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유적지 출토 청동용기에서 확인되는 주조와 단조 기술: 경주 망덕사지 출토 청동용 기를 중심으로 = Casting and Forging techniques Found in Bronze vessels Excavated from Mangduksa Temple Site in Gyeongju
저자
발행기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Properties)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4-231(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경주 망덕사지에서 출토된 청동용기 7점의 미세조직 관찰, 성분 분석 및 미소 경도 측정을 통해 제작기술과 기계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했다. 출토 청동용기 중 3점은 주조 기법으로 제작했으며 4점은 열간 단조 후 담금질로 마무리했다. 주조 기법으로 제작한 청동용기 는 Sn의 함량이 약 11∼14 wt%였으며, 단조 기법으로 제작한 청동완은 Sn이 약 21∼23 wt% 검출되었다. 주조 기법으로 제작한 청동용기 중 정병과 발은 Cu-Sn-Pb 3원계 합금이었으며 청동완 5점은 모두 Cu-Sn의 2원계 합금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했다. 이를 통해 Sn의 함량에 따라 제작기술을 다르게 적용한 것을 알 수 있다. Sn의 함량이 20 wt% 내외인 청동완 4점은 취성이 강한 δ상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열간 단조 후 520℃ 이상에서 가열한 후 담금질하였다. 청동용기 7점의 비금속개재물은 Cu-S과 Cu-Fe-S-Se의 계열로 구분되어 생 산에 사용된 구리 광석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주조 기법으로 제작된 청동용기는 단조 기법으로 제작된 용기보다 미소 경도값이 낮아 Sn의 함량과 가공 및 처리에 따라 경도 값이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Metallographic analysis of microstructure, chemical composition and hardness was carried out on 7 bronze vessels from Mangduksa temple site in Gyeongju. Result show that the technology of bronze vessels divided into casting and forging followed by quenching. Tin contents of casting bronzes were around 11∼14 wt%, forging bronzes were about 21∼23 wt% tin. Kundika and dish of casting bronzes were Cu-Sn-Pb alloys and 5 bowl samples were produced using Cu-Sn binary alloy materials. These show that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was applied different depends on the Sn contents. Also 4 bowls of approximately 20 wt% tin were manufactured by forging and quenching at above 520℃ avoid formation of the brittle δ phase. The non-metallic inclusions in the 7 bronze samples are divided into Cu-S and Cu-Fe-S-Se systems, indicating that the copper ore used the production is different. It was confirmed that casting bronze vessels had lower micro-hardness values than forging samples, and that hardness values changed depending on Sn content and processing.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