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간 본성에 대한 뒤르케임의 이해와 범죄학 이론의 가정 = Durkheim’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Assumptions in Criminological Theories
저자
신동준 (국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99-235(37쪽)
제공처
이 글은 일탈과 범죄를 설명하는 이론이 취할 수 있는 타당한 가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에밀 뒤르케임의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에서 찾아보려고 한다. 인간 본성에 대한 뒤르케임의 이해에 기초하여 그동안 논쟁의 중심에 있었던 범죄학 이론의 가정들을 정리하려는 시도이다. 뒤르케임은 본성에서의 유전적인 개인 차이를 인정했지만, 이러한 개인 차이는 인간 본성의 일반적 성향에서 보이는 매우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의 차이일 뿐으로 보았다. 뒤르케임이 보는 인간 본성은 이중적이면서 모순적인, 그러면서도 상호 필수적이고 보완적인 성질을 갖는다. 뒤르케임은 이를 인간 본성이 개체적인 부분과 사회적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설명한다. 개체적 본성은 종으로서의 인간이 자연적으로 타고나는 본성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본성은 이중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사회적 본성의 맹아는 자연적으로 타고나며, 사회의 영향으로 이 본성은 발현되어 완전한 의미의 인간 본성이 실현되는 것이다. 뒤르케임은 종으로서의 인간 본성 중에 사회적 본성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잠재되어 있다고 봤다. 생물학적으로 주어진 본성의 부분에도 사회적 부분이 있다. 그리고 사회적 부분은 생물학적 부분을 넘어서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개체적 부분과는 분명히 구분된다. 인간은 그 본성상 욕구의 끝이 없으면서 그에 대한 사회적 제한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그래서 뒤르케임이 볼 때 인간 본성의 사회적 부분은 자연적인 인간 본성의 일부이다. 이기심과 이타심 역시 지향하는 방향만 다를 뿐 인간의 심리학적 본성 깊숙이 공존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 두 유형의 정서는 다르지만 분리할 수 없는 본성의 두 측면을 표현한다는 것이다. 뒤르케임의 인간 본성에 대한 설명이 정답이 아닐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범죄학 이론들이 가정하는 단순한 인간 본성 가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존 이론의 해석과 이에 기반한 이론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 매우 유용한 참고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
더보기This article examines Émile Durkheim’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to reinterpret the assumptions underlying theories of deviance and crime. It attempts to organize some of the most controversial assumptions of criminological theory based on Durkheim’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Durkheim recognized hereditary individual differences in nature, but he saw these differences as very limited variations in the general dispositions of human nature. For Durkheim, human nature has dual, contradictory, yet mutually essential and complementary qualities. He recognized that human nature is composed of an individual and a social part. The individual nature is what we, as a species, are naturally born with. Social nature is understood as having a dual nature. The embryo of social nature is naturally given and is expressed under the influence of society, and human nature in its fullest sense is realized. Durkheim believed that within our nature lies the crucial element that enables the formation of a social nature. The biologically given part of our nature also has a social part. And the social part has a nature that goes beyond the biological part and is clearly distinct from the individual part. The social part of human nature, in Durkheim’s view, is a natural part of human nature because human desires are endless in nature and at the same time naturally accept social restrictions on them. Egoism and altruism are also deeply embedded in human psychology, just in different directions. These two types of emotions express two different but inseparable aspects of human nature. Durkheim’s explanation of human nature may not be the correct one. However, it serves as a valuable reference for analyzing and further developing criminological theories. By challenging the simplistic assumptions about human nature in criminological theories, it offers a more nuanced foundation for theoretical advancement.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