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원불교 ‘교화(敎化)’ 활성화 방안 모색 - 법인정신(法認精神)의 계승과 연계하여 - = Search for method of activating the missionary work of Won-Buddhism : focusing on the succession of the spirit of the Dharma-authentication prayers
저자
권동우 (영산선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3-178(3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the solution in the religious mind or the “The spirit of the Dharma-authentication prayers” which is the foundation of religious sentiment in Buddhism rather than conventional administrative or practical method.
To overcome the slump in the missionary work, Buddhism installed “3rd Special Design Committee for Religious Body” in 1987 to make changes in the religious policy for the “specialization in the missionary work”. But, instead of leading to the growth of religion, this kind of effort caused a lot of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missionary work of Buddhism.
First, though the specialization in the mission pursues the specialization of the effort of mission through the division of works in the kyodang, it failed, thereby resulting in the despair in the effort of spreading the religion and causing the fixed mission pattern such as focusing on congregation and preaching. Second, the renewal of the titles of clergy trying to focus the “missionary power” on the clergy for the “specialization in the missionary work” for acquiring the uniqueness and specialization ends up with the making the role of layman changed from the initiator of mission to the target of mission. Third, the rite’s devotion or the magnificence of the kyodang space which were tried for the religious enhancement fell into the formalism and the dispute over the ‘title of religious target’ emphasized the transcendence and personality of religious target of Buddhism, thus damaging the religiousness of ‘Everywhere a Buddha Image, Every Act a Buddha Offering’ which is the ideal of Buddhism.
본고는 원불교 교화침체의 문제에 해법을 제시함에 있어 기존의 행정적 또 는 실무적 방법이 아닌 종교적 정신, 특히 원불교 종교성의 가장 근간이 되는 ‘법인(法認)정신’에서 그 해법을 찾아보고자 했다.
원불교에서는 교화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1987년 ‘교단 제3대 설계특별위원 회’를 설치해서 ‘교화전문화’를 위한 교단 정책의 대대적인 변화를 단행했다. 그 런데 이러한 일련의 노력이 오히려 원불교 교화 발전에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 교당교화의 전문화 지향은 교당 내 업무의 분화를 통해 교화 전문성 확보를 추구하지만 결과적으로 실패하면서 교단 전반에 교화에 대한 패배의 식 심화와 법회 중심, 설교 중심의 교화라는 고착된 교화패턴을 낳고 말았다. 둘째, 교화의 고유성과 전문성 확보라는 ‘교화전문화’를 위해 ‘교화권’을 출가 교역자에게 집중하고자 했던 ‘교역자 호칭 정비’는 재가교도를 교화의 주체 세 력에서 교화 대상으로 전락시키고 말았다. 셋째, 신앙성 제고를 위해 시도된 의식의 경건성이나 교당 공간의 장엄 등은 지나친 형식주의에 떨어졌고, ‘신앙 대상 호칭’ 논쟁은 원불교 신앙 대상의 초월성과 인격성을 강조하면서 원불교 가 지향하는 ‘처처불상(處處佛像) 사사불공(事事佛供)’의 신앙성을 훼손하는 결과 를 초래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소태산과 구인제자가 추구했던 ‘무아(無我)’와 ‘공(空)’의 체현을 통해 사념(私念)을 제거하고 그 정신으로 창생을 구제하려 했던 법인정신을 계승하는 것에 의해 교화의 방향을 재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6-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768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