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2 스타일의 아키텍쳐 기술을 지원하는 ADL 지원도구의 개발 = Development of an ADL tool set that supports the description of C2-style architecture
저자
신동익 ; 노성환 ; 최재각 ; 전태웅 ; 이승연 ; Sin, Dong-Ik ; No, Seong-Hwan ; Choe, Jae-Gak ; Jeon, Tae-Ung ; Lee, Seung-Yeon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구)KCI등재(통합)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45-656(12쪽)
제공처
최근,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 생산성, 그리고 품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CBD:Component-Based Development) 방식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CBD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응용 컴포넌트들이 서로 정확하게 결합하여 작동할 수 있는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하여 컴포넌트의 생성과 합성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는 아키텍쳐 기술 언어(ADL:Architecture Description Language)를 사용하여 기술되어야 정확하고 엄밀한 아키텍쳐 모델링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도메인 아키텍쳐 기반의 CBD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ADL 지원도구의 시스템 아키텍쳐를 제안하고, 제안한 시스템 아키텍쳐의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기술한다. 그리고 C2 스타일의 아키텍쳐 기술을 지원하는 UCI(University of California in Irvine)의 C2SADL을 변경하여 재정의한 ADL과 지원도구로서 개발 중인 ADL 지원도구의 설계 및 구현 방법을 기술한다. 본 연구팀이 개발 중인 ADL 지원도구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ADL 지원도구의 시스템 아키텍쳐의 일부 구성 요소들을 구현한다.
더보기Recently, component-based development (CBD) is rapidly spreading as a way of improving the reusability,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oftware. For CBD to be effective in achieving such design objectives, the creation and integration of components must be based on a well-defined architecture that guides the correct composition and cooperation of application components. Software architecture must be described using an architecture description language (ADL) to ensure the correctness and preciseness of architecture model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ystem architecture of an ADL tool set that can effectively support the use of CBD based on the domain architecture and we describe each component of the proposed system architecture. We also modify and redefine C2SADL that was developed to support the use of the description of C2 architectural style by UCI (University of California in Irvine) to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separately described architecture models, and introduce the method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ur ADL processor that partially implements the proposed ADL system architectur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