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액션(Interaction)적 방법론 관점에서의 그래픽디자인 팝업(Pop-up)표현양식 연구 = A study on the "Pop-up" in the graphic design field through the methodology of graphic interac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58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29(14쪽)
제공처
소장기관
팝업은 아동용 책에서 벗어나 광고 잡지, 장난감등 여러 가지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매체이며 사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기대하지 못했던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함으로 써 시각정보의 전달력과 호소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팝업의 여러 가지 장점 중 참여의 확대, 즉 인터액션에 초점을 맞추었었으며 이러한 팝업에서의 참여는 사용자와 시각정보간의 거리를 줄일 수 있는 매개체역할을 하며 자연스런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와 팝업간의 참여에 따라 팝업의 기법을 정리하고 새로운 형식의 팝업을 제안하였다.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DIY 나 UCC, 프로슈머디자인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의 디자인 참여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의 시대에서 사용자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느냐는 성공적인 디자인 전략의 하나가 될 것이며 이는 곧 사용자의 구매와 호응을 이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DIY팝업은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디자인의 하나로 손으로 직접 조립하고 팝업 디자인에 사용자가 스스로 관여함으로써 수동적이지 않은 적극적인 사용자 참여를 유발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참여하는 창조의 즐거움을 줌과 동시에 기존에 팝업이 가지고 있던 조립공정으로 인한 원가상승을 피할 수 있다. DIY팝업은 사용자와 직접 커뮤니케이션하며 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형식의 인터액션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DIY팝업은 여러 가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방법 중 하나이며 이를 적절히 사용해 보다 높은 시각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Pop-up is a method to contain the possibility to expand its function from juvenile books to diversified categories including advertisement, magazines, and toys. It stimulates users' imagination with unexpected visual pleasure so that visual information appeals to users more efficientl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nteractivity in terms of expansion of users' participation among all strong points, because participations in pop-up functions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users and visual information and lead to natural communication It is certain that the rate of users' participation in design has been increasing as we see DIY, UCC, and Prosumer Design in the limelight. At this point, providing novel and unique experience to users will be the key point of design strategies to bring consumers' response and purchase and in next generation. As the state-of-the art design method, DIY Pop-up is that users are involved in pop-up design process in person, so people are motivated to communicate with original creators directly, which is the new forms of interactivity, In short, since DIY Pop-up contains possibility to be developed in diverse ways, it will enhance the visual effect of content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