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골분 함유 옻의 경화 특성으로 본 골분의 역할*1) = Study on the Function of Bone Powder in the Drying of Asian Lacquer Containing it
저자
발행기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Properties)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5-223(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옻은 우리나라에서 옛날부터 도료와 접착제로 사용되어 왔다. 옻에 골분을 첨가해 사용 하기도 했는데, 대체로 순수한 옻층보다 골분 함유 옻층이 두껍다. 두꺼운 옻층에 골분이 혼합 되어 있는 이유에 대해 골분 함유 옻의 경화특성 관찰을 통해 고찰한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 여기서는 유리판 사이에서 옻을 자연 경화시켜 옻과 골분 함유 옻의 경화현상을 비교함으로써 골분이 옻의 경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옻만 있는 시료는 일정 두께 이상 경화가 어려 웠고 시료의 안쪽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경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반면, 골분 함유 옻 시료는 순수 옻에 비해 경화가 빨랐으며, 시료의 안쪽까지도 경화가 진행되었다. 골분의 회화 여부, 골분의 크기 및 함량도 옻의 경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경 관찰에서 옻과 달리 골분 함유 옻에 빈 공간이 산재해 있고 바깥표면에 틈새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로부 터 옻에 포함된 골분이 옻층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 통로 형성을 도와 옻의 경화를 촉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Asian lacquer has been used as a paint and adhesive since ancient times in Korea. Bone powder was often added to lacquer, and the lacquer layer containing bone powder is usually thicker than the pure lacquer layer. The reason for using bone powder in a thick lacquer layer has not been studied through experiments until now. In this study, the effect of bone powder on the drying of lacquer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curing behavior of lacquer and bone powder-containing lacquer by naturally curing lacquer between glass plates. The sample with lacquer only was difficult to dry over a certain thickness, and the inside of the sample did not dry even afte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the lacquer samples containing bone powder cured faster than pure lacquer, and the drying progressed even to the inside of the sample. It was found that calcination, size and amount of bone powder also had an effect on drying of lacquer. In microscopic observation, it could be seen that, unlike lacquer, voids existed here and there in the lacquer containing bone powder and there were crevices on the outer layer. From this, it is presumed that bone powder contained in lacquer helps to form an air passage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lacquer layer and promotes the drying of lacquer.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