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DMB TV와 고정형 TV의 광고에 대한 태도 비교 분석 = An Investigation of General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 DMB TV compared to Immobile TV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26.1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9-54(26쪽)
KCI 피인용횟수
17
제공처
The rapid growth of DMB requires research on consumers’general perceptions an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since these affect attitude toward individual advertisements. The main aim of this exploratory study was to capture the influence of consumers’perception on general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 DMB TV compared to Immobile TV. Consumers’perception of the advertising in Immobile TV and DMB TV was recognized to be consist of three factors, including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and irritation. The results show that Immobile TV generated more positive appreciation in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irritation, and Aad than DMB TV. And the hypothesized model of consumers’perception and its role as an antecedent of overall Aad are confirmed. The entertainment was the strongest predictors of general Aad in both media. And the next strong predictors was irritation of advertising. However, the diverse influence of consumers’perception on general Aad existed between DMB TV and Immobile TV. Given that there are very few published studies on DMB advertising, this exploratory research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in this area.
더보기본 연구는 고정형 TV 광고와 비교할 때, 소비자들이 DMB TV 광고에 대해 어떠한 인식과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DMB TV 광고에 대한 인식(정보성, 오락성, 짜증)이 전반적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고정형 TV와 DMB TV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일반적인 태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고정형 TV 광고가 DMB TV 광고보다 정보성, 오락성이 높으며 덜 짜증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광고 태도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고정형 TV 광고와 DMB TV 광고 태도에 대한 3가지 광고 인식의 영향력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매체 모두 소비자들의 광고 태도 형성에 있어 오락성의 영향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짜증과 정보성이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각 광고 인식의 영향력 정도는 매체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고정형 TV 광고 태도에서는 다른 광고 인식에 비해 오락성의 영향력이 컸지만, DMB TV 광고 태도에서는 고정형 TV에 비해 짜증과 정보성의 영향력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DMB 관련 광고 자료가 부족한 실정에서 광고 인식과 광고 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결과는 광고주와 방송 사업자에게 어느 정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0-01-01 | 평가 | 학술지 폐간(기타) | |
2006-07-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광고연구</br>외국어명 : Advertising Research | KCI등재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