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북한의 민요식 노래와 민족장단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7-180(34쪽)
KCI 피인용횟수
12
제공처
본 논문은 조선민족음악전집-민요풍의 노래편 1에 수록된 479곡을 대상으로 북한의 민요식 노래에 적용된 장단 리듬형에 대하여 검토한 글이다. 북한의 민요식 노래에 사용된 장단의 유형을 검토해 본 결과 2소박 계통의 장단 리듬형은 휘모리장단과 안땅장단이며, 두 장단 모두 1970년대 이후 새롭게 부각되어 많이 사용되었다. 3소박 계통의 장단 리듬형은 양산도장단(세마치장단)과 굿거리,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타령장단이 민요식 노래에 사용되었고, 도드리장단, 혼소박 장단인 엇모리장단이 남한과는 달리 북한에서는 민요식 노래에 꾸준히 적용되어 왔음을 보았다.
다음으로 북한에서 새롭게 만들어서 사용하는 장단형으로 서정장단과 덩덕궁장단, 그리고 두 개의 장단을 붙여서 새롭게 만들어 낸 혼합장단형인 안땅․휘모리 혼합장단과 반굿거리․반살풀이 혼합장단이 민요식 노래에 사용되었음을 보았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성악에 많이 적용되었던 장단인 굿거리와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장단 외에 휘모리, 안땅, 세마치와 엇모리, 도드리장단이 부각되었고, 서정장단
과 덩덕궁장단 등이 새롭게 만들어져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60년대까지 사용된 민요식 노래의 장단은 일제강점기의 신민요 장단 리듬형에서 서구식의 리듬형이 제외된 3소박4박자 형태의 장단인 굿거리와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장단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주체사상 확립 이후인 1970년대 이후에는 이러한 전통장단이 퇴조하면서 신민요에서 많이 사용된 리듬인 왈츠와 같은 느낌의 서정장단이나 트로트 리듬과 비슷한 안땅장단이 대거 수용되었으며, 이전에는 잘 사용하지 않던 양산도, 엇모리, 도드리장단과 혼합장단들이 김정일이 좋아하는 “가볍고, 섬세하며, 우아하고, 부드러우며, 율동적”인 정서를 대표하면서 민요식 노래에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view of the rhythmic patterns applied to the folk song styled songs in North Korea especially about 479 songs from “The complete series of Choseon national music-Folk song styled songs chapter 1.”
After reviewing the national rhythmic patterns used in the folk song styled songs in North Korea, I found that the ‘Two Sobak series’ rhythmic patterns are Whimori rhythmic patterns and Andang rhythmic patterns, both of which emerged after 1970s and became popular in North Korea area.
Through this study I was confirmed that such characteristic folk styled rhythmic patterns as Yangsando rhythm(Semachi rhythm), Gudgeori, Jungmori, Jungjungmori, Jajinmori, Taryeong rhythm, Dodri rhythm and Eonmori rhythm which is the mixed Sobak rhythmic pattern have been steadily applied to folk song styled songs in North Korea unlike in South Korea.
Next, I realized also that those newly created rhythmic patterns in North Korea of Seojeong rhythm, Deongdukkung rhythm, and two mixed rhythm named Andang-Whimori and Bangudgeori-Bansalpuri which were created with the Seojeong rhythm and Deongdukkung rhythm have been used in the folk song styled songs in North Korea.
These facts show that Whimori, Andong, Semachi, Eonmori and Dodri rhythmic patterns as well as those rhythmic patterns of Gudgeori, Jungmori, Jungjungmori and Jajinmori which were traditionally used in vocal music were newly magnified and we can see that Seojeong rhythm and Deongdukkung rhythm were created and used of the music newly.
By the time of 1960s, most of the rhythmic patterns used for national folk styled songs were Gudgeori, Jungmori, Jungjungmori and Jajinmori rhythm, western rhythmic patterns being excluded from New national rhythmic pattern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d era. In contrast, after 1970s when Juche ideology was established, those traditional rhythm patterns declined, but Seojung rhythm, which has waltz-flavored and was used frequently in Sinminyo, and Andang rhythm, which is similar to trot rhythm, were very popular.
Also, this study checked that Yangsando, Eonmori, Dodri rhythm, which were formerly used rarely, and mixed rhythms were applied to minyosic norae, representing light, delicate, elegant, soft and rhythmic emotions Kim Jeong-il favour.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3-01-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우리춤연구 -> 우리춤과 과학기술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6-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양우리춤연구소 -> 우리춤연구소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 HanYang Univ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 | 0.5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