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사회불안감이 스마트폰 이용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in smartphone use and addiction focusing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When people experience social anxiety, I want to see how people use smartphones, how many uses and whether influence the smartphone addiction.
      Also suppose that affect the smartphone use and addi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anxiety personality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distinguishing the social anxiety as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Had conducted a survey of 399 people for university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LISREL).
      As a result, the ability anxiety was found to influence the smartphone information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the use degree of smartphone and smartphone functional anxiety addiction. Social relations anxiety was found to influence the smartphone presence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the use degree of smartphone, smartphone functional anxiety addiction and separation anxiety addiction In addition, the smartphone information motivation, presence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affects the use degree of smartphone. The use degree of smartphone was found to influence the degree of smartphone functions anxiety addiction and separation anxiety addi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troversion results according to personality, the ability anxiety was found to influence the smartphone information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the use degree of smartphone and smartphone functional anxiety addiction. The social relations anxiety of extroversion, social relations anxiety was found to influence the smartphone presence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the use degree of smartphone, smartphone functional anxiety addiction and separation anxiety addiction. The smartphone information motivation, presence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of extroversion affects the use degree of smartphone. The use degree of smartphone of extroversion was found to influence the degree of smartphone functions anxiety addiction and separation anxiety addiction.
      In the case of introversion results according to personality, the ability anxiety was found to influence the smartphone information motivation, presence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the use degree of smartphone, smartphone functional anxiety addiction and separation anxiety addiction. The social relations anxiety of introversion, social relations anxiety was found to influence the smartphone presence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the use degree of smartphone, smartphone functional anxiety addiction and separation anxiety addiction. The smartphone information motivation, presence motivation, entertainment motivation of introversion affects the use degree of smartphone. The use degree of smartphone of introversion was found to influence the degree of smartphone functions anxiety addiction and separation anxiety addiction.
      In other words, social anxiety in accordance with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showed differences of smartphone use and addic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is study verify social anxiety affects smartphone use and addiction through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Second, this study has found that new social-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ocial anxiety affecting smartphone use and addiction.
      Third, social anxiety impact on smartphone use and addiction analyze separately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In this study, I empirically confirm that the social anxiety is a key factor influencing smartphone use and addiction.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able to help to prevent and manage problematic behavior such as smartphone addiction.
      Follow-up study, researchers are need to choose the subjects more broadly and expand social anxiety scale.

      더보기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이론을 중심으로 사회불안감이 스마트폰 이용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람들이 사회불안감을 경험하면 스마트폰을 어떻게 이용하며, 얼마나 이용하는지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에까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개인적 성향에 따른 사회불안감이 스마트폰 이용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외향성과 내향성으로 구분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선형 구조방정식 모형(LISREL)을 이용해 분석했다. 그 결과, 사회불안감 중 능력불안감은 스마트폰 정보이용동기, 오락이용동기와 스마트폰 이용정도 그리고 스마트폰 기능불안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불안감 중 사회관계불안감은 스마트폰 존재감이용동기, 오락이용동기와 스마트폰 이용정도 그리고 스마트폰 분리불안중독과 기능불안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정보이용동기, 존재감이용동기, 오락이용동기는 스마트폰 이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며, 스마트폰 이용정도는 스마트폰 분리불안중독과 기능불안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적 성향에 따른 결과로 외향성의 경우, 능력불안감은 스마트폰 정보이용동기와 오락이용동기, 스마트폰 이용정도 그리고 스마트폰 기능불안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성의 사회관계불안감은 스마트폰 존재감이용동기와 오락이용동기, 스마트폰 이용정도 그리고 스마트폰 분리불안중독과 기능불안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성의 스마트폰 정보이용동기, 존재감이용동기, 오락이용동기 역시 스마트폰 이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며, 외향성의 스마트폰 이용정도는 스마트폰 분리불안중독과 기능불안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향성의 능력불안감은 스마트폰 정보이용동기와 존재감이용동기, 오락이용동기, 스마트폰 이용정도 그리고 스마트폰 분리불안중독과 기능불안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향성의 사회관계불안감은 스마트폰 존재감이용동기와 오락이용동기, 스마트폰 이용정도 그리고 스마트폰 분리불안중독과 기능불안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났다. 내향성의 스마트폰 정보이용동기, 존재감이용동기, 오락이용동기도 스마트폰 이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며, 내향성의 스마트폰 이용정도 또한 스마트폰 분리불안중독과 기능불안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적 성향에 따라 사회불안감이 스마트폰 이용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먼저, 사회불안감이 스마트폰 이용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이용과 충족이론이 실제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스마트폰 이용과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불안감이라는 새로운 사회심리학적 요인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세 번째로는 사회불안감이 스마트폰 이용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개인적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 내·외향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감이 스마트폰의 이용과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문제적 행위를 예방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를 더욱 폭넓게 선정하고, 사회불안감 척도를 보완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더보기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목적 및 의의 3
      • 제 3 절 논문의 구성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과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7
      • 제 1 절 이용과 충족이론과 사회불안감 7
      • 1. 기존의 뉴미디어 수용 모델 7
      • 2. 이용과 충족이론 11
      • 제 2 절 사회불안감과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 19
      • 1. 사회불안감 19
      • 2. 스마트폰 25
      • 3. 사회불안감과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 30
      • 제 3 절 개인적 성향 33
      • 제 4 절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36
      • 제 3 장 연구방법 40
      • 제 1 절 자료수집 및 변인의 측정 40
      • 1. 자료수집 40
      • 2. 변인의 측정 40
      • 제 2 절 자료분석 44
      • 제 3 절 변인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44
      • 1. 신뢰도 검증 44
      • 2. 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45
      • 3. 확인적 요인분석 46
      • 제 4 장 연구결과 48
      • 제 1 절 사회불안감과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 48
      • 1. 구조방정식 모형적합도 48
      • 2.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48
      • 제 2 절 개인적 성향에 따른 사회불안감과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 57
      • 1. 외향성의 사회불안감과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 57
      • 2. 내향성의 사회불안감과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 66
      • 3. 개인적 성향에 따른 연구결과 비교 75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78
      •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78
      • 제 2 절 연구의 함의 82
      •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83
      • 참 고 문 헌 85
      • 부 록 95
      • Abstract 111
      더보기
      • 1 이학식, 임지훈, "SPSS14.0매뉴얼", 서울:법문사, 2009
      • 2 최현철, "사회과학 통계분석", 서울:나남출판, 2013
      • 3 이정춘, "커뮤니케이션 과학", 서울:나남출판, 1994
      • 4 김성곤, "21세기 문화와 세계화의 과제", 사회과학원, 사상,48,pp.26-44, 2001
      • 5 차배근,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 나남출판, 서울:나남출판, 1999
      • 6 김지훈, "사이버 환경에서의 보안위협", 『정보보호학회지』,20(4),pp.11-20, 2010
      • 7 박창호 ( Chang Ho Park ), 강희양,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31(2),pp.563-580, 2012
      • 8 김범석, "스마트폰, 모바일생태계 바꾼다", (2010, 2, 11)《동아일보》http://news.donga.com/3/all/20100210/26091640/1, 2010
      • 9 이상은, "고도 경제불황기의 복지정책의 방향", 한국사회보장학회, 『한국사회보장학회정책토론회자료집』,pp.111-133, 2009
      • 10 허경호, 안선경, "개인의 성격과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48(2),pp.321-345, 2004
      • 11 박웅기, "대학생들의 이동전화 중독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47(2),250-281, 2003
      • 12 김동현, "실체적 속성으로서의 진리의 개념과 역할", 한국논리학회, 『논리연구』,15(1),pp.53-83, 2012
      • 13 박수애, 이혜진, 이재창, 홍영오, 송관재, "“한국 사회의 사회적 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12(1),pp.129-160, 2006
      • 14 김정기, "대학생 수용자의 텔레비전 시청 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35,pp.37-70, 1995
      • 15 홍재욱, 김재휘, "인터넷 이용자들의 동기와 사이트 이용행동",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광고』,1(2),pp.25-46, 2000
      • 16 문한국, 함경현, 김규원, 권환일, "“개인의 성향을 반영하는 Customizing Keyboard”", 대한산업공학회, 『대한산업공학회:추계학술대회논문집』,pp.1307-1404, 2013
      • 17 김왕배,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안전의식 조사연구”", 국무총리실 안전관리개선계획단, 2002
      • 18 이선영, "“스마트폰이 이동통신사 실적에 미치는 영향”", 『정보통신정책연구』,통권464호, 2009
      • 19 양희조, "“스마트폰 이용자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20 안재현, 김미경, 민병현, "멀티 플랫폼에서의 콘텐츠 이용 행태에 대한연구", 동서언론학회, 『동서언론』,16,pp.189-217, 2009
      • 21 박용민, "성인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22 김수연, 황현석, 이상훈, "스마트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관한 연구", 『EntrueJournalofInformationTechnology』,10(1),pp.29-39, 2011
      • 23 김은미,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매스미디어 이용”", 성곡언론문화재단, 『언론과사회』,10(4),pp.121-151, 2002
      • 24 이선자,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과 성격 특성 간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15(2),pp.323-345, 2013
      • 25 김정환, 정세훈, 김형지,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 요인과 이용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29(4),pp.55-93, 2012
      • 26 김범준, 최인철, 이종택, 박수애, "한국 사회 불안 수준의 변화 : 개인 표상과 사회 표상",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22(1),pp.23-41, 2008
      • 27 박수애, 송관재,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11(2),pp.1-29, 2005
      • 28 성동규(Doung-Kyu Sung), 조윤경(Yun-Kyoung Cho), "이동전화 이용자의 집단적 특징에 따른 이용 유형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46(6),pp.153-190, 2002
      • 29 김정기, "“미디어 효과의 촉진제와 억제제로서의 수용자 활동”", 『언론과 사회』,7,pp.5-45, 1994
      • 30 배재권, 정화민, "스마트폰의 기능적 속성이 채택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e-비지니스 연구』,9(4),pp.337-361, 2008
      • 31 김병년, 최홍일, 고은정,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70,pp.67-98, 2013
      • 32 강명신, "“텔레비전의 기능적 대안으로서 인터넷방송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46(1),pp.9-38, 2001
      • 33 김진화, 유철하, 김세준, 권두순, "“자기결정성 요인이 스마트폰 몰입과 충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지』,16(4),pp.197-220, 2011
      • 34 최환진, "대학생의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동기와 이용 과정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17(3),pp.225-248, 2006
      • 35 정은주, "“가족중심실천에 관한 중요성인식과 현재실천의 차이 연구”", 『한국가족복지학』,16(2),pp.67-93, 2011
      • 36 박주연, 김정섭(Jeong-Seob Kim), "“지상파TV 주시청시간대 프로그램의 포맷 다양성 변화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56(1),pp.289-313, 2012
      • 37 김수현, "스마트폰에 대한 지각특성이 스마트폰 채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0(9),pp.318-326, 2010
      • 38 문소현, 조헌하, "“성별에 따른 학령기 후기 아동의 자기유능감,사회불안,우울”", 아동간호학회(구 대한아동간호학회), 『아동간호학회지』,16(3),pp.230-238, 2010
      • 39 박수애, 홍영오, 송관재, "“사회적 상황에서의 사회적 불안의 실태와그 특성에 관한 연구”", 학술진흥재단, 2004
      • 40 손승혜(Seunghye Sohn), 최윤정(Yun Jung Choi), 황하성(Ha Sung Hwang),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韓國言論學會, 『한국언론학보』,55(2),pp.227-251, 2011
      • 41 이민석, 신호경, 김흥국, "모바일 사용행동에 대한 실증연구-스마트폰사용 중독을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화정책』,18(3),pp50-68, 2011
      • 42 안수근, 정용조, 이준호, "“청소년들의 이동전화 이용행태와 사회심리적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27,pp.247-282, 2004
      • 43 양일영(Ilyoung Yang), 이수영(Sooyoung Lee), "이용 동기에 기반한 스마트폰 초기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韓國言論學會, 『한국언론학보』,55(1),pp.109-139, 2011
      • 44 강지선, "PC통신 이용자들의 고독, 사회불안 및 대처방식과 통신중독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9
      • 45 나은영, 은혜정, "인터넷에서 추구하는 충족(GS)과 획득된 충족(GO) 및 이용행동 간의 관계",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46(3),pp.214-251, 2002
      • 46 이용일, "“스마트폰 유통에 따른 대학생의 기술 수용의도 및 충족에관한 연구”", 『유통경영학회지』,13(5), pp.93-110, 2010
      • 47 이미현, "청소년의 성에 따른 완벽주의 및 부모․또래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75,pp.87-112, 2014
      • 48 박종민, "휴대전화, 인터넷, 텔레비전의 미디어 속성 차이와 이용 동기 요인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47(2),pp.221-249, 2003
      • 49 심미선, 김은미, 이준웅, "다매체 이용자의 성향적 동기: 다매체 환경에서 이용과 충족 이론의 확장",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50(1),pp.252-284, 2006
      • 50 이지민, 최선윤, "어머니의 우울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17(5),pp.835-845, 2008
      • 51 유양숙, 황경혜, 조옥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상지통증,불안,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2(10),pp.365-562, 2011
      • 52 조성경, "에너지믹스 이해관계자의 스키마 유형 연구: 원자력 위험인식과 커뮤니케이션", 고려대학교 언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2
      • 53 김기연, 이종훈, 이봉규, 여윤기, "신뢰와 인지적 몰입 매개변수가 스마트폰의 사용과 충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17(6),pp.471-480, 2010
      • 54 강주연,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2
      • 55 서정화, "“스마트폰 뉴스 애플리케이션 이용 동기 및 이용이 뉴스앱충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 56 곽규태(Kyutae Kwak), 최세경(Se Kyoung Choi), 황준석(Junsuk Hwang), "스마트폰의 품질 인식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 동기의 조절효과에 대한 고찰",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25(6),pp.7-51, 2011
      • 57 구세희, "스마트폰의 애착 형성 요인과 중독 경향성에 관한 연구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 58 김공, 장성필, 안효자, 박은석, 김현미, "중ㆍ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신체화 및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18(4),pp.43-56, 2009
      • 59 이윤형, "“외-내향성과 대인관계 수준,이상적-현재적 자기개념의 갭이 SNS사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10,pp.140-149, 2011
      • 60 안성희, 하정희, "“대학생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부정적 정서와 사회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18(12),pp.101-129, 2008
      • 61 조유제(Yoo Jae Cho), 최정일(Jeongil Choi),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지각된 특성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한국 IT 서비스학회지』,10(2),pp.41-60, 2011
      • 62 이선경, "“한국인의 이동전화 이용동기와 이용행위에 대한 연구:세대와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연구소 (구)고려대학교 신문방송연구소, 『커뮤니케이션과학』,23,pp.191-220, 2004
      • 63 현용호, "축제 방문동기 집단에 따른 관광지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19(3),pp.21-38, 2010
      • 64 김다영, "스마트폰 뉴스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에 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이론과 기대가치이론을 바탕으로", 건국대학교 언론 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65 강재원, 우공선, "이동형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이용 충족, 의존, 그리고 문제적 이용 : 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28(4),pp.89-127, 2011
      • 66 김의철, 박영신,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신뢰:청소년과성인의 지각을 통해 본 토착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10(3),pp.103-129, 2004
      • 67 김영주, 정재민, 이은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채택과 이용:이용정도,지속이용의사,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55(6),pp.227-252, 2011
      • 68 성동규, 임성원, "“수용자 특성에 따른 모바일미디어 콘텐츠 활용 연구:위성 DMB 초기 수용자의 이용 행태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20(1),pp.139-178, 2005
      • 69 김주란, 최영균, 이기훈, "“광고매체로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동기와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정보기술수용모델의 확장”", 한국광고홍보학회 ( 구 한국광고교육학회 ), 『광고연구』,89,pp.229-254, 2011
      • 70 김성개, "사용자 환경과 스마트폰 특성 요인이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 71 박인곤, 신동희,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의존도,수용자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충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10(4),pp.192-225, 2010
      • 72 배진한, "“공적공간의 유형과 성별ㆍ연령ㆍ라이프스타일 등 수용자의인적 속성이 모바일콘텐츠 이용에 미치는 영향”", 『언론 과학 연구』,6(4),pp.133-171, 2005
      • 73 김홍천, "온라인게임 이용자의 중독적 이용에 관한 연구 : 온라인게임 '리니지' 이용자의 이용유형에 따른 충족욕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 74 최윤정, 황하성, 손승혜, "마이크로 블로그 이용, 네트워크 크기, 현존감, 사회자본 간의 영향관계 분석: 결속형, 교량형, 혼합형 이용자 집단 간 비교",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28(3),pp.77-11, 2011
      • 75 김동일, "“스마트 미디어를 통한 방송 콘텐츠 이용동기와 이용충족에 관한 연구:방송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영상 콘텐츠 소비를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 76 신철호, 양윤선, "“휴대전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기술 특성 및 기술 UI수용과 관련한 사회적 요인이 소비자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TAM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38,pp.1-20, 2011
      • 77 박인곤, "“한국인 미국 유학생과 미국인 대학생의 인터넷 이용에관한 연구:이용과 충족이론을 이용한 요인분석과 미디어 대체이론을 적용하여”", 한국 커뮤니케이션 학회 가을철 학술대회,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