learning because of absolutely short of vehicles and the number of professors. As an alternative of these problems they may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 that provide opportunity of higher education in the dimension of welfare. In that they have many local campuses, employ many teaching assistants, maintain low intuition fee policy, and have high rate of usage of instruments like cell phone, we can say that they have some conditions of introduction of distance education system. So KNOU may give hands in instruction to teaching and administrative personnels, consultancy of programs related to academic and students affairs, and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