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운용 중 배관 감시 성능 향상을 위한 자기상관함수 기반 두께 측정 기법 = Autocorrelation-based Thickness Measurement for Enhancing Online Monitoring of Pipeline Health
저자
박춘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ESCI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98-204(7쪽)
제공처
배관의 잔존 두께는 배관 시스템 운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최근의 무선통신기술 발달과 초음파 영역대 신호의 측정과 신호처리가 가능한 경량 시스템 개발은 정기적 검사 대상인 배관두께 측정을 운용 중 측정 대상으로 바꾸어 놓았다. 운용 중 환경은 정기 점검에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많은 잡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잡음에 강건한 두께 추정 기법이 필요하다. 특히, 부식의 진전으로 인한 신호의 약화는 이러한 기법의 필요성을 더 크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상관함수(autocorrelation function)를 이용하여 잡음 상황에서도 두께 추정이 가능한지 검토하였다. 자기상관함수가 가지는 신호의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다양한 신호대잡음비의 경우에 제안한 기법과 기존의 기법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부식가속화실험을 수행하여 배관을 실제 부식시킨 시편을 사용하였다. 인위적인 백색잡음을 부여하여 두께 추정을 위한 반사 신호 검출 결과, 신호대잡음비가 - 6 dB인 경우에도 유의미한 반사 신호 관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The remaining thickness of pipes i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in the operation of pipe systems.
Recent advance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lightweight systems capable of measuring and processing ultrasonic signals have shifted pipe thickness measurement from periodic inspections to on-line monitoring. Operating pipeline systems generate considerable noise that does not need to be considered during preventive maintenance, so a noise-robust thickness estimation method is required. In particular, signal weakening due to corrosion progression further emphasizes the need for such a meth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thickness estimation in noisy situations using an autocorrelation function (ACF). We examined the signal characteristics of the ACF and compared the proposed method with existing methods in various signal-to-noise ratio (SNR) cases. To this end, we used pipe specimens corroded through an accelerated corrosion test.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reflected signal for thickness estimation by applying Gaussian white noise, it was confirmed that a meaningful time delay of the reflected signal can be observed even when the SNR is -6 dB.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