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형 소아 환자 분류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및 간호시간 환산지수 산출 연구 =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Pediatric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Estimation of Nursing Time Conversion Index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Pediatric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KPPCS) and estimate nursing time conversion index.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in 9 children’s hospital which included various areas and size of bed settings. To verify intraclass correlation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staff nurses and nurse managers of 21 wards classified 575 patients according to KPPCS comparing differences by age, days of stay, type of stay and medical department. Direct and indirect nursing time of 575 patients were measured by 284 nursing staffs by stopwatch observation and self reports for 24 hours. Results: KPPCS has 12 categories, 55 nursing activities and 80 criterions. High agreement among nurses (r=.91, p<.001) suggested substantial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by comparing differences in age, days of stay, type of stay and medical department (p<.05). The correlation of nursing time and classification sco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r=.59, p<.001). The nursing time conversion index was 10.78 minutes per 1 classification score. The entire patient group were classified to four groups using KPPC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KPPCS would be a useful tool for estimating nursing demands related to the complexity of pediatric patients.
더보기목적: 본 연구는 한국형 소아 환자 분류도구(KPPC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간호시간 환산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는 다양한 지역과 병상 규모를 포함한 9개의 어린이병원에서 수행되었다. 소아 환자 분류도구의 조사자 간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21개 병동의 간호관리자와 간호사가 시행한 575명의 환자분류 자료를 분석하였고, 구성타당도 검증은 환자분류 조사 당일의 환자 집단의 나이, 재원일수, 재원 형태(재원 중, 응급실 입원, 외래 입원, 퇴원), 진료과 등을 집단 비교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575명의 환자에게 제공된 직접 간호시간과 간접 간호시간은 284명의 간호직원들이 하루 동안 스톱워치를 이용한 자가보고를 통해 측정되었다. 결과: 개발된 한국형 소아 환자 분류도구는 12개 영역, 55개 간호활동, 80개 항목과 적용지침으로 구성되었다. 조사자 간 신뢰도는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r=.91, p<.001), 연령과 재원일수, 재원 형태와 진료과별 환자분류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다(p<.05). 간호시간과 환자분류점수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r=.59, p<.001), 환자분류점수 1점당 간호시간 환산지수는 10.78분으로 나타났다. 최종 KPPCS 환자분류군은 4개군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KPPCS는 소아 환자의 복합성에 대한 간호 요구도가 반영된 유용한 환자분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4-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Clinical Nursing Research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7-3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임상간호사회 -> 병원간호사회영문명 : 미등록 -> Hospital Nurses Association | KCI등재 |
2005-05-2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임상간호연구외국어명 : Clinical Nursing Research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4 | 1.04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4 | 1.23 | 1.94 | 0.1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