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몽골시대 高麗의 王命 = Royal Commands of Goryeo in Era of Mongol Empire
저자
심영환 (한국학중앙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5-152(38쪽)
KCI 피인용횟수
6
제공처
The Goryeo Dynasty in the era of the Mongol Empire had dual-conceptualized standings especially in terms with the Empire; more specifically, although it was a 'nation' externally having an autonomous ruling power (or sovereignty, 社稷), Goryeo was, in the inner manifestation, a güregen(駙馬) that constituted a part of Dai Ön Yeke Mongghol Ulus, being in a status of imperial son in law through marriage with a princess of the Empire's royal family.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ryeo and the Mongol was clearly far from that with the earlier Chinese dynasties being characterized by investiture and tribute, which meant that the Goryeo's political system including its administrative system was mandated to be in accord with that of the Empire.
The Goryeo Dynasty in the era of the Mongol Empire replaced Sun-ji(宣旨) used up to then to Wang-ji(王旨), submitting to condemning pressure by Darughachi, executive officials designated by the Empire, where the former indicated an emperor's wishes issued by Chumil-won(樞密院, an advisory board to aid king) existing from the end of Tang Dynasty through Five Dynasties and North Song Dynasty. The Goryeo, taking Chumil-won of the North Song into consideration, established Jungchu-won(中樞院) through which Sun-ji was thought to be introduced. As the term Wang-ji was adopted by a king of the Goryeo Dynasty as mentioned above, orders of precedent kings or kings Shim(瀋王, a king forced to stay in China or Mongolia as a sort of hostage) were called Gyun-ji(鈞旨).
The term corresponding to emperor's order or wish in the Mongghol Era was ‘ǰarliq’ in Mongolian, matching with Sung-ji(聖旨) in Chinese character or In-seo(詔書) when written in an imperative statement. Meanwhile, an order or wish commanded by an empress was in Chinese expressed as Eui-ji(懿旨); similarly, Young-ji(令旨) in the case of emperor's son (crown prince), Beop-ji(法旨) in the case of Jesa(帝師) and Gyun-ji(鈞旨) in the case of prime minister and king's son-in-law. Despite being different in terms of Chinese characters, they all equivalently meant ‘üge(言語)’ in Mongolic. In this sense, it can be known that such terminology used in Goryeo as Wang-ji and Gyun-ji be identical to Mongolian ‘üge’.
There remains three pieces of scripts documenting the achievements of meritorious retainers from which orders of kings in the Goryeo Dynasty can be paleographically investigated. These documents were made following the Mongghol Empire's documental style. More strictly, they borrowed Gidu words(起頭語) that were typical in ancient Mongolian imperative sentences citing as ‘皇帝福廕裏(in the emperor’s grace)’. Nevertheless, the Goryeo Dynasty did not adopt the writing style of the Mongghol Empire called as Jikhaeche in a Mongolic language. Namely, main texts of the archive containing records about vassals of merit were made up with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by particularly conforming to the‘詔書’ style in terms of their Gyeolsa(結辭), an expression in the Chinese language style for delivering Sung-ji(聖旨, ǰarliq), which had been popular since Qubilai Khan. In other words, it could be concluded that documents with regards to meritorious retainers of the Goryeo Dynasty in the era of the Mongol Empire be written in ‘üge(言語)’ as part of Wang-ji. Since then, the Goryeo Dynasty once again pursued a new writing style for documentation amid the complicatedly developing foreign situations from anti-Won policy by King Gongmin to emergence of the Myung Dynasty and correlation with the North Won Dynasty in China.
몽골시대 고려는 몽골제국(Mongghol Empire)의 외연에서는 자주적인 사직(社稷)을 가지고 있는 ‘國’이었지만, 내부에서는 공주(公主)의 강가(降嫁)를 통한 대몽골 울루스(Dai Ön Yeke Mongghol Ulus)의 일원인 부마(駙馬, güregen)라는 이중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몽골과 고려의 관계는 기왕의 중국의 왕조와 맺었던 책봉(冊封)과 조공(朝貢)의 형태와는 달랐고, 관제(官制)를 비롯한 정치구조는 몽골제국을 따를 수밖에 없었다.
몽골시대 고려는 몽골의 행정감독관인 다루가치(darughachi, 達魯花赤)의 힐난에 따라 기왕에 사용하던 선지(宣旨)를 왕지(王旨)로 고쳤다. ‘宣旨’란 만당(晩唐)에서 오대(五代)와 북송(北宋)을 거쳐 형성된 추밀원(樞密院)에서 발령하였던 황제의 의지(意志)를 말한다. 고려는 성종 10년(991) 10월에 북송의 추밀원을 참작하여 중추원(中樞院)을 설치하였고, 이를 통해 ‘宣旨’를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는 국왕이 ‘王旨’라는 명령을 국왕의 의지로 채택하자 상왕(上王)이나 심왕(瀋王)은 균지(鈞旨)라는 명령을 사용하였다.
몽골시대 황제의 의지는 ‘ǰarliq’인데 이를 한자어로는 성지(聖旨)라 하고, 한어체로 명령문을 작성할 때는 ‘詔書’라고 하였다. 이에 반해, 황태후의 의지(懿旨), 황태자의 영지(令旨), 제사(帝師)의 법지(法旨), 재상과 부마의 균지(鈞旨)는 한자어는 달라도 모두 몽골어 ‘üge(言語)’의 이칭이었다. 그러므로 몽골시대 고려 국왕의 ‘王旨’와 상왕과 심왕의 ‘鈞旨’는 모두 몽골어 ‘üge’의 이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몽골시대 고려국왕의 명령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는 공신문서 3점이 전사본으로 남아 있다. 이들 공신문서는 몽골의 문서양식을 차용하여 작성되었다. 곧, ‘皇帝福廕裏(황제의 福廕에)’라는 전형적인 몽골 명령문의 기두어(起頭語)를 차용하고 있다. 그런데 고려는 ‘몽골어 직해체’라는 몽골시대 문체(文體)를 수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공신문서는 본문은 한어체로 작성되었고, 결사(結辭) 또한 세조 쿠빌라이(Qubilai) 이후 확립된 성지(聖旨, ǰarliq)의 한어식(漢語式) 양식인 ‘詔書’ 양식을 차용하여 작성하였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몽골시대 고려국왕의 공신문서는 ‘王旨’의 일종으로 ‘üge(言語)’의 한 종류였던 것이다. 이후, 고려는 다시 공민왕대의 반원정책에 이어서 명(明)나라의 등장과 북원(北元)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문서 양식을 도모하였던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8-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태동고전연구 제24집 -> 태동고전연구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6 | 1.754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