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成人女子의 衣服構成을 爲한 人體計測 : 都市職業女性을 中心으로 Mainly with woman workers in Seoul Area = A Study on the Body Measurement of Korean Woman for Clothing Construction
저자
宋美令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대학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74
작성언어
Korean
KDC
592.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9-63(15쪽)
제공처
소장기관
依服構成에 必要한 値數設定과 體型의 把握을 위하여 韓國中年女性을 對象으로 人體計測을 實施하였다. 被計測者는 서울市內에 分布한 大學校, 中高等學校, 國民學校에 在職하고 있는 女子校職員 中에서 205명을 年齡 21歲부터 55歲까지를 計劃對象으로 擇하였다.
計側項目은 長育項目이 22項目, 周育項目이 27項目, 幅育項目이 7項目, 厚育項目이 6項目 그리고 體重과 肩傾科角등 總64個項目이며 이것을 測定하여 다음과 같은 算出을 하였다.
1) 平均値, 標準偏差, 指數値의 算出.
2) 不動姿勢와 流動姿勢를 計測한 것으로써 身體活動 變化率 卽 餘裕分 算出.
3) 全項目의 相關關係와 衣服構成에 必要한 項目 相互間의 相關關係의 値數算出.
4) 現 原型構成法의 妥當性 與否를 分析, 이의 結果 等은 다음과 같다.
被計測者의 職場이 서울市內를 主로 擇하였으므로 成長地 역시 서울特別市가 10個 市道中에서 79.0%로 一位를 차지하고 있으며 年齡은 26歲에서 30歲 사이가 24.4%를 全體에 對한 旣婚人 65.4%中에서 子女數 分布는 2名을 가진 사람이 32.1%, 3名을 가진 사람이 25.4%를 차지하므로 理想的인 子女數는 2∼3名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平均値算出의 結果 中年期의 女性은 靑年期의 女性과 달리 身體의 Proportion이 變하여 身長에 比해 幅育項目과 周育恒目이 增加한 것을 알 수 있었다.
職業女性을 爲한 衣服構成에 있어서는 活動面을 重視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身體의 流動姿勢를 計測하여 活動時變하는 部位의 變化量을 衣服의 餘裕分으로 주므로서 活動時 着用하고 있는 衣服의 均衡이 깨지는 것을 防止할 수 있는 機能的인 衣服을 製作할 수 있을 것이다.
全項目 相互間의 相關關係로서 體型의 區分을 把握할 수 있었다. 卽 長과 高 項目은 比較的 身長과의 相關이 높았으므로 衣服의 길이 決定은 身長에 따라 定해 진다고 볼 수 있으며 周와 幅 項目은 胸圍와의 相關이 比較的 높았으므로 衣服의 품(둘레)決定은 胸圍에 따라 定해 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硏究結果 얻어진 것을 基礎로 職場女性들이 주로 着用하는 衣服中에서 Two piece dress를 擇하여 이의 製作時 必要한 項目 相互間의 相關關係値算出로 衣服과 着衣者의 身體的 特性과의 關係를 알 수 있었으므로 機能的인 Two piece dress製作에 도움이 될 줄로 믿는다.
위와 같은 方法으로 現在 우리가 使用하고 있는 原型構成法이 胸圍와 背長을 基準項目으로 定한 根據가 妥當하다고 나타났고 反面 頸圍, 前長, 乳頭間幅, 背肩幅 등은 胸圍와 背長과의 相關關係가 낮으므로 胸圍値數로서 等分하는 것은 無理가 간다. 그러므로 衣服構成時, 個個人의 別途計測을 必要로 하는 恒目임을 알 수 있었다.
Pryscial measurements of Korean middle-aged women were made to determine a body size and to prepare for a pattern.
Those measured represented 205 woman-tea-ching staffs, aged 21 to 55, of college, middle of high schools and primary schools located in Seoul city.
The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for total 64 items; that is, 22items in length, 27 in circumference, 7 in width, 6 in thickness, weight and shoulder inclination.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parts respectively;
1) Calculation of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hysical index.
2) Calculation of amount of allowance by measuring the difference of size between the moving posture and unmoving one.
3) Calculation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ody demension, particularly necessary for clothing construction.
4) Discussion of the propriety of present method of pattern construction.
The results investigated were as follows; Of the total women measured, those from Seoul constituted the largest number of 79.0%.
Subjects pf 26-30 years old women were occupied to 24.4% and the perceniage of the marrid was 65.4%.
From the fact that 32.1% of the women measured had 2 children and 25.4% of those had 3 children,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may be considered to be 2 or 3.
The measurement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circumferences and widths of middle-aged woman were more increased, than those of young ones in relative with stature.
In clothing construction for woman workers, the consideration for physical activity must be made. Therefore, by adding the(amount of) allowance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moving posture and body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clothing.
The regression equation calculated from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dimension in question make it possible determine the physique of a certain pers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relatively large within items of length and height. Thus, the length of clothing may be determined mainly by the stature.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circumferences and widths to bustcircumference were relatively large, therefore the circumferences may be determined by bust circumference.
It was believed that the relation between clothes and the wearer can be rationalized by consider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demensions necessary for clothing.
Correlations of dimensions necessary for suits dress, the most common were for middle-aged woman worker, were analyzed.
Depending on this result, bust circumference and center back length appeared to be valid as the basic demensions for pattern construction of suits dress as is the present method, but neck bace girth, front shoulder height, binipple breiadth, and shoulder breadth must be measured sndividually for each person to make clothes uitable for that person, since the correlations of these dimensions to bust circumference and center back height are considerably low (lower than 0.4).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